<--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3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바이러스(Virus)에 대해서

바이러스란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형태로 수십~수백 nm인 가장 작은 미생물이다.
정수처리에서 바이러스는 대체로 장관계 바이러스를 지칭하며 숙주(host)가 있어야 성장, 증식 한다.

바이러스 특징


수중 생존능력 : 4℃에서 90일까지 생존 가능 (폴리오바이러스)


염소내성은 대장균보다 수십배 강하지만 잔류염소 1mg/L에서 10분 접촉하면 99.99% 제거, 염소 소독으로 충분히 제거 가능


장관계 바이러스 감염경로는 입 → 소화기계 → 분변 → 수환경(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등이 주 오염원)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수법 보러가기  (0) 2022.11.04
박테리아(세균, Bacterium)  (0) 2022.11.04
지아디아 (Giardia lamblia)에 대해서  (0) 2022.11.04
해양 심층수란  (0) 2022.11.04
심층수의 특성에 대해서  (0) 2022.11.04
반응형

지아디아 (Giardia lamblia)에 대해서

기생성 원생동물의 일종으로 숙주(host)의 장관계에서 증식한다.(환경에서 증식하지 않음)


미국의 대표적인 수인성 전염병중 하나이며, 환경에 내성이 강한 포자(포낭; Oocysts)를 형성하여 염소소독 등에 매우 강하다.(대장균보다 2400배, 바이러스보다 수십배 강함)


그러나 바이러스 보다 수십~수백배 크므로 여과지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지아디아 포낭”이란 수인성 전염을 통해 질병을 야기할 수 있는 지아디아 램블리아(Giardia lamblia) 등 지아디아 속의 포낭을 말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테리아(세균, Bacterium)  (0) 2022.11.04
바이러스(Virus)에 대해서  (0) 2022.11.04
해양 심층수란  (0) 2022.11.04
심층수의 특성에 대해서  (0) 2022.11.04
해양심층수에 대해서  (0) 2022.11.04
반응형

해양 심층수란

태양광이 도달하지 못하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곳에 존재하는 바닷물을 칭한다. 해양심층수에는 유기물의 분해가 쉽게 진행되어 유기물 함량이 적은 반면 지상 등에서 유입되는 병원균 등 유해 물질은 상대적으로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양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질소, 인 등 영양염류가 장기간 숙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깊은 수심에 위치하고 있어 연중 수온이 거의 일정한 청정자원이다.

해양 심층수는 깊은 심해에 위치하여 저온성, 청정성, 안정성, 부영양성, 숙성성 등이 우수하여 음료,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상품에 이용 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심층수의 특성에 대해서

-연중 수온이 2도씨 이하로 안정되어 있다. (저온성)
-해양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염류가 풍부하다. (부영양성)
-유기물이나 병원균 등이 거의 없어 청정하다. (청정성)
-필수 미량 원소나 각종 미네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다.(미네랄 특성)
-고압 하에서 긴 세월을 들여 형성되어 수질이 안정되어 있다. (숙성성) 

(해양심층수(DSW)와 표면해수(SSW) 특성 비교)

    한국 동해안 일본고치현 미국 하와이
수 온(℃) 1.52 ~ 1.9
(14.5 ~ 23.1)
8.1 ~ 9.8
(16.1 ~ 24.9)
6 ~ 8
(24 ~ 28.5)
수온이온농도 7.19 ~ 7.90
(8.16 ~ 8.20)
7.8 ~ 7.9
(8.1 ~ 8.3)
7.6
(8.3)
염 분(‰) 33.72 ~ 33.94
(32.5 ~ 33.0)
34.3 ~ 34.4
(33.7 ~ 34.8)
34.3
(34.7) 
용존산소(mg/l) 9.13 ~ 9.47
(7.79 ~ 8.9)
4.1 ~ 4.8
(6.4 ~ 9.5)
1.24 ~ 1.45
(6.87 ~ 7.28)
취수수심 200m 320m 600m 

 

 

반응형
반응형

해양심층수에 대해서

구 분 특 성 활용분야
저온성 년중 안정적인 저수온 해수 - 고수온에 의한 질병 및 사망 방지
-
한수성 어패류의 종묘 생산 및 양식
-
냉방, 냉장, 냉동을 위한 에너지 활용
청정성 병원균과 유기오염물이 적은 청정 해수 - 청정한 양질의 사육수 확보
-
하계 축양수 활용
부영양성 해양식물 생장에 필요한 질소, , 규소
등의 무기영양염이 풍부한 부영양 해수
- 식물성 및 동물성 플랑크톤 배양
-
해조류의 배양 및 이를 이용한 복합양식
-
해역 기초생산량 증대
속성성 수압 20기압 이하에서 오랜 기간
성숙한 숙성 해수
- 식품 첨가제로 활용
-
화장수 및 화장품 등의 개발에 활용
안정성 다양한 필수 미량원소가 균형있게
용존해 있는 안정 해수
- 유용물질(희소금속 및 에너지원) 추출
-
기능성 음용수 또는 음료수 제조
-
의료 또는 약용수로 활용

 

 

반응형
반응형

해수의 화학적 조성 및 농도에 대해서

화학적 조성 농도(mg/kg) 화학적 조성 농도(mg/kg)
Chloride (Cl-) 18,980 Lead (Pb) 0.004~0.005
Sodium (Na+) 10,560 Selenium (Se) 0.004
Sulfate (SO₄2-) 2,560  Arsenic (As) 0.003~0.024
Magnesium (Mg2+) 1.272 Copper (Cu) 0.001~0.09
Calcium (Ca2+) 400 Tin (Sn) 0.003
Potassium (K+) 380 Iron (Fe) 0.002~0.02
Bicarbonate (HCO₃) 142 Cesium (Cs) 0.002
Bromide (Br) 65 Manganese (Mn) 0.001~0.01
Strontium (Sr) 13 Phosphorous (P) 0.001~0.10
Boron (B) 4.6 Thorium (Th) ≤0.0005
Fluoride (F) 1.4 Mercury (Hg) 0.0003
Rubidium (Rb) 0.2 Uranium (U) 0.00015~0.0016
Aluminum (Al) 0.16~1.9 Cobalt (Co) 0.0001
Lithium (Li) 0.1 Nickel (Ni) 0.0001~0.0005
Barium (Ba) 0.05 Radium (Ra) 8×10-11
Iodide (I) 0.05 Beryllium (Be) -
Silicate (SiO₂) 0.04~8.6 Cadmium (Cd) -
Nitrogen (N) 0.03~0.9 Chromium (Cr) -
Zinc (Zn) 0.005~0.014 Titanium (Ti) Trace

 

 

반응형
반응형

다이아프램형 펌프에 대해서

다이아프램형 펌프는 고무막(또는 테프론) 재질의 다이아프램을 전 후로 작동시켜 작용하는 원리로 격막 펌프라 하기도 하며, 약품 등 부식성 유체를 취급하는 정량펌프, 두개의 방으로 나누어져있는 펌프 내에서 다이아프램을 좌우로 움직여 용적을 교대로 변화시켜 PUMPING 하는 윙 PUMP가 등이 있다.

반응형
반응형

볼류트 펌프와 터빈펌프 비교

구 분 볼류트 펌프 터어빈 펌프
안내깃 없다 있다
내부 구조 구조 간단, 정비 쉽다 구조 복잡, 정비 어렵다
펌프의 크기 몸체 작다 몸체 크다
적용 양 정 양정 낮은 곳 쓰임 양정이 높은 곳 쓰임
양수량 소유량에서 대유량까지 중유량에서 대유량까지
효율 변화 효율 변화 크다 효율 변화 적다
압력변환 와류실 안내깃

 

 

반응형
반응형

크립토스포리디움 (Cryptosporidium)에 대해서

사람이나 동물의 소화기, 호흡기에 기생하는 원생동물로 기존 정수과정으로 대응하기 가장 어려운 대상으로 세균보다 오래생존하고 저온의 물속에서 수개월까지 생존하며 소독내성이 가장 강하다.(대장균보다 24만배, 바이러스보다 수천배 강함)


숙주(사람, 소 등)의 장관계에서 증식(환경에서 증식하지 않음)하며, Oocysts 직경이 3~7㎛ 정도이고 구형 또는 계란형의 형태를 가진다.


“크립토스포리디움 난포낭”이라 함은 수인성 전염을 통해 질병을 야기할 수 있는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붐(Cryptosporidium parvum) 등 크립토스포리디움 속의 난포낭을 말한다.

반응형
반응형

 노로바이러스(Norovirus)에 대해서

사람의 장에서만 서식하는 장관계(Enteric virus)바이러스의 한 종류로 최근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증가


감염은 환자의 분변에 의해 오염된 물을 끓이지 않고 바로 음용하거나 오염된 물로 세척한 야채류를 날로 섭취하는 경우 등 분변-구강 경로로 감염된다.


노로바이러스는 감염성이 높고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환경 중 10~40일 정도 생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짐(온도가 낮을수록 오래 생존), 감염된 환자의 대변을 통해 다량의 바이러스 입자 배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예방방법

식품 조리시 중심온도를 85℃에서 1분 이상 가열

비가열 식품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먹고, 물은 끓여서 음용

염소계 소독제(락스 등)를 이용하여 노로바이러스 불활성화(사멸) 가능

반응형
반응형

직류전동기에 대해서

모터 종류와 원리
모터 (전동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플레밍의 왼손법칙이 모터의 기본원리이며, 가장기본적으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로 분류된다.

직류전동기
직류전동기는 교류전동기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값도 비싸지만 속도 제어가 매우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며, 계자저항(Rf)의 수치를 가감하여 속도를 조절한다.
직류전동기는 계자권선의 전류(여자전류)의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 한다.
① 타려 : 여자용 전원과 별도의 전기자의 전압 Vt를 변화시켜서 속도를 조절한다
② 분권 : Rf 를 변화시켜 속도 조절한다. 여자용,전기자용 전원이 같아 편리하다
③ 복권 : 계자권선이 둘로 나누어져 부하의 경중에 속도의 변화가 없다.
④ 직권 : 회전시초(시동)에 흐르는 전류량을 적게 해도 큰 힘을 낸다.

반응형
반응형

교류전동기에 대해서

모터 종류와 원리
모터 (전동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플레밍의 왼손법칙이 모터의 기본원리이며, 가장기본적으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로 분류된다.

교류전동기는 3상교류용과 단상교류용으로 구분되며 각각에 유도전동기와 동기전동기 및 정류자 전동기로 나누어진다.․유도전동기는 전원에 바로 연결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튼튼한데 비해 가격 이 싸고 취급이 쉬워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펌프 구동용의 주를 이루고 있으며, 농형 및 권선형 유도전동기 등이 있다.․동기전동기는 정확히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며 역률조정이 쉬워 컨베이어벨트용 전동기, 소형시계나 타이밍 모터에 사용된다.
① 유도전동기: 대체적으로 정속도(定速度)를 유지하여 펌프구동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거의 농형 유도전동기가 사용된다.
② 동기전동기: 완전한 정속도이며 보통농형, 특수농형, 유도동기전동기가 있다.
③ 정류자전동기: 속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으며, 소형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공구, 가정용 청소기 등에 적용된다.

반응형
반응형

농형과 권선형 특성 비교에 대해서

구 분 농형 유도전동기 권선형 유도전동기
구 조 간 단 약간 복잡
기동전류 (500~650%) (100~150%)
기동토르크 100~150% 100~150%
효율,역율,슬립 큰 차이 없음 큰 차이 없음
기동방식 직입 또는 감전압 기동 2차 저항기동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류전동기에 대해서  (0) 2022.11.04
교류전동기에 대해서  (0) 2022.11.04
지르코니아식 산소측정기 원리에 대해서  (0) 2022.11.03
수질환경기준 보러가기  (0) 2022.11.03
하수도법 보러가기  (0) 2022.11.03
반응형

지르코니아식 산소측정기 원리에 대해서

고체 전해질 지르코니아 소자는 고온에서 산소분자만 이온 형태로 옮기는 성질(이온 전도성)이 있어 지르코니아 소자의 내면(측정 측)과 바깥 측(기준 측)에 각각 전극을 붙여 가열한다.

산소 농도에 차이가 있으면 산소 농담전지의 작용을 일으켜 산소 농도차에 따른 기전력이 발생한다.

기준 측에 산소 농도가 일정한 가스(대기 등)이 있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측정 측에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싶은 가스를 흘리자 그 농도에 따른 기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이 기전력의 크기는 네른스트 이론식에서 나타난다.

네른스트식:E = (RT/4F) In (P1/P2) E=기전압

R= 기체 상수

T=절대 온도

F= 패러데이 상수

P1 = 기준측(대기)의 산소 분압

P2 = 측정 측 산소 분압

(주의)

지르코니아식에서는 가연성가스(알코올 등)가 혼입되면 센서 부분에서 연소반응을 일으켜 측정오차(지시치가 낮아짐)가 됩니다.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류전동기에 대해서  (0) 2022.11.04
농형과 권선형 특성 비교에 대해서  (2) 2022.11.04
수질환경기준 보러가기  (0) 2022.11.03
하수도법 보러가기  (0) 2022.11.03
먹는물 관리법 용어정리  (0) 2022.11.03
반응형

수질환경기준 보러가기

환경정책기본법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 권리·의무와 국가의 책무를 명확히 하고 환경정책의 기본이 되는 사항을 정하여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예방하고 환경을 적정하고 지속가능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함 (환경기준 : 동법 시행령 별표 1 참조)

수질환경기준 보러가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