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0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유체의 종류 및 유체의 정의란? 

(1) 점성유체와 비점성 유체 


① 운동하고 있는 유체에서는 전단변형의 빠르기에 비례하는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변형에 역행하려는 저항이 있게 된다.  
 이러한 성질은 유체가 가지는 점성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서, 모든 유체는 대소의 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점성을 가지고 있다.  

② 점성을 가지고 있는 유체를 점성유체 라하고, 이에 대해 점성을 갖지 않는다고 가상한 유체를 비점성 유체 라고 한다.  

(2) 압축성 유체와 비압축성 유체 


① 기체는 쉽게 체적을 변화하고 외부의 압력이 미치지 않으면 무한히 팽창한다. 그러나 액체는 체적의 변화에 대해서 저항이 극히 크고, 또 분자  간의 흡인력 때문에 무한히 팽창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체적변화에 역행하는 저항의 대소에 따라 기체와 액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은 유체가 가지는 압축성에 의하여 생기는 것으로서, 대소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유체는 반드시 압축성을 가지고 있다.   

② 밀도의 변화를 동반하는 유체를 압축성 유체라 하고, 이에 대하여 압축성이 없다고 가정한 유체, 즉 밀도의 변화가 없는 유체를 비압축성 유체 라고 부르는데, 보통 전자는 기체, 후자는 액체라고 생각한다.  

(3) 이상유체 또는 완전유체 


① 실재하는 유체는 점성과 압축성의 두 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 두 가지 모두를 갖지 않는 유체를 가정하여 이것을 이상유체 또는 완전유체 라고 부르기도 한다.   

② 이상유체의 경우에는 점성이 없기 때문에 내적, 외적 마찰이 있을 수 없고 또 에너지의 손실도 생각할 필요가 없다.  
실제의 공학 문제에서는 마찰이 작은 흐름을 이상유체로 다루고 있다.  

유체의 정의
  

(1)  물질의 상태는 크게 나누어 고체와 유체가 있고, 유체는 다시 액체와 기체로 분류된다.  

(2)  물질의 상태는 분자의 배열과 분자간의 응집력의 크기로서 고체와 액체, 기체로 나눌 수 있다.  

즉 고체는 분자간의 응집력이 큰 데 반하여, 유체는 분자간의 응집력이 극히 작다.   
이 성질은 고체는 형상에 있어서 치밀성과 강성을 가지고 있고, 액체는 분자가 그 물질 내에서 자유로이 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고체와 유체는 변형의 난이도에 따라 서로 구별된다.  

(3) 고체는 정지하고 있더라도 전단응력과 법선응력의 두 힘이 작용하고 있으나, 정지하고 있는 유체는 법선응력만이 작용하는데 이것이 압축 응력, 즉 압력이다. 

(4) 유체는 전단변형의 속도를 무한히 작게 하면 변형에 요하는 힘은 극히 작게 된다.  
 즉 자유롭게 변형하기 쉬우므로 용기의 형상에 따라 자신의 형상을 적응 시키고 이것을 유지한다. 

(5) 위의 내용을 정리해 유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정지상태에 있을 때는 그 내부의 일면에 항상 법선응력, 즉 압력만이 작용하고 있는 물질로서 만약 전단응력이 작용하면 연속적인 변형 (흐름)을 하여 위치를 바꾸는 물질이다

반응형
반응형

1. 열전대(T.C:Thermo couple) : 2종류의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된 온도센서.

각 센서는 KS(한국공업규정),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등으로 규격화 되어 있다.

2. 보상도선(Compensation cable) : 열전대(온도센서) 전용의 연결도선. 보상도선은 열전대의 종류에 대응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보상도선을 사용하지 않고 배선을 할 경우는 열전대 단자부분의 온도와 온도조절계의 센서 단자부의  온도 차이로 오차가 난다.

3. 측온저항체 (R.T.D Registance Temperature Detector) : 온도의 변화를 전기저항의 변화로 측정하는 온도센서

4. 3선식 (Three wire type) 온도센서 : 측온저항체의 저항소자 한쪽에 2선, 다른 한쪽에 1선을 접속하여 리드선 연장시의 도선저항의 영향을 제거시키도록 한 방식.

5. 보정 기능(Calibration) : 센서가 읽는 실제의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가산 또는 차감하는 기능

6. 최대스케일 (F.S : Full Scale) : 입력범위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폭을 말함

7. 샘플링주기 (Sampling time) : 입력신호 등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샘플링)주기

8. 정도 (Accuracy) : 측정기기에 표시되는 측정값이 얼마나 정확한 가를 나타내는 것

9. 표시정도 (Display Accuracy) : 표시정도는 그 측정기의 입력에 대한 표시값의 허용오차범위

10. 경보기능 (Alarm function) : 측정값(PV)또는 편차가 경보설정값에 달하면 경보상태로 하는 기능으로, 장치의 위험신호나 안전장치를 동작 시키는데 이용

11. 히스테리시스 (Hysteresis) : 2위치 동작에 있어서 ON하는 값과 OFF하는 값의 차

12. 오프셋(Offset) : 일반적으로 옵셋은 어긋남이나 편차의 의미로 사용. 제어기기에서 말하는 옵셋은 조작량이 안정된상태(정상상태)  에서의 설정값과 실제의 측정값과의 차(어긋남)을 말함

13. 데드밴드(Dead-dand) : 제어를 할때 설정값에 따라서 출력을 on/off 할경우 신호가 설정치에서 많이 떨어진경우에는 출력신호가 안정 되어  있지만, 설정치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출력이 On/Off를 자주 반복하여 제어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래서 설정치 부근에서 출력이 불안정한 것을 해결하기위하여 히스테리시스 구간을  주게 된다. 
 즉 설정치에 +-오차범위를 주어 On/Off 동작 이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히스테리시스 동작때문에 출력이 변하지 않는 구역이 생기는데 이것을 데드밴드라 한다. 

14. 릴레이 접점출력 (Relay contact output) : 측정장비에 사용되는 릴레이의 접점은 주로 펌프나 밸브 개폐등의 컨트롤 용도도 주로 사용된다. 
용량이 큰 기기를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전자접촉기(마그네트)등 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15. 전압펄스출력 (Voltage pulse output) : 0~12V 또는 0~24V 정도의 전압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16. 전류출력 (Current output) : 전류출력은 일반적으로 0~20mA 혹은 4~20 mA DC 이다.  

17. 전원전압 (Power supply voltage) : 측정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18. 허용주위온도 (Ambient temperature) : 측정장비등의 기기가 동작 가능한 주위 온도 

19. 허용주위습도 (Ambient humidity) : 측정장비등의 기기가 동작 가능한 주위 습도 

20. 디지털 필터 기능 : 디지털 필터는 측정값(PV)의 노이즈에 의한 변동을 줄이기 위하여 이용된 소프트웨어 필터링 기능

 

반응형
반응형

1. 시퀀스제어 :  미리 정한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방식으로 시간, 수,량 유무제어 등에 적용 
2. 피드백제어 :  제어결과를 항상 검출하고 목표값과 비교하여 수정동작을 행하는 제어방식으로압력, 유량, 온도제어 등에 적용 
3. 헌팅(Hunting) : 설정값에 대하여 실제의 측정값이 일정하게 상하로 변동하는 현상  
4. 정상편차 or 옵셋(Offset) :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실제 측정값과 설정값과의 차이  
5. 응답성 : 설정값이 변화되면 그 변화에 대응하여 측정값이 즉시 설정값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응답성이 좋다고 한다.
6. 제어동작 : 주된 온도제어 동작 On/Off동작,비례동작, PID동작, 미분선행형 PID동작, 비례선행형 PID동작등이 있다. 
7. On/Off동작 : 자동 제어 방식의 하나로 제어할 양을 목표값으로 유지하기위해 조작량의 온/오프즉 전원을 넣고 끊는 동작을 되풀이 하는 방법 
8. 비례동작 :  자동제어계에서 제어동작 신호에 비례한 조작 신호를 내는 제어동작. P동작이라고한다  
9. 적분동작 (Integral action) : 편차의 크기를 적분하여 조작량에 더하는 동작
10. 적분시간 (Integral time) : 적분동작만으로 비례동작과 같은 조작량을 얻을 때까지의 시간으로 적분시간이 짧으면 적분효과는 강하게 되어 헌팅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11. 미분동작 (Derivative action) : 편차가 발생하면 그 편차의 미분값(속도)에 비례하여 동작하는 것 
비례동작이나 적분동작은 제어결과에 대한 정정 동작이므로 응답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고, 미분동작은  
편차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12. 미분시간 (Derivative time) :  미분시간은 편차가 일정하게 증감 할 때 미분동작 만으로 비례동작과 같은 조작량을 얻을 때 까지의 시간 
13. PID동작 : 비례+적분 동작의제어 결과가 진동적으로 되기 쉬운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이 동작에 미분동작을 추가 병용하여, 매우 안정된  제어를 하도록 하는 것이며 따라서 비례+적분+미분동작이라고 한다.   
 PID동작에 의한 부하 변동의 경우 제어 결과는 안정이 빠르기 때문에 낭비 시간이큰 것이나, 제어의 지나침이 문제로 될 것 같은제어 대상에 적합하다.   
14. 입력(Input) : 측정장비에 단지 “입력”이라 기재한 경우는 대체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센서등으로 부터의 신호입력을 말함
15. 설정(set/set value) : 각종 측정장비에는 기종에 따라 대체로설정항목이 있고,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제어의 설정값(목표값) 설정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환경영향평가의 정의에 대해서

(1) 넓은 의미에서의 환경영향평가 [Munn, 1979]

  : 법률입안, 정책수립, 개발사업 등으로 인한 환경상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이를 정확히 해석하고 이로부터 나온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process) 


(2) 좁은 의미로서의 환경영향평가 [UK DOE, 1989]

     : 개발자 등이 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나타나는 환경상 영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개발승인자가 사업의 시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절차 


(3) 1993년 6월에 제정된 국내의 환경영향평가법에서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정의

    : "환경영향평가대상사업의 사업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당해 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미리 예측 분석하여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 [환경영향평가법 제2조 1항].  

2. 환경영향평가의 목적


(1) 의사결정을 보조  

제안된 개발행위의 환경적 영향을 사업실시 이전에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의사 결정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절차는 의사결정을 대체할 수 있는 절대적 수단은 아니나, 제안된 개발행위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의 trade-offs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렇게 사업실시 이전에 이루어진 환경영향평가는 개발자, 이익집단, 주민 및 행정기관들 사이에서 협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환경과 개발의 이익을 조화시키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


(2) 개발행위의 영향을 공식화(formulation)하여 개발 결과를 명확히 함.


개발계획 초기단계에서 환경상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은 환경의 중요성이 고려된 개발(environmentally sensitive development)을 유도하게 되며 이는 개발자, 행정기관, 지역공동체 등의 상호관계에 도움이 되며 보다 원만한 사업허가절차를 지향하게 된다.

환경영향평가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잠재적 분쟁의 가능성을 알려주는 하나의 표지판 역할을 한다.


(3)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도구

환경영향평가의 주된 목표는 하나뿐인 지구를 보존하기 위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을 추구하기 위함이다.

환경상 악영향을 끼치는 기존의 개발들은 가능한 한 최대로 관리되어져야 하며 극단적인 경우, 폐쇄시켜야 할 필요도 종종 있다

그러나 개발행위 이전에 그러한 환경상의 악영향들을 저감할 수 있거나 아예 사업계획단계에서 사업의 시행을 막는다면 이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미 모든 것이 결정되어 시행된 사업에서 사후 해결책을 찾는 것보다는 사전예방이 환경적으로나 경제성 측면에서나 양측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3. 환경영향평가의 주요과정 
 
(1) 스크리닝 : 스크리닝은 환경영향평가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2) 스코핑 : 스코핑은 개발사업 등의 특성 및 영향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여 환경영향평가의 항목 및 평가의 범위(공간적, 시간적, 대안의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3) 영향예측 : 사업시행으로 인한 환경상의 영향을 예측한다.  
(4) 환경영향평가서의 작성 및 발표
(5) 환경영향평가서의 검토
(6) 사업, 입법 등의 실행 여부 결정 
(7) 사후 모니터링 : 사후 모니터링을 통하여 지속적인 환경적 변화를 조사하고 필요할 경우, 저감시설 등을 설치, 환경상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또한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들은 향후 유사사업의 환경영향평가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8) 주민의견 수렴

 

반응형
반응형

각종 표준규격에 대해서

ASTM 규격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 미국의 재료규격 협회
ASME 규격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ing : 미국 기계 학회
ANSI 규격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 미국 국립 표준 연구소
CFR 규격 Code for Federal Regulation :  미 연방 규제법
- 미국 연방법으로 노동법, 환경보호법 등 50개 part로 구분
AWS 규격 American welding Society : 미국 용접 협회 규격
NFPA 규격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 미국연방방재협회
NEC 규격 National Electrical Code : 미국 전기 규격
IEEE 규격 Instituted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미국 전기전자 기술자협회
- LAN의 표준화를 목적으로 설립한 소 위원회.
IEC 규격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국제 전기 기술 위원회
ISA 규격 Instrument Society of America : 미국 계측 제어 협회
- 계측 제어 계통의 설계, 운전, 보수 등에 필요한 안전규제사항을 언급
ISO 규격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 국제 표준화 기구
- 설립 목적 : 물질 및 서비스의 국제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지적, 과학적 및 경제적 활동
분야에 있어서 국제간의 협력을 위하여 세계적으로 규제, 심의 제도의 추진을 도모함.
BS 규격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 영국표준협회 - 기술 및 상업상의 재료의 개량, 표준화
및 단일화를 목적으로 설립
CEE 규격 유럽전기기기 통일 안전 규격 위원회. 유럽 각국의 전기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
CSA 규격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 캐나다 규격협회.
DIN 규격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 독일 규격화 협회에 의해 제정된 국가 규격.
IEC 규격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국제 전기표준 협회에 의해 제정된 규격
JCS 규격 일본전선 공업협회, 전선제품의 표준화를 위해 일본 전선공업협회가 작성한 규격
JIS 규격 일본 공업규격
KS 규격 Korean Standard : 한국공업규격
NEMA 규격 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미국 전기제조업자협회에 의해 제정된
단체 규약
NF 규격 Association Francaise de Normalisation : 프랑스 규격협회에 의해 제정된 국제규격
UL 규격 Underwriters Laboratories Inc. : 미국화재보험협회에 의해 제정된 규격
VDE 규격 Verband Deutsher Electrotechniker : 독일 전기 기자협회에 의해 제정된 규격

 

반응형
반응형

독성(Toxicity)에 대해서

어떤 물질이 살아있는 유기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역량

① acute toxicity (급성) : 치명적인 효과가 급히 나타나는 경우 (약 96시간 이내)

② chronic toxicity (만성) :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악영향을 나타내는 독성


* 독성 물질

1 염화유기화합물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 유기농약(DDT, Mirex 등), 화학처리의 부산물(Dioxins, furans), 윤활제와 열 교환제로 사용되는 PCBs(Polychlorinated biphenyls)

 
2 중금속 (Heavy metals)

- 카드뮴(Cd), 납(Pb), 플루토늄(Pu), 수은(Hg), 주석(Sn) 등으로써  광산, 선광, 제지, 정유 및 다양한 산업활동에서 배출된다.

- 중금속은 유기물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어서, 생태계의 먹이사슬 윗 부분에서는 이들이 농축되어 문제가 된다.

 
3 탄화수소류 (Hydrocarbons)

- 가장 흔한 물질은 벤젠으로 산업폐수, 유류누출사고, 소각로에서 불완전연소된 연료, 심지어는 담배 연기에서도 나온다.

반응형
반응형

ppm,mg/l,mole,molarity,equivalent weight 농도 및 측정 단위에 대해서

1. ppm : 용액 1kg(무게) 내에 용질 1mg이 용해되었을 때 : 1% = 10,000 ppm

2. mg/l : 용액 1L(부피) 내에 용질 1mg이 용해되었을 때 : 보통 ppm ≈ mg/l

3. mole : g으로 표현한 용질의 분자량

4. 몰농도(molarity) : 용액 1L 내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의 mole 수로 나타내는 농도로 mol/l 또는 M으로 표시한다. 

5. 몰랄농도(molality) : 용매 1kg 내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의 mole 수로 나타내는 농도로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m으로 표시한다. 

6. 당량(equivalent weight) : [용질의 원자량 또는 분자량] / [원자가 또는 전하]

ex. Ca의 당량 = [원자량 = 40.08] / [원자가 = 2] = 20.04

epm(equivalent per million) : [ppm으로 표시된 용질 농도] / [당량]

ex. Ca 28.3ppm / 20.04 = 1.41 epm

equivalent per liter : [mg/l으로 표시된 용질 농도] / [당량]

ex. Ca 28.3 mg/l / 20.04 = 1.41 eq/l = 1,410 meq/l

반응형
반응형

총경도 (Total Hardness)
경도는 비누를 침전시키는 물의 능력을 측정하고자 이용되었으나, 오늘날 총경도는 칼슘과 마그네슘 농도의 합으로서, 물 속의 탄산칼슘(CaCO3)경도와 같은 당량의 농도로 나타내고 있음.
 
대장균 (Escherichia Coli)
물의 대장균군 시험이 중시되는 것은 분뇨오염의 지표(Coliform 세균)로서 소화기계 전염병원균 보다 비교적 저항성이 크며 그 분포가 항상 오염원과 공존하기 때문이다.
대장균군 자체는 일반적으로 병원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또한 물에 대하여 반드시 유해물질은 아니지만 분뇨오염의 증거가 됨. 

엽록소 a (Chlorophyll a)
광합성에 의해 살아가는 식물들은 엽록소 a와 보조색소인 엽록소 b, c, d, carotenoid 등의 색소를 지니고 있으며, 이중에서 엽록소 a 이외의  

색소도 광에너지를 획득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에너지를 사용하여 광합성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엽록소 a이며 다른 색소들은 엽록소 a를  

도와주는 색소임.
호소수내 엽록소 a의 측정이유는 식물플랑크톤의 존재량과 일차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호수의 영양상태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임.
엽록소 a 양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빛, 온도, 영양염류 등이 있음. 호수의 투명도와 엽록소 a 양(식물플랑크톤 양)의 사이에는 음의 상관이 있고, 또 엽록소 a 양과 호수중의 총질소량, 총인량의 사이에도 양의 관계가 있음. 

반응형
반응형

인 (Phosphorus)
인은 자연수와 폐수내에서 무기인산염(PO43-)과 유기인의 형태로 존재하며 생물체 성장에 있어서 핵심요소.  
인산염은 RNA와 DNA의 주요 부분이며 세포막에서 phospholipid(인지질) 형태로 존재.
인은 생명체의 성장에 필수적이며 생명체의 일차생산력을 제한하는 영양소이며, 인이 성장제한영양소인 상태에서 인을 함유하고 있는 가정하수, 농지배수 또는 일부 산업폐수들의 유입은 수계 광합성생물들의 성장을 지나치게 촉진시켜 부영양화를 일으킴. 
 

질소 (Nitrogen)
질소는 탄소, 수소 그리고 산소 다음으로 살아 있는 세포에 많은 성분으로 생물의 필수 원소중의 하나이며, 수중 내 대부분의 생물체는 물 속에 용존되어 있는 질소를 이용하나 일부 조류나 박테리아는 대기중의 질소를 직접 고정하여 성장하기도 함.
질소는 존재형태에 따라 산화수에 따라 NH3, NO2-, NO3-, N2, N2O, NO 등의 7가지 형태가 있으나 이중에서 중요한 것은 암모니아(NH3), 

아질산(NO2-), 질산(NO3-), 유기질소임.  
이때 NH3와 유기질소를 합해 TKN(total kjeldahl nitrogen)이라고 하고, 네종류의 모든 질소를 합해 총질소(total nitrogen ; TN)라고 함. 

 
알칼리도 (Alkalinity)
수중의 알칼리도는 산(acid)을 중화하는 능력 즉, 물이 양성자(H+)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알칼리도로 측정함.
일반적으로 하천수에서의 총 알칼리도는 중탄산염, 탄산염과 수산기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 성분의 농도를 기준으로 산으로 적정하여 측정할 수 있음. 이외에도 붕산, 인산염, 규산화물과 다른 염기물질이 존재하면 알칼리도를 유발하게 됨. 

반응형
반응형

총 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고형물 혹은 증발잔유물 (Solids)란?

총 유기탄소 (Total Organic Carbon : TOC)
수중유기물은 존재형태에 따라 입자성유기물질(particulate organic matter ; POM)과 용존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er ; DOM)로 분류. 
모든 유기물질은 탄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탄소는 유기물의 구성성분중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과 광합성산물을 탄소로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기 때문에 유기물의 양을 구하고자할 때 유기탄소의 총량으로 측정함.
총유기탄소는 입자성 유기탄소(Particulate Organic Carbon ; POC)와 용존성유기탄소(Dissolved Organic Carbon ; DOC)를 합한 값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 유기물농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TOC농도보다는 POC와 DOC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음.  
일반적으로 하천과 호수의 POC는 총유기물의 10∼17% 정도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DOC 형태로 존재. 

고형물 혹은 증발잔유물 (Solids)

고형물은 물속의 부유상태 또는 용존상태의 물질을 의미. 자연수중에 현탁되어 있는물질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로 유기성이나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 또는 죽은 생물체의 유해가 주성분인데, 존재비율은 계절에 따라 서로 다름.
고형물이 높은 물은 대체로 소비자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생리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수중어패류의 호흡장애를 야기하고 빛의 수중투과를 감소시켜 조류의 탄소동화작용을 방해함. 

반응형
반응형

용존산소(DO),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 ), 화학적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용존산소 (DO)

용존산소는 수체에서의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생화학적 활성도와 관련되어, 수중생물에게 필수적인 환경요소로서 수질환경을 평가하는데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측정항목.
호수에서는 수온과 함께 계절적 영향이 가장 뚜렷하며, 수심별 용존산소의 분포는 수층간의 혼합에 영향을 주는 수온과 유기물의 양에 영향을  받음.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 : BO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는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말하며 물속의 유기물양을 표시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
유기물질이 수계에 유입되면 수계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용존 산소를 소모하므로 유입된 유기물의 양이나 종류보다는 용존 산소를 결핍시키는  

잠재 능력의 평가가 중요. 실험실에서는 일반적으로 20℃에서 5일간 시료를 배양했을때 소모된 산소량을 측정하는데 그 값을 5일 BOD 또는 

BOD5라고 하며 통상 "BOD" 라고 함.
7-10일 후에는 탄소 화합물에 의한 BOD 이외에 질소 화합물의 산화 즉, 질산화(Nitrification)가 발생 하는데 이를 질소(Nitrogenous)BOD 혹은 

NOD(Nitrogenous Oxygen Demand)라고함.  그러므로 BOD5 시험에서 BOD 병내에 질산화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존재하면 탄소 화합
물에 의한 BOD보다 높게 나타남. 

화학적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 C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수중의 유기물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며 산화제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측정.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유기물외에도 난분해성 유기물 양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COD값이 BOD값 보다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산화 정도는 피산화물의 농도 및 형태, pH, 온도, 반응시간, 산화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다르다.  

물속의 유기물질 양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천의 경우는 BOD를 측정하며, 호수에서는 생물량인 조류를 유기물질량으로 포함시키기 위하여 COD를 측정함. 

반응형
반응형

수소이온농도 (pH)와 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수소이온농도 (pH)
pH는 용액의 산 또는 알카리 상태의 세기를 나타내는데 널리 사용되는 용어로 수소이온농도 혹은 수소이온활성도를 나타냄.  
수소이온농도는 수중에 존재하는 용존형태의 CO2와 조류의 양에 의해 변화하며, 조류 발생량이 증가는 경우 용존 CO2가 감소하여 pH가 증가.
여름철에는 중영양호나 부영양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의 결과로 pH가 8∼9까지 상승. 

 
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 EC)
전기전도도는 수용액이 전류를 통과시키는 능력을 수치로 표현한 값으로 물속에 용존되어 있는 물질의 전기흐름 정도를 나타냄. 

따라서, 시료중에 용존고형물(TDS)은 전기전도도와 밀접하게 관련. 일반적으로 TDS(㎎/ ℓ)와 전도도(㎛hos/ cm)값의 비는 0.55-0.7 범위.
전도도는 [이온의 개수 x 이온의 전화 x 이온의 유동성]으로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농도에 비례해 증가.  
온도가 증가하면 이온의 이동이 활발해 짐. 전도도는 1℃ 마다 2-3%정도 증가하며 국제적인 전도도 측정의 표준 온도는 25℃ 임.

반응형
반응형

다이옥신(Dioxin)의 정의란?  

두 개의 벤젠고리가 산소원자 2개에 연결되어 결합된 구조로써, 1∼8개의 염소원자가 결합한 형태로 염소의 수와 치환 위치에 따라  

이론적으로 75종의 이성체가 존재한다. 이중 가장 독성이 강한 것이 2,3,7,8-사염화디벤조-파라-다이옥신(일명 TCDD)이다.  

다이옥신은 일반적으로 제조되거나 사용되는 물질은 아니며, 보통 염소나 브롬을 함유하는 산업공정에서 화학적인 오염물로서 생성 

되고, 또 염소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태울 때 생긴다. 

 

2. 다이옥신의 특징   

2,3,7,8-TCDD를 중심으로 살펴본 다이옥신류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물에 대한 용해도는 상당히 낮으며, 유기용매에는 용해되지만, 

용해성은 그다지 높지 않아 환경중에 입자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증기압은 낮고 열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이며, 미생물에 의한 분해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3. 다이옥신 오염원 

다이옥신은 쓰레기를 태울 때 많이 발생한다. 특히 PVC제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병원폐기물과 도시쓰레기를 태울 때 많이 발생 

한다. 자동차 배기가스, 화력발전소, 제지 및 펄프산업, 철강산업등 염소 및 브롬을 사용하는 산업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농약이 뿌려진 수풀이나 산림의 화재로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도 있다.   



4. 다이옥신으로 인한 건강장애 


다이옥신은 강력한 발암물질로서 폐암, 간암, 임파선암, 혈액암등의 암 발생율을 높이며, 생식계 장애와 발달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면역계의 손상으로 여러 가지 전염성 질환, 호르몬의 조절기능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VOCs 정의란?

대기중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 분류방법 중 대기중 존재상태, 휘발성 정도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휘발성(Volatile) : 휘발성은 증기압이 10-2 kPa이상, 끓는점이 100℃ 미만

2. 반휘발성(Semivolatile) : 반휘발성은 10-2~10-8kPa ,끓는점이 100℃ 이상

3. 비휘발성(Nonvolatile) : 비휘발성은 10-8kPa이하, 끓는점이 100℃ 이상 

=> 일반적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0.02psi 이상의 증기압을 가지거나, 끓는점이 100℃ 미만인 유기  화합물로 정의할 수 있다. 결국 VOC는 다수 화합물의 총칭이라고 하겠다. 

 

=>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어 질소산화물(NOx)과 공존시 태양 

    광의 작용에 의하여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PAN(Peroxyacetyl-Nitrate)등 이차 오염물질을 생성시킴으로서 광화학스모그현상을 일으 키는 원인 물질이 되기도 한다.  

 

=> VOC란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비균질 탄화수소 및 지방족과 비균질이 혼합되어 있는 탄화수소 중 레이드 증기압이 10 -2 KPa  이상인 물질이며 단, LPG, 메탄, 에탄 등 광화학 반응성이 낮은 물질은 제외이라고 대기환경보전법에 정의되어 있다.  

 종류는 일반 탄화수소와 비균질 탄화수소로 나뉘며, 일반 탄화수소에는 Paraffin계와 Olefin계의 지방족 탄화수소와 Benzene 계열로  Benzene, Tolu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가 있으며, 비균질 탄화수소는 알데히드, 케톤류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규제대상 휘발성 유기화합물

1. 에틸렌 17. n-헥산 33. o-크실렌
2. 메틸렌 18. 사이클로헥산 34. 스틸렌
3. 에탄올 19. 2,4-디메틸펜탄 35. 초산
4. 프로판 20. 부타디엔 36. 포름알데히드
5. i-프로판올 21. 1.3-부타디엔 37. 클로로포름
6. 프로필렌옥사이드 22. 아세톤 38. 아세트알데히드
7. 아세틸렌 23. 디메틸아민 39. 메틸렌클로라이드
8. i-부탄 24. 벤지딘 40. 1.1.1-트리클로로에탄
9. n-부탄 25. 아크릴로니트릴 41. 트리클로로에틸렌
10. 부텐 26. 벤젠 42.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1. i-펜탄 27. 니트로벤젠 43. 아크롤레인
12. n-펜탄 28. 에틸벤젠 44. 사염화탄소
13. 펜텐 29. 톨루엔 45.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 2-메틸펜탄 30. 2.4-디니트로톨루엔 46. IPE(이소프로필에테르)
15. 3-메틸펜탄 31. p-크실렌 47. MTBE
16. 프로필렌 32. m-크실렌 48. 기타 환경부장관이 규제대상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로 정한 물질

 

반응형
반응형

타전위(Zeta Potential)에 대해서

제타전위(Zeta Potential) : 입자 사이의 반발력이나 인력의 크기에 대한 단위로, 제타전위 측정은 분산 메커니즘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며 정전기 분산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즉, 제타전위 값이 크다면 입자들간의 반발력이 크고 안정하다고 할 수 있고, 작으면 응집력이 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타 전위 측정은 양조, 세라믹, 제약, 의료, 광물 처리, 정수 처리등 광범 위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제타전위, 입자크기, pH, 전도도와 같은 기본 파라미터를 측정함으로써 안정성 측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확인, 측정, 변경할 수 있다. 

하폐수 처리의 경우 제타전위 측정은 값비싼 침강제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응집 침강 처리 속도를 높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입자의 전하는 자유 ion들에 부착하여 전기2중층이라고 부르는 전자구름을 만든다. 전기2중층을 통한 전압의 감소는 Colloid에 대한 중요한  

변수이다.  ZP라고 부르는 이 전압의 감소는 colloid성질에 의존하여 변한다.  

가령 colloid에 염을 첨가하면 전기2중층이 오므라들고 ZP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ZP와 입자의 크기는 colloid가 거동하는 방식의 주요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다.  

ZP는 colloid속 입자들의 유효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그래서 ZP와 입자의 크기를 동시에 측정하면 입자의 특성을 좀더 정확히 알 수 있다. 

안정 및 불안정한 수용액 사이의 ZP값의 경계선은 대체로 +30이나 -30mV이다. +30mV보다 크거나  -30mV 보다 작은 ZP를 가진 입자들은 안정하다.  

입자 주위의 액체층은 두부분으로 존재한다. 안쪽 영역(Stern layer)에서는 ion들이 강하게 결합하고 바깥쪽(확산) 영역에서는 입자들이 단일한  개체로서 거동하는 Slipping평면으로서 알려진 경계이다. 이 경계에서의 전위가 ZP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