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1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텅스텐 램프 (Tungsten Lamp) 와 적외선 램프 (Infrared ray Lamp)란?

텅스텐 램프 (Tungsten Lamp) 

에디슨에 의해 탄소를 필라멘트로 한 전구가 발명된 이래, 많은 필라멘트 재료가 연구되어, 마침내 고온에 견디는

텅스텐 필라멘트가 발명됨으로써 전기조명의 기초가 확립되기도 하였다.

텅스텐은 녹는점이 3,400℃로 탄소 다음으로 높고, 고온에서 사용해도 증발이 적으며, 또 가느다란 필라멘트 모양으

쉽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구 내부는 20 W 이하의 것에서는 진공이지만, 그 이상의 것에는 질소와 아르곤의 혼합가스가 들어있다.

필라멘트의 모양은 코일 모양 또는 2중 코일 모양으로 하여 증발을 적게 하고, 전도나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적게 하고
있다. 정규전압에서 사용할 때의 필라멘트의 온도는 2,000 ~ 2,500℃이다.

형광등이 발명되어 텅스텐 램프는 형광등 분야로 대치되었고 빛이 부드러워서 보통은 조명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적외선 램프 (Infrared ray Lamp)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며, 0.75μm에서 1mm 범위에 속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램프이다.

햇빛이나 백열된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스펙트럼으로 분산시켜 보면 적색 스펙트럼의 끝보다 더 바깥쪽에 있으

므로 적외선이라 한다.

파장 0.75~3μm의 적외선을 근적외선, 3~25μm의 것을 단순히 적외선이라 하며, 25μm 이상의 것을 원적외선이라 한다.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강한 열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열선이라고도 한다.

태양이나 발열체로부터 공간으로 전달되는 복사열은 주로 적외선에 의한 것이다. 공업용이나 의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강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램프가 있다.

보통의 텅스텐 백열전구로부터의 빛도 대부분 적외선이며, 가시광선은 발광에너지 총량의 2~3%에 불과하다.

텅스텐 필라멘트전구는 약 3.5μm까지의 근적외선원일 뿐이며, 보다 넓은 파장영역의 적외선원으로는 가열된 흑체 

 

 

 

(0~3,300℃)와 네른스트전구가 있다.

네른스트전구는 30μm까지의 적외선을 방출하며, 실험실의 기준 적외선원으로 많이 쓰인다.

또 매우 높은 단색성과 강도를 가진 적외선 레이저가 연구용, 공업용, 의료용의 적외선원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0.83μm(GaAs반도체 레이저), 1.3μm, 1.06μm(Nd-YAG 또는 Ndglass 레이저), 2.8μm(HF 레이저), 5μm(CO 레
이저), 10.6μm(CO2 레이저), 16μm(SF6 레이저)을 방출하는 적외선 레이저를 비롯하여, 수십에서 수백 μm 원적외선

영역에 발진파장을 가지는 H2O, D2O, HCN, 에탄올 레이저 등이 대표적인 적외선 레이저이다.
적외선이 강한 열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은 적외선의 주파수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같은 정도의 범위에 있기 때문이다.

이는 물질에 적외선이 부딪히면 전자기적 공진현상을 일으켜 적외광파의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물질에 흡수되는 것에

기인한다. 특히 액체나 기체상태의 물질은 각각의 물질에 특유한 파장의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한다.

이 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물질의 화학적 조성, 반응과정, 분자구조를 정밀히 추정하는 수단으로 쓰는데, 이것을

적외선 분광분석이라 한다.

또, 적외선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하여 미립자에 의한 산란효과가 적어서 공기 중을 비교적

잘 투과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VOCs 정의란?  (0) 2022.11.05
타전위(Zeta Potential)에 대해서  (0) 2022.11.05
백화현상에 대해서  (0) 2022.11.05
진공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0) 2022.11.05
파아샬플루움(Parshall flume) 특징  (1) 2022.11.05
반응형

백화현상에 대해서 

폐광산의 출수(出水)는 일반적으로 ‘산성광산배수’ (AMD, acid mine drainage)를 말한다.

산성광산배수는 ‘산성암배수’(ARD, acid rock drainage)의 일종으로 주로 광산활동에 의한 것을 통칭하고 있다.

산성광산배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황성분을 포함한 암석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공기 중으로 나오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황화철’이주요한 생성원인이라고 한다. 

 

1. 황화철 : ‘황화철’은 지각에 흔하고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황화철이 대기 중에서 물과 만났을 때 황산과 철성분으로 분해되어 산성을 띄게

되는데 광산을 운영 중일때는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크진 않았으나, 광산활동이 멈추고 양수작업이 중단되면서 지하갱도 구석

구석을 채우던 광산배수는 낮은 pH의 산성으로 변하고 철․알루미늄은 물론 주변 암석을 녹여 각 종 중금속성분을 함유한 폐수가 되어 밖으로 유출되면서 상수원 및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2.백화현상 : 산성광산배수가 일으키는 대표적인 환경오염으로는 하천바닥을 붉고 희게 착색시키는 ‘황화현상’과 ‘백화현상’을 들 수 있는데, 황화현상은 광산배수에 녹아 있는 철이 광산배수와 함께 밖으로 나올 때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침전물을 형성하면서 생성된다.

백화현상은 광산배수 속의 알루미늄이나 기타 유사한 성분이 침전하면서 유발하는 현상으로 점토층이 발달한 곳에서 특히 잘 관찰할 수 있다. 

 

3.광산배수의 영향 :  철성분이 높은 광산배수에는 많은 침전물들이 있어서 수질의 탁도에 영향을 주고, 심하면 햇빛을 차단하여 수생식물에영향을 미친다고 하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 농도가 높은 물을 마셨을 때는 설사나 구토, 혈색증을 유발하며, 알루미늄 농도가 높은 물은 신경계통에 이상을 주기도 하지만, 미량을 섭취하였을 경우 대개는 배설된다고 한다. 

 
 

 

===> 출처 : 인터넷 내용 정리 

반응형
반응형

진공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진공 사용하는 이유는?개인적으로 크게 5가지정도로 분류하고 이를 이야기하고져함니다.

1.차압의 이용

저진공 영역에서 진공을 사용하는 목적은 압력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겠지요.

수용액 등을 여과할 경우에 용액을 받는 쪽의 용기를 부압으로 하는 흡인여과를 알고 있다면 '차압의 이용'은 알기 쉬울 것입니다.

차압의 위력을 보여준 유명한 마그데부르크의 반구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빨판은 가장 가까운 예입니다.

흡반을 유리등의 평탄한 면으로 밀어 넣으면, 흡반과 평면 사이의 공기는 쫓겨나.다음으로 흡반을 당기면 (거창하게 말하면) 보일의 법칙에 따라 이 공간의 압력은 떨어져 평면으로 흡착하게 됩니다.

이 경우 (이것도 과장되지만) 흡반과 평면이 진공용기를 구성해 흡반 자신이 진공펌프로도 작용하게 됩니다.

만약 공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충분히 낮으면 냉장고나 차의 앞유리에 붙어 있는 흡반이라도 단순 계산하면 수kg중의 무게를 견딜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측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인 값을 알고 계신 분은 알려 주세요.

대기압은 절대압력으로 1atm정도이기 때문에 차압의 최대치도 1atm입니다.

즉, 아무리 저압측(진공측)의 압력을 열심히 내려도 별 의미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저압측이 0.1atm과 0.01atm인 경우를 생각해 보면, 차압은 모두 거의 1atm이며, 이용할 수 있는 힘은 거의 같습니다.

압력을 한 자리 낮추기 위해서는 비용도 시간도 들기 때문에 차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기압의 몇 분의 1까지 낮추면 충분합니다.

혹은 더 작은 차압이라도 상관없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2.건조.

비커 안에 있는 수용액의 수분을 제거하고 싶은 경우에는 가열하도록 합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물의 증기압도 높아져 빨리 증발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열에 의해 분해되는 성분이 녹아 있는 경우에는 진공 중에 건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는 일단 증발한 수분자가 신속하게 제거되고 다시 응축될 확률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계산상으로는 매우 짧은 시간에 건조하게 됩니다.

생물 시료에서는 동결해 두었다가 진공 중에 건조하는 진공 동결 건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증기압이 낮기 때문에 증발 속도는 느려지지만 공기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 산화하거나 상온에 방치하면 분해되어 버리는 시료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3.방전 플라즈마

형광등과 핵융합로(주1)를 병기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난폭하지만 플라즈마 이용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단 형광등(수 100Pa)과 핵융합로(mPa 정도)에서는 압력범위는 전혀 다르다.

진공으로 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목적으로 하는 기체 이외를 제거하는 것, 다른 하나는 이온 등의 평균 자유행정을 길게 하여 방전을 효율적으로 지속시키는 것입니다.

전자의 목적을 위한 진공은 여기에 나타낸 범위와는 다르므로 주의해 주십시오.또한 방전 현상은 대기압(벼락)이나 그 이상의 압력(고압수은등)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나타낸 압력 범위는 단순한 기준입니다.

4.증착

텅스텐 보트와 알루미늄 혈 안에서 금속 등을 가열하여 그 증기를 기판에 붙이는 이른바 진공 증착입니다.

공기 분자가 남아 있으면 텅스텐과 시요금속이 산화하므로 높은 진공이 필요합니다.

또한 시료속이 증착할 때 주위의 기체분자를 흡수하면 증착막의 성분이나 성질이 변하기 때문에 주위의 압력은 증기압에 비해 충분히 낮아야 한다는 것도 고진공으로 만드는 이유입니다.

5.하전 입자 비임

전자 빔과 이온 빔을 통틀어 하전 입자 빔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빔의 진로에 기체 분자가 존재하면 빔이 산란되거나 하전 변환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고진공이 필요합니다.

조금 딱딱한 단어를 사용하면, 진공 사용 이유는 잔류하고 있는 기체 분자와의 상호 작용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 라는 것입니다.

덧붙여 짧은 거리를 통과하면 된다면, 더 높은 압력이라도 상관없고, 스토리지 링과 같이 전자를 언제까지나 링 속을 계속 돌게 하기 위해서는, 더 낮은 압력-초고진공-이 필요하게 됩니다.

6.표면 물리

진공으로 하는 목적은 주위의 기체 분자가 시료 표면에 충돌하는 빈도를 극단적으로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0.1mPa의 고진공 중조차도 몇 초 동안 고체의 표면에 충돌하는 분자의 수는 고체 표면에 노출된 원자의 수와 거의 비슷해집니다.

만약 충돌한 분자가 모두 부착되어 버리면 원래의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는 숨어버려 표면의 성질이 변할 수 있다.

그래서 통상은 0.1μPa이하의 초고진공중에 시료를 넣고 어떤 방법(스패터세척이나 벽개 등)으로 시료표면을 청정하게 해두고 나서 그 성질을 조사한다.

(주1) 토카막으로 대표되는 자기장 폐쇄형 핵융합로이다.단,

핵융합로 자체는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핵융합실험장치나 플라스마 실험장치가 이에 상당한다.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파아샬플루움(Parshall flume) 특징.pdf
0.28MB

Parshall Flume 규격

첨부자료 출처 : 환경부 / 수질오염공정시험법 / Parshall Flume

파아샬플루움(Parshall flume) 특징
① 수두차가 작아도 유량측정의 정확도가 양호하다.
② 측정하려는 폐하수중에 부유물질 또는 토사등이 많이 섞여 있는 경우에도 유량측정이 가능하다.
③ 목(throat)부분에서의 유속이 상당히 빠르므로 부유물질의 침전이 적고 자연유하가 가능하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화현상에 대해서  (0) 2022.11.05
진공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0) 2022.11.05
부유물질(SS: Suspended Slid)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열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석유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반응형

부유물질(SS: Suspended Slid) 오염에 대해서

- 부유물질(SS; Suspended Slid)은 입자 지름이 0.1㎛ ~ 2mm 정도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지칭하며, 점토, 광산 폐기물, 불용성 유기 고형물질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섞여 있는 건설지역의 경우에는 경작지의 10배, 초지의 200배 정도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부유물질이 하천 등 자연수역에 유입되면 물의 탁도를 높이고 외관을 더럽히며, 광선투과율 감소시켜 수중 식물의 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되어 호흡장애을 일으켜 집단 폐사를 불러올 수도 있다. 또한 수중 생물종수의 감소로 이어져 종국적으로 먹이사슬 파괴를 가져오기도 한다.

- 수자원의 이용적 측면에서 보면 호수, 하천 등에서의 SS 증가는 수자원의 이용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정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와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성 퇴적물이 경우에는 혐기성 발효가 일어나 BD를 증가시켜 용존산소를 감소시켜 부영양화를 초례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공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0) 2022.11.05
파아샬플루움(Parshall flume) 특징  (1) 2022.11.05
열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석유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유기물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반응형

열 오염에 대해서

- 열오염(Thermal Pllutin)은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등에서 해양으로 배출되는 온배수 영향으로 해수의 온도가 변하여 생태계에 피해를 끼치는 오염으로 지역적인 생태계 교란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박테리아, 병원성 세균 등의 증식이 활발해짐에 따라 물이 부폐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수인성 질병의 발병을 가져올 수 있다.


- 수온이 상승은 수중생물의 체온을 증가시켜 호흡량 증가에 따른 산소요구량 증가로 인하여 산소결핍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아샬플루움(Parshall flume) 특징  (1) 2022.11.05
부유물질(SS: Suspended Slid)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석유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유기물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미생물에 대해서  (0) 2022.11.05
반응형

석유 오염에 대해서

석유 오염은 원유․ 중유․ 윤활유 등과 배의 폐수․폐유 등에 의한 해수 오염으로 대규모 해양 피해를 유발 하며, 최근이 해상수송의 대규모화 심해 등에서의 석유개발이 증가로 해양에 유입되는 유류 오염사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어 심각성이 매우 크다. 해양에서의 유류사고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자동차 고속도로에서 누적된 유류 오염
- 기계 공장 등 연안시설에 의한 오염
- 탱커(유조선) 사고에 의한 오염
- 해저 유전 사고에 의하여 원유 유출 등이 있다.


석유에 의한 해양사고의 경우 광범위하게 생태계 교란을 유발시켜 복원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물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대기로부터의 산소전달을 방해하여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감소시켜 어류나 조개류 등의 집단 폐사 원인이 된다.


예를 들면 멕시코만의 원유유출 사고의 경우를 들 수 있다. 2010년 4월 미국 멕시코만 수심 1,600m에서 석유를 시추하던 Deepwater Hrizn호 폭발사고로 1일 5,000배럴에 최대 50,000배럴의 원유가 유출되어 자그마치 남한 면적(약 10만평방 km)의 절반을 넘는 해양을 오염시켰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유물질(SS: Suspended Slid)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열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유기물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미생물에 대해서  (0) 2022.11.05
중금속 오염(Heavy Metal Pllutin)이란  (0) 2022.11.05
반응형

유기물 오염에 대해서

- 유기물 오염은 자연활동에 의한 것과 인간활동에 의한 유기물 오염이 있다.

- 지연활동에 의한 유기물 오염원은 동물의 배설물, 사체 등과 낙엽 등이 썩으면서 나오는 유기물이 있으며, 미생물 등의 먹이사슬 작용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소 및 제거하는 자정능력(自淨能力)이 있어 일반적으로는 문제되지 않는다.

- 반면, 인간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기물은 지표수나 지하수에 유입하여 수질의 저하를 초래하고 수자원 이용이나 생태계 파괴를 유발한다. 특히, 호수 등의 수역에 유입된 유기물은 수중에서 균류 등에 의하여 생화학적으로 분해되는데, 이 때 용존산소가 소비되므로 지나치게 많은 유기물질이 자연수역에 유입되면 미생물이 유기물을 과량 분해하므로 수역에 영양이 많아지는데 이때 수중의 산소가 결핍 또는 고갈되는 부영양화(Eutrphicatin)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인간 활동에 의해 부영양화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문명적 유영양화(Cultural Eutrphicatin)라 하며, 유기물질에 의한 수질오염은 이를 가리키는 것이다.

- 오염수준을 나타내는 데는 일반적으로 용존산소(D; Disslved xygen)농도가 이용된다. D농도가 포화상태에 접근할수록 그 수역은 건강하며, 생명을 지지하는 능력이 크게 된다. BD는 오염유기물질의 강도를 나타내며, 수중의 BD농도가 증가하면 D농도는 감소된다. BD는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한 유기물질의 강도만을 나타내는데, 불가능한 것까지 포함한 전체유기물질의 강도로서 화학적 산소요구량(CD; Chemical xygen Demand)이 사용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석유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미생물에 대해서  (0) 2022.11.05
중금속 오염(Heavy Metal Pllutin)이란  (0) 2022.11.05
유기염소계 화합물에 대해서  (0) 2022.11.05
반응형

미생물에 대해서

미생물은 대부분이 인간에게 무해하거나 또는 유익한 것들이지만 인간 배설물과 함께 배출되는 분원성 미생물 중에는 병원균도 있을 수 있다. 병원균은 자연수역에서 오래 생존할 수 없지만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인체에 들어간 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물의 미생물 오염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서 대장균이 곧 잘 이용된다.


병원성 미생물(수인성 전염병 유발 미생물)
- 박테리아 : 살모넬라균, 이질균, 콜레라균, 장티푸스 등
- 바이러스 : A형 간염 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엔테로 바이러스 등
- 원생동물 : 지아디아, 크립토스포리디움 등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유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유기물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중금속 오염(Heavy Metal Pllutin)이란  (0) 2022.11.05
유기염소계 화합물에 대해서  (0) 2022.11.05
동물 배출물에 대해서  (0) 2022.11.05
반응형

- 중금속 오염(Heavy Metal Pllutin)이란 중금속에 의하여 일어나는 대기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식품 오염 등을 총괄하여 지칭 한다. 대표적인 중금속 오염 물질은 수은(Hg), 카드뮴(Cd), 납(Pb), 크롬(Cr) 등이 있으며 수은은 미나마타병, 카드뮴은 이따이 이따이병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 수은(Hg)은 상온에서 액체인 유일한 금속으로 인체에 누적될 경우 신경계통 등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중금속의 하나로 온도계, 압력계, 형광등, 아말감, 건전지, 곰팡이 제거제, 방청 페인트, 안료 등의 재료로 쓰인다. 특히 메틸수은은 미나마따병의 원인이 되며 수질오염으로 어패류에 축적, 이것을 먹은 인간이나 고양이에게 발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카드뮴(Cd)은 은백색의 금속으로, 자연 환경에서는 산소, 염소, 황과 같은 원소와 결합하여 여러 가지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며 카드늄 분진을 흡입한 경우에 급성 중독 증상으로써 흉통, 현기증, 구토가 일어나고 심할 때는 폐부종이 수반되며 심폐기능 부진으로 사망한다. 만성중독으로써는 콩팥기능 장해에 의한 단백뇨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뼈에 대한 영양에 대해서는 일본의 도야마현 진쓰천 유역에서 발생한 이따이 이따이병이 잘 알려져 있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물 오염에 대해서  (0) 2022.11.05
미생물에 대해서  (0) 2022.11.05
유기염소계 화합물에 대해서  (0) 2022.11.05
동물 배출물에 대해서  (0) 2022.11.05
작동거리( Working distacne)에 대해서  (0) 2022.11.04
반응형

 유기염소계 화합물에 대해서

유기염소계 화합물(rganic Chlride Cmpunds)은 염소를 함유하는 유기합성 살충제의 총칭으로 과거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환경호로몬 물질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물질은 1939년 스위스에서 개발된 DDT를 들 수 있다.


유기염소계 화합물은 살충제 등의 농약 뿐만 아니라 소독약으로서 창상 구강 및 방광의 세정, 손의 소독 등에 이용되며, 부작용은 중추신경증상이 주로 두통, 구토, 경련 등을 유발하며, 대량에서는 간 및 신장 장애가 나타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물에 대해서  (0) 2022.11.05
중금속 오염(Heavy Metal Pllutin)이란  (0) 2022.11.05
동물 배출물에 대해서  (0) 2022.11.05
작동거리( Working distacne)에 대해서  (0) 2022.11.04
방사성 폐기물에 대해서  (0) 2022.11.04
반응형

동물 배출물에 대해서

동물 배설물은 동물이 배설하는 똥과 오줌으로 사람과 집약적인 생산시스템으로 기르는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의 배설물이 주를 이룬다.


동물의 배설물은 호소의 영양화, 어류의 폐사, 토양 및 대수층의 초산염에 의한 오염, 향기의 상실, 먼지, 동물과 사람에 공통된 전염병의 전파, 전원 지대 및 하천의 레크리에이션적 이용가치의 상실 및 해충의 번식에 관계된다.

반응형
반응형

작동거리( Working distacne)에 대해서

작동거리( Working distacne)

렌즈 전면으로부터, 관찰 대상에 핀트가 맞을 때까지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작동 거리가 길수록 피사계 심도(핀트가 맞는 범위)가 넓어져, 작동 거리가 가까울수록 분해능(물건을 측정할 때의 최소 단위)이 올라갑니다.

작동 거리가 길게 나는 렌즈는 관찰하면서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방사성 폐기물에 대해서

- 방사성 폐기물은 기체, 액체, 고체 상태로 발생되며 핵에너지 개발, 핵 발전 등으로 환경에 버려지는 방사성 폐기물 의한 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방사성 물질 중에는 반감기가 긴 것들이 많은데, 그러한 것들은 수중에 남아 있다가 먹이 연쇄를 통하여 인간에게 위험을 줄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에는 액체상태의 폐기물이 주로 작용하는데, 발생원에는 우라늄 광석의 처리과정 폐수, 방사성물질 연구소, 방사성치료 병원,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들 수 있으며, 과거에는 이들 폐기물은 주로 바다나 땅 속에 폐기되어 왔다.


-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에는 농축볍, 침전, 매립, 증발, 이온 교환법, 활성탄 흡착, 막여과법 등이 있으며, 오염 이후에는 그 파장과 처리에 따른 비용이 매우 큼으로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여를 들면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12일 폭발사고가 발생, 지붕과 벽이 무너져 철골 구조가 그대로 노출됐고 흰 연기가 뿜어져 나왔다. 또한 냉각수가 흘러나오면서 대기 및 해양에 방사성 물질인 `세슘'과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도시하수(Urban Sewage)에 대해서

도시하수(Urban Sewage)는 생활배수 중 특히 도시에서 방출되는 것으로 세탁 및 식용배수, 대소변, 음식찌꺼기 등으로 유기물질이 높아 처리후 공공수역으로 배출된다.


처리가 되지 않고 수역으로 방류되는 도시하수는 물속에 있는 분해자(박테리아)가 물속의 폐기물을 식물의 기초 영양소인 질소․인․탄소 등 무기물질로 분해시켜 이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유기물 부하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 과정에서 용존산소를 과다하게 소비시켜 결국에는 유기물이나 무기물과 결합하고 있었던 산소에 의해서 염기성화 되는데 이렇게 되면 물에서 메탄가스나 유화수소와 같은 악취를 내뿜는 상태에 다다르게 되고 마침내는 더 이상 쓸모없는 지경에 몰리게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