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2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물의 순환 (Water cycle)에 대해서

- 물은 모든 생명의 근원으로 대체할 수 없는 자원이며, 지구를 푸르게 하는 가장 큰 원동력이다. 물은 한곳에 정체되지 않고 형태가 변하면서 지구 표면 내 외부를 끎임 없이 이동하며 존재한다. 지상의 물은 증발작용과 식물의 증작작용을 통하여 수직, 수평방향으로 운반되고, 강수가 되어 다시 지상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해수와 대기사이에는 증발과 강수가 되풀이 되면서 순환하는데 이를 물의 순환(Water cycle)이라 한다.

- 지구상의 물은 순환 과정에서 기체, 액체, 고체 형태로 늘 변하지만 지구상의 물의 양은 언제나 동일 하다. 또한 물의 순환은 태양의 에너지를 받아 바닷물이 증발하여 이뤄지는 현상으로 태양이 존재하는 한 시작과 끝이 없다고 할 것이다.


- 담수의 근원은 바다 표면에서의 증발에 기인한다. 바다에서 증발된 수증기 중 약 90%는 강수가 되어 다시 바다로 돌아오고, 나머지 10%는 바람을 타고 대륙으로 이동하여 강수가 되어 강물이나 지하수 형태로 바다로 흘러가 전체적인 물의 균형이 이루어진다. 또한 육지와 바다에서 증발된후 지구상에 내리는 전체 강우량 중 약 80%가 바다에 내리고, 나머지 20%가 육지에 내린다

반응형
반응형

기종선정 조견표 (전자개폐기, 배선용차단기)

기종선정 조견표 (전자개폐기,배선용차단기).pdf
0.06MB

반응형
반응형

AWG to Metric Conversion Chart

반응형
반응형

부영양화와 조류 대책에 대해서

조류와 부영양화
조류란 대부분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독립영양생활을 하는 하등식물로 생육 장소에 따라서 담수조류·해조류등으로 나눌 수 있다. 조류 발생과 관련된 생물체로는 남조류, 녹조류, 규조류 및 와편모조류 등이 있다.


이 중 남조류는 잠재적인 독성을 지니고 있으며, 남조류의 대량증식은 경제적(정수처리 비용의 증가), 사회적(위락행위 제한) 및 환경생태학적(생물다양성)으로 영향을 미치며, 남조류가 생산하는 독성물질은 수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이나 동물에게 직·간접적인 나쁜 영향을 미친다.


하천, 호수, 강이나 바다에 유기물을 함유한 생활하수와 분뇨 등이 다량 흘러 들어가면 미생물이 유기물을 과량 분해하므로 수역에 영양이 풍부해지는 현상이다. 즉 자정능력을 넘는 대량의 유기물이나 염류가 강, 바다 에 유입되면서 영양염류가 풍부해진 유역에서 수초와 조류가 번창하고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D)이 증가하게 되며 물 속의 산소 부족으로 물고기 등 수중생물이 살 수 없게 되는 현상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남 조류의 대량증식으로 인한 “녹조현상 (cyanbacterial blming)"이 발생하면서 정수처리 장 해나 남조류가 생산하는 독성물질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독성물질은 남조류 중 Micrcystis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시스틴(micrcystins)이라는 독성물질(hepattxin; 간독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남조류(Anabaena ,Micrcystis 등)는 증식․사멸과정에서 맛․냄새물질의 원인이 되는 2-MIB(2-methyl isbrnel)와 Gesmin (trans-1,10-dimethyl-trans-9-decall)이 있으며,각각 곰팡이와 흙냄새를 유발시켜 민원을 유발시키는 사례도 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의 부영양화 현상을 유발하는 조류와 특징

남조류(Micrcyctis, Anabaena,scillatria, Aphanizmenn)

여름과 가을에 짙은 녹색의 scum을 형성하여 “녹조현상” 이라고도 불리며, 물이 정체된 호수 등에서 주로발생 한다.

 

규조류(Synedra, Asterinella, Cycltella,Aulacseira)

늦가을부터 봄까지 수온이 낮을 때 주로 발생하 며, 물을 갈색으로 물들인다. 정수처리 시 여과지를 폐쇄하는 장해를 유발한다.

 

녹조류(Clsterium, Pediastrum, Btrycccus,Scenedesmus, Chlamydmnas)

남조류가 발생하기 전후에 주로 나타나며, 짙은 녹색을 띠고 얇은 녹색의 막을 형성하기도 한 다.

유글레나조류 (Euglena, Trachelmnas)

초여름과 가을철에 적갈색이나 녹색의 막을 형 성한다. 주로 얕은 연못이나 저수지에서 발생한다.

 

와편모조류(Peridinium, Ceratium, Gymndinium)

봄부터 여름철에 황갈색이나 적갈색의 띠를 형 성하고 일부 대형호소에서 담수적조를 유발한다.

황녹색조류(Urglena)

봄부터 초여름에 황색의 띠 모양을 형성하고 부영양화 초기의 호소에서 발생한다.

 

반응형
반응형

남조류의 특징에 대해서

남조류는 원핵생물(prkaryte)이면서 고등식물과 마찬가지로 두개의 광합성 시스템을 갖는 지구상의 최초의 조류
광합성을 통한 산소의 생성으로 지구 대기환경을 바꾸어 놓은 것은 물론이고 영양물질의 농도가 낮은 바다에서 유기물을 1차생산자로서 먹이사슬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으며, 또한 대기 중의 질소가스를 고정하여 생물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질소로 전환하는 질소고정(nitrgen fixatin)을 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


남조류는 편모를 갖고 있지 않으나 체내에 기포(gas vesicle)를 갖고 있어 물의 표면에 부유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콜로니(clny)나 사상체(trichme)를 형성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호수나 저수지 등에 영양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남조류의 대량증식으로 인한 “녹조현상(cyanbacterial blming)"이 발생하면서 정수처리 장애나 남조류가 생산하는 독성물질에 대한 피해가 우려

반응형
반응형

규조류 특징에 대해서

해양과 담수에 서식하는 규조류는 부유하거나 여러 매질에 부착하는 단세포성 조류로 단독형, 연결형, 작은 군체형 등의 형태로 성장하며, 규조질의 세포벽(siliceus frustule)을 갖기 때문에 규조류라 함


수중생태계의 생산자로서 그리고 어패류의 먹이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규조류는 몸 속에는 많은 세포액이 있으며, 색소체로는 엽록소와 규조소(diatmin)가 있고, 동화산물은 녹말이 아니고 지방과 볼루틴(vlutin)이라는 다당류가 있음


규조류는 무성생식 2분법으로 번식하다가 크기가 작아지면 증대포자를 이루어 원래의 크기로 회복하며, 규조류의 패각으로 만들어진 규조토는 여과기의 여과장치, 제당(製糖)의 정제와 다이너마이트의 흡착제, 연마제, 내화벽돌의 원료 등으로 사용

반응형
반응형

녹조현상 제어 방법에 대해서


영양염류 불활성화

-호수 내 또는 유입 지천에 철 또는 알루미늄 염을 첨가하여 인산염을 침전시키는 방법.

-첨가제가 생물에게 독성을 나타낼 수 있음.

교환율 높임

-영양염류의 농도가 낮은 물을 호수로 끌어 들여 교환율을 높이고 체류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생물체의 호수 내 생성 및 축적을 억제

-방출수를 호수 밑바닥에서 빼면 더욱 더 효과가 있으며 다량의 물이 필요

심층 폭기

-수온약층 아래에 있는 심층부에 산소 또는 공기를 불어 넣는 방법.

-산소가 많아지면 저질토로부터의 인 유출량이 줄어들고 철과 망간과 같은 환원물질의 양도 감소됨.

-수중 폭기가 중단되면, 다시 원상으로 돌아감.

강제 순환

-심층폭기와 유사한 방법이나 수온약층을 파괴하는 것이 주 목적임 .

심층수 방류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은 심층수를 방출시켜 영양염류의 체류 시간을 짧게 하는 효과가 있음.

-수심이 깊은 호수에 매우 효과적임.

호수 수위 낮추기

-호수 수위를 낮추어 저질토가 드러나게 함으로써 저질토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방법.

-준설 또는 저질토 도포방법을 사용할 때 전 과정으로 사용하기도 함 .

-연안대의 다른 생물상을 파괴하는 단점이 있음.

저질토 도포

-저질토를 합성수지 등으로 도포하여 저질토에서 나오는 물질을 차단하는 방법.

-저서 생물에 영향을 주고 비용이 많이 들어감.

준 설

-저질토에는 물보다 10,000~1,000,000배 정도의 인이 녹아 있으므로, 이를 준설하여 호수내의 인을 제거하는 방법.

-저질토에 영양염류가 농축되어 있는 곳에 매우 효과적임.

-처리비용이 비싸고 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준설하여 나온 저질토의 처리가 문제로 남음.

생물체 걷어내기

-수체로 부터 수초와 부착 조류를 걷어내는 방법.

-즉시 효과가 나타나나 새로운 생물체가 다시 자라기 때문에 반복 작업이 필요함(예; 팔당호의 수초제거선)

-수초는 영양염류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일부러 유입수 부근에서 키워 주기적으로 수확하면 수질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

생물학적 제어

-조류의 성장을 먹이 연쇄와 기생 관계가 있는 다른 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

-초어를 이용한 수초 제거와 동물 플랑크톤을 이용한 조류의 제거 등

-새로운 종을 이식할 때에는 사전에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함.

화학적 처리

-수초와 조류를 죽이는 화학물질을 수체에 직접 뿌리는 방법

-수초를 없애기 위한 제초제 살포, 식물플랑크톤 제거를 위한 황산구리 살포 등이 있음

-가격이 비싼 반면 일시적인 효과뿐이며 다른 생물체들에게 독성을 나타낼 수 있음.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조류의 특징에 대해서  (0) 2022.11.04
규조류 특징에 대해서  (1) 2022.11.04
상수도에 있어서의 대책에 대해서  (0) 2022.11.04
조류예보제에 대해서  (0) 2022.11.04
수도법 관련 법규 보러가기  (0) 2022.11.04
반응형

상수도에 있어서의 대책에 대해서

1) 조류는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수면에서 3m 이내에 서식함에 따라 선택취수를 통하여 수심 깊은 곳에서 취수함으로 단기적으로는 문제는 피할 수 있다.


2) 착수정에 분말 활성탄을 주입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며, 분만활성탄 주입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경우에는 취수원에 활성탄 주입시설을 일시적으로 설치하여 주입하는 경우도 있다. 조류가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분말활성탄의 수급을 사전에 고려하여야 한다.
분말활성탄은 대부분의 조류 및 조류 생성물, 맛․냄새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비상시 또는 단기간 사용할 경우 적합하며, 기존 정수공정에 주입시설 및 저장시설을 갖추어 주입하므로 접촉시설 등 추가 구조물의 증설에 요구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 다만, 탄분에 의한 흑수 누출현상이 여과지 이후에서 일어날 수 있으므로 운영에 주의를 요함.


3)염소소독의 경우 통상 소독목적으로 여과 후에 주입(후염소처리)하지만, 소독이나 살조작용과 함께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염된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대책의 일환으로 응집․침전 이전의 처리과정에서 주입하는 경우와, 침전지와 여과지 사이에서 주입하는 경우가 있다.


4) 다층여과의 경우 S ynedra 와 같은 막대 형상의 규조류는 여과지의 표층에서 대부분 제거됨에 따라 여과지속시간을 급격히 감소시킴. 이에 , 밀도와 입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여재를 수류방향에서 큰 입경으로부터 작은 입경으로 구성된 역입도의 다층여과지를 구성하면 여과지속시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


5) 오존 산화 및 입상활성탄 여과의 경우 오존처리는 소독부산물의 전구물질을 저감시키는 전처리산화제로는 물론이고 염소보다 훨씬 강력한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한 대체소독제로서 소독과 함께 맛․냄새물질의 제거를 목적으로 함.
입상활성탄 처리방법에는 흡착효과를 주체로 하는 입상활성탄 방식과 생물활성탄 방식이 있음. 기본적으로 잘 발달된 활성탄 내부세공 표면에 오염물질이 이동하여 흡착됨으로써 액상의 용존상태에서 고체상의 흡착상태로 상을 변환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임.
입상활성탄 및 오존산화 공정을 단일공정으로 운영하는 것보다 오존산화 이후에 입상활성탄 흡착공정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Gesmin, 2-MIB 등의 맛․냄새물질 제거에 효과적임.


6) 호소 등의 수원에 황산동(Cupric Sulfate, CuS4 )을 살포화여 조류의 광합성을 방해하여 사멸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생태계 영향 등을 고려하여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 해역의 적조의 경우에는 황토 흙을 살포하여 조류를 침전시킴으로서 광합성을 차단하여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조류 특징에 대해서  (1) 2022.11.04
녹조현상 제어 방법에 대해서  (0) 2022.11.04
조류예보제에 대해서  (0) 2022.11.04
수도법 관련 법규 보러가기  (0) 2022.11.04
먹는물 관리법 보러가기  (0) 2022.11.04
반응형

조류예보제에 대해서

조류예보제는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호소에 조류가 대량 증식하는 경우 정수처리 여과장치의 기능저하 및 일부 남조류에 의한 독성물질 발생 가능성이 있어 남조류 상시모니터링을 통해 사전에 조류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관계기관에 통보함으로써 조류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행하고 있다.


조류(藻類)예보제란 녹조류 발생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엽록소(클로로필-a)의 농도와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남조류의 세포수를 기준으로 발생 정도에 따라 주의보, 경보, 대발생, 해제 등 4단계로 구분​

조류주의보 : 엽록소(클로로필)-a 농도 15㎎/㎥이상, 남조류 ㎖당 500세포 이상​

조류경보 : 엽록소a 농도 25㎎/㎥이상, 남조류가 ㎖당 5천 세포 이상이면 조류경보​

조류대발생 경보 : 엽록소a 농도 100㎎/㎥이상, 남조류가 ㎖당 100만 세포 이상

반응형
반응형

수도법 관련 법규 보러가기


수도법은 수도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수도를 적정하고 합리적으로 설치·관리하여 공중위생을 향상시키고 생활환경을 개선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수도법 바로가기

반응형
반응형

먹는물 관리법 보러가기

먹는물의 수질과 위생을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국민건강을 증진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먹는물 관리법 보러가기

반응형
반응형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보러가기

먹는물관리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함
※ 먹는물 수질기준 : 동 규칙 별표1 참조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보러가기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법 관련 법규 보러가기  (0) 2022.11.04
먹는물 관리법 보러가기  (0) 2022.11.04
지하수법 보러가기  (0) 2022.11.04
박테리아(세균, Bacterium)  (0) 2022.11.04
바이러스(Virus)에 대해서  (0) 2022.11.04
반응형

지하수법 보러가기

지하수법은 지하수의 적절한 개발·이용과 효율적인 보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지하수개발·이용의 적정을 기하고 지하수오염을 예방하여 공공의 복리증진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지하수법 보러가기

반응형
반응형

 박테리아(세균, Bacterium)

살모넬라균 : 하수, 연못, 개울물, 육가공 공장 같은 산업폐수 등 오염된 곳에서 주로 발견되며 대장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질 균 : 오염된 식수, 음식물로 오염되며 편모가 없어 비운동성이다.
콜 레 라 균 : 아시아 풍토병으로 구토, 설사, 빠른 탈수가 일어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