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5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축류펌프(Axial Flw Pump)에 대해서

축류 펌프는 회전축에 평행한 케이싱 속에 놓여진 프로펠러형 날개차(Impeller)의 양력에 의해 유체에 압력 및 속도에너지를 줌과 동시에안내깃에서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화시켜주는 펌프로 프로펠러 펌프라고도 한다.

축류 펌프 임펠러(Impeller)는 선풍기의 날개와 같은 형상으로 축방향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축방향으로 유출되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유량이매우 많고 양정이 보통 10m 이하에 사용된다.

반응형
반응형

플란저 펌프와 피스톤 펌프 차이점

플란저 펌프는 자동차 엔진작용과 거의 동일한 형식으로 작동 원리는 피스톤 직선운동으로 크랭크축을 돌리는 자동차 엔진과는 반대로 모터의 회전력으로 크랜크축을 돌려 플란저를 왕복시키는 구조로 흡․토출 작용에는 밸브 기구가 있어 고형물이 있는 유체는 적용이 어렵다.
피스톤 펌프는 주사기와 동일한 형태로 펌프의 회전운동을 캠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형식과 유압작용에 의해 직선운동 에너지를 공급하는 형식으로 콘크리트, 슬러지 등 고농도의 유체 이송도 가능하다.
플란저펌프의 경우 플란저 단면이 적고, 주로 고압에 적용되는 반면, 피스톤펌프의 피스톤은 보편적으로 단면이 넓으며 비교적 저압에 쓰인다.

반응형
반응형

사류펌프와 축류펌프 특성 비교

구 분 사류펌프 축류펌프
구조 및 형태 몸통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 몸통이 일직선 원통형
일펠라는 선풍기 날개 형상,
구조 간단, 취급 쉽다
유체 유입․유출 축방향 유입
축방향과 경사방향 유출
축방향 유입
축방향 유출
회전차 작용 원심력과 양력 양력
양정,유량 중대유량 저양정에 적합
(H=5∼30m)
대유량․저양정에 적합하다
(H=10m 이하)
특 징 광범위한 양정변화에 유리
양정변화에 대해 수량변동 적고,
수량변동에 대해 동력변화 적다
체절시동 가능하다
양정변화에 유량변화 적고 효율저하 적다.
효율면이 대형에서는 원심펌프 보다 높고, 동력비 절감된다.
원심펌프 보다 부피는 약 ½로 작다
용 도 상하수도용, 냉각수 순환용, 농업용 배수용 등 증기 터빈 복수기의 순환용, 농업용, 상수도 및 하수도용 등

 

 

반응형
반응형

플란져펌프 및 피스톤펌프에 대해서

왕복동식펌프는 왕복운동을 하는 플런저(Plunger) 또는 피스톤(Pistn)이 움직임에 따fms 체적변화에 따라 물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효율이 80~90% 정도로 높아 동일 용량의 원심펌프보다 동력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토출양이 일정하고 높은 양정을 지속적으로 낼 수 있어 고압펌프로 사용하기도 한다.


플런저(Plunger)펌프의 경우 왕복운동으로 인하여 맥동이 크게 발생함에 따라 1개의 회전축에 플런저(Plunger)를 1연(개) 3연 또는 5연으로 복수화 하여 맥동을 완화하기도 하지만 완충장치인 Accumulatr, 토출압력 조절을 위한 릴리프밸브 등 부가설비 설치가 필수적이다.


Accumulatr(어큐물레이터)는유압장치에서 일시적으로 에너지를 정하는 장치로 플란저펌프 처럼 맥동이 심한 경우 최고 맥동을 저장,충격을 흡수하고 최소 맥동시 배출하여 맥동을 완화시키는 장치이다.

피스톤펌프는 가장 오래전에 발명된 펌프로서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을 왕복운동 시켜 흡입 토출시키는 형식으로 콘크리트, 슬러지 등 고농도의 유체 이송에 이용되며, 사판식의 경우에는 모터에 연결된 축이 회전하면서 PISTN SHE에 연결된 Pistn은 사판위를 미끌어지며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반응형
반응형

용적형 펌프에 대해서

용적형펌프는 펌프내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액체에 에너지를 가하는 펌프로 왕복동식 펌프와 회전식 펌프가 있다. 작동원리는 흡입과 토출 과정에서 펌프내의 체적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유체를 높은 고압으로 가압하거나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로 용적을 변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왕복동식과 회전식 펌프가 있다.

반응형
반응형

특수형 펌프에 대해서

특수형펌프는 폭발성 환경, 전원이 없는 경우, 고형물 이송 등 특수한 환경과 목적에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특수목적용 펌프로 진공펌프, 기포펌프 등이 있다.

기타 특수펌프에는 동력공급 없이 흐르는 물을 간헐적으로 막아, 그 수격작용을 이용해서 높은 곳으로 양수(揚水)하는 수격펌프. 높은 압력의 유체를 분사하여 수송하는 제트펌프(Jet Pump) 등이 있다

 

반응형
반응형

진공 펌프(Vacuum Pump)에 대해서

진공펌프는 흡입관 기밀(氣密) 용기 내의 기체분자를 제거하는 펌프로. 대기압 이하의 저압 기체를 흡인·압축하여 대기 중에 방출함으로써 용기 또는 배관 속의 진공도를 높이는 펌프로 화학공업 등의 배기, 진공발생 및 가스 압송 등에 이용되며, 수봉식과 기름회전식등이 있다


수봉식 진공펌프는, 원통형 케이성에 물을 넣고 편심하게 부착한 날개차(impeller)를 회전시키면, 물이 원심력에 의해 케이싱의 바깥둘레 부분에 동심원상으로 달라붙어 2개의 날개와 수면 사이의 공간의 부피가 날개차의 회전과 함께 변화함에 따라 흡입구에서 흡입된 기체의 부피가 날개차 안에서 서서히 감소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원리이다.․수봉식의 진공도는 절대압력으로 15kPa 정도로 낮지만, 물을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더라도 동작상 전혀 지장이 없다.․기름회전식 진공펌프는 회전자와 스테이터(실린더) 사이의 섭동부를 기름으로 실(seal)함으로써 새는 것을 막고 용적효율을 높여 고진공도를 얻을 수 있다.


확산펌프·이온펌프는 기계적 진공펌프로는 도달할 수 없는 고진공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확산펌프는 보조진공펌프로 어느 정도 진공도를 높인 다음 기름 또는 수은을 가열·증발해 노즐에서 분출시켜 그 분류(噴流)와 함께 기체분자를 외부로 배출한다.․이온펌프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높은 전위차를 두고, 그에 따라 유도된 전자를 기체분자와 충돌시켜 분자를 이온화하는데 양의 전하를 받고 이온화한 기체분자가 음극에 모여 용기 속의 기체분자는 적어진다. 이 펌프는 입자가속기·X선관 등에 사용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적형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특수형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패킹과 메카니컬 씰에 대해서  (0) 2022.11.03
마그네틱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기포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반응형

패킹과 메카니컬 씰에 대해서

펌프는 여러개의 분할되어 제작 조립되는데 접합면에서 누출방지를 위하여 패킹이 사용된다, 과거 청수만을 취급하고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목면의 그랜드 패킹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사용 유체가 다양하지고 압력이 높게 되면서 재질, 구조 등이 다양 해지면서 그랜드패킹에서 점차 기계적 씰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랜드패킹은 펌프 축이 케이싱을 관통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터핑박스 내에 들어가며, 축과 패킹간 미끄럼접촉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로 최소한의 누수가 유지되는 형태로마찰과 마모 및 누수가 상대적인 문제로 작용한다.
그랜드 패킹은 그림과 같이 롤 형태로 생산 판매되며, 현장에서 축 지름으로 절단하여 스터핑박스에 4개 정도가 삽입 설치하는데 절단 위치는 서로 다르게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패킹 누르게 볼트를 적절하게 하여 과열에 의하여 패킹 및 스터핑 박스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교체 후에는 2~3일 내에 패킹누르게 볼트를 조정하여 누수량을 줄이면서 적절하게 압력을 받도록 조절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며, 주기적으로 패킹누르게 고정 볼트를 조정하여 패킹부 누수를 적절하게 유지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켜야 한다.
그랜드패킹 재질은 목면, 석면, 가죽, 고무, 합성주시, 탄소, 화이트 메탈 등이 사용된다.
메카니칼 씰(Mechanical Seal)은 그랜드 패킹의 누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계적 씰로 사용온도와 압력 그리고 사용유체, 장착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 적용되고 있으며, 스프링이 내장되어 진동이나 변형으로 인한 누설틈새 발생에도 민감하게 대응하여 누설을 방지한다.


메카니칼 씰(Mechanical Seal)의 구조는 시이트링, 피동링, 스프링, 완충링, 축패킹, 스토퍼, 세트보울트, 그랜드커버, 스터핑박스 및 가스켓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Ring 형태의 축패킹에서 피동링과 주축의 틈새에서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막는 작용을 하고 시이트링에서 피동링과 접촉면의 누축을 막는 역할을 한다.
피동링은 일반적으로 합성고무제, 불소수지 등 재질의 오링을 사용하고, 시이트링은 카아본을 주로 쓴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형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진공 펌프(Vacuum Pump)에 대해서  (0) 2022.11.03
마그네틱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기포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펌프 분류별 특징에 대해서  (0) 2022.11.03
반응형

 마그네틱 펌프에 대해서

마그네트펌프는 화학용의 특수펌프로 회전자는 페라이트영구자석을 플라스틱으로 둘러싼 원통형이고, 한쪽 끝에 날개가 달려있고, 다른 한쪽에는 회전축 역활을 하는 구멍이 있는데, 구멍에는 실리콘 카바이드로 만들어진 '메탈'베어링이 장치됩니다. 회전축,즉 샤프트는 없는 대신 내부에 돌출된 고정축에,회전자가 내부로 들어간 구멍에 끼워져 도는 형태입니다.외부와 격리된 내부에 회전자와 회전날개가 한몸으로 구성되고, 회전자 내부에 영구자석을 넣어서 회전력을 얻는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공 펌프(Vacuum Pump)에 대해서  (0) 2022.11.03
패킹과 메카니컬 씰에 대해서  (0) 2022.11.03
기포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펌프 분류별 특징에 대해서  (0) 2022.11.03
역삼투법(RO)에 대해서  (0) 2022.11.03
반응형

기포 펌프에 대해서

기포펌프(air lift pump)는 유체에 세원진 배관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펌프로 Impeller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공기 공급만으로 작동되어 폭발 인화성 유체도 취급이 가능하다.

반응형
반응형

펌프 분류별 특징에 대해서

터보형 펌프는 항공기 터보엔진과 유사한 형태로 케이싱 내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유체가 회전하는 날개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 서 에너 지 전달이 이뤄지는 형태로 원심, 사류, 축류펌프가 있다.또한 펌프를 주축의 방향, 흡입형식 및 임펠러의 수 등에 따라 분류하며 다음과 같다.

터보형 펌프 형식, 기능 및 구조 등에 따른 분류

구 분 분 류 특 징
작동원리에 따라 원심펌프(Centrifugal Pump) 원심력 이용
사류펌프(Mixed Flw Pump) 원심력과 양력 이용
축류펌프(Axial Flw Pump) 양력 이용.
주축의 방향 에 따라 횡형펌프(Hrizntal Pump) 주축이 수평으로 배열
입형펌프(Vertical Pump) 주축이 수직으로 배열 (케비테이션에 강함)
사형펌프(Mixed Pump) 주축이 경사지게 배열
흡입 형식 에 따라 편흡입(Single Suctin) 펌프 한쪽으로 흡입
양흡입(Single Suctin) 펌프 양쪽으로 흡입
단수에 따라 단단펌프(Single Stage Pump) 회전차가 한개
다단펌프(Multi Stage Pump) 회전차가 여러 개
케이싱 형상에 따라 볼류트펌프(Vlute Pump) 토출측에 나선형 케이싱 있음
터빈펌프(turbine pump) 안내깃 있음
바렐형(Barrel type)펌프 바렐을 가진 펌프
특수형 터보펌프 수중(Submersible)모터 펌프 Pump/Mtr를 수중에 위치
자흡식(Self Priming)펌프 만수장치 없이 케이싱내에 물을 잔류시켜 급수관내 공기를 흡출하며 물을 흡입 양수한믄 펌프
인라인(In-Line) 펌프 배관 사이에 설치토록 만들어진 펌프
밀접 복식 펌프
(Clse-Cupled Pump)
펌프 모타가 Cupling 없이 동일 축으로 운전
논클로그펌프
(Nn-Clgging Pump)
고형물이 회전자 내부에 박히지 않도록 설계된 펌프로 회전차의 출구 폭이 입구 폭보다 크거나 같다.

※ 바렐(Barrel): 고온,고압의 액체를 취급하는 PUMP(특히 발전소용)에는 열팽창 및 압력에 의한 인장으로부터 PUMP를 보호하기 위하여 PUMP CASING 밖에 만들어 주는 또 하나의 보호 CASING (깡통모양 : BARREL)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그네틱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기포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역삼투법(RO)에 대해서  (0) 2022.11.03
삼투현상과 역 삼투현상에 대해서  (0) 2022.11.03
정전기의 발생 원인은  (0) 2022.11.02
반응형

탁도를 제거해야 하는 이유?

탁도는 수중에 존재하는 입자로서 크기1nm~1mm정도의 입자성물질로 수중에서 각종 미생물의 서식처 제공하여 소독제의 살균능력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이에 따라 탁도가 높을 수록 수질의 안전성이 심각히 떨어질 수 있다.

정수처리 방법

정수처리는 수돗물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으로 원수 수질과 원하는 수돗물 수질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일련의 처리 공정을 말한다.처리방법에는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인 처리방법이 있으며 대부분의 공정은 물리화학적인 복합공정이다.
정수처리의 목적은 안전한 수돗물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수질목표에 따라 수질 기준 준수하기 위한 것으로 탁도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역삼투법(RO)에 대해서

역삼투법 이란?
역삼투법은 압력에너지를 이용한 방법으로 물은 통과시키지만 용질(이온성 물질)은 거의 투과시키지 않는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에 해수를 가압하여 담수만을 분리해내는 공법으로,
역삼투막을 거친 생산수는 이온성 물질(Cl-,Na+,SO42-,Mg2+, Ca2+,K+등)이 거의 배제된다.
멤브레인은 물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은 거의 배제되고, 순수한 물만 통 과시키는 특수한 막(멤브레인)을 사용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포 펌프에 대해서  (0) 2022.11.03
펌프 분류별 특징에 대해서  (0) 2022.11.03
삼투현상과 역 삼투현상에 대해서  (0) 2022.11.03
정전기의 발생 원인은  (0) 2022.11.02
계장용 신호 종류  (0) 2022.11.02
반응형

삼투현상과 역 삼투현상에 대해서

삼투현상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양의 저농도 용액(담수)와 고농도 용액(해수)을 일정한 시간동안 두면 고농도 용액 양의 증가하게 되는 현상을 삼투 현상이라 하고 이때의 수두 차를 삼투압이라 하며, 유체는 일정 시간후 평행 상태를 유지한다.
 

역 삼투현상

유체 평행 상태에서 고농도 용액측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삼투현상과는 반대로 고농도의 용액에서 순수한 물이 저농도 용액측으로 흘러 들어가는 현상을 역 삼투현상이라 하며 가해진 압력을 역 삼투압이라 한다
 

삼투압과 역삼투압이란?

TDS 35,000mg/ℓ인 표준해수의 삼투압은 약 25bar로 해수에서 담수를 생산하기 위한 역삼투압은 42 ∼ 60bar 정도의 압력 필요하며 국내 시설의 경우 46 ~ 63bar 정도의 압력으로 운전되고 있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프 분류별 특징에 대해서  (0) 2022.11.03
역삼투법(RO)에 대해서  (0) 2022.11.03
정전기의 발생 원인은  (0) 2022.11.02
계장용 신호 종류  (0) 2022.11.02
계장용 기호정리  (0) 2022.11.02
반응형

정전기의 발생 원인은

정전기란?

'정전기'는 우리 생활에 친근한 존재입니다.옷을 벗거나 엘리베이터의 단추를 만지거나 했을 때, 탁 소리가 나면서 통증을 느낀다.

그런 경험을 누구나 한번쯤은 해봤을 겁니다.

성별·연령을 불문하고, 많은 사람이 불쾌하게 느끼는 이 귀찮은 「정전기」는, 도대체 누구일까요.

원래, 어떻게 해서 「정전기」는 발생하는 것일까.

정전기의 발생 원인

가까운 생활 속에서도 정전기는 여러 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내려 문을 닫으려다 딱 닫히는 현상이나, 접시를 덮기 위해 꺼낸 식품용 랩필름이 서로 붙어 버리는 현상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지만, 이것들은 모두 정전기가 원인입니다.

자동차의 예에서는 몸과 시트가 접촉하고 있는 것이나, 차에서 내리려고 몸과 시트가 마찰되는 것으로 인해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식품용 랩 필름의 경우는, 심에 감고 있는 랩 필름을 꺼낼(박리하는) 때에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정전기는 「접촉」 「마찰」 「박리」의 3 패턴으로 발생합니다.

정전기는 왜 일어나지?

건조한 계절이 되면 주변에 발생하는 것이 정전기입니다.

차에서 내려 문 등을 만지는 순간에 '바삭'하는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불쾌한 충격을 줄 수 있는 정전기는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사실 이 정전기가 일어나는 것은 입고 있는 옷과 무언가가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차에서 내릴 때 등은 자신이 입고 있는 것과 자동차 시트가 서로 닿음으로써 정전기가 쌓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정전기가 일어나기 쉬운 환경은 기온과 습도가 낮을 때 구체적으로 습도가 20% 이하이고 기온이 25도 이하입니다.

위와 같은 기후의 날은 정전기의 발생에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과 같은 기후의 경우 겨울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자신의 몸이 정전기에 대전되어 있을 때, 철과 같은 전기가 통하기 쉬운 물질에 닿으면 전기가 방전되어 특유의 '바칫'이 발생합니다.

정전유도작용이란

정전기를 모으고 있는 것은 의복인데 왜 몸이 대전되어 버리는가 하면 그것은 정전 유도 작용이라는 현상 때문입니다.

그 전하가 물체 주변에 만들어진 전계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전위가 상승해 버리는 현상입니다.

인체도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대전한 사람이 금속에 닿으면 정전기를 방전하기 때문에 '바칫'하고 충격을 받습니다.

어두운 곳에서는 또렷하게 불꽃을 볼 수 있습니다.

정전기를 방지하는 것은 정전기 제거 키홀더나 정전기 제거 스프레이를 옷에 뿌리는 등 하면 좋습니다.

또, 가연물을 많이 사용하는 생산 현장에서는, 작업원이 정전기를 띠어 방전하면, 그것은 쇼크에만 머무르지 않고, 폭발이나 화재등의 큰 사고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그런 현장에서는 인체의 정전기 대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재해, 장애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정전화라는 것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전기 대전방지 안전화, 보호화, 작업화(이하 정전화)는 바닥에 전기가 잘 흐르게 하기 위한 특수한 신발입니다.

신발 종류별로 전기저항이 구분되어 있고 정전기 대전방지성능을 기준으로 한 일반정전화, 특종정전화, 도전화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또 휘발유를 실은 유조차 등은 운반 중 탱크와 휘발유와의 마찰로 발생한 정전기를 대지로 도피하기 위한 체인이나 도전성 고무를 사용해 정전기를 놓치고 있다.

이렇게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있어서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정전기의 「원」은 무엇일까요?

정전기의 「원」을 더듬어 가면 그것은 원자에 닿는다.

물질을 만들고 있는 가장 작은 알갱이를 말하는데요.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돼 있고 원자핵은 양성자(플러스 전하를 가진다)와 중성자(전하를 가지지 않는다)로 돼 있다.

전자는 마이너스 전하(전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러스 전하를 가지는 양성자와 끌어당기고 있다.

전자는 원자핵이 떨어진 곳을 돌고 있기 때문에 마찰 등의 충격으로 튀어나오기 쉬워지고 있어 어떤 충격이 있으면 바로 튀어나와 버립니다.

예를 들어, 털실과 플라스틱을 서로 문지른 경우, 모사에서 플라스틱으로 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모사는 플러스 플라스틱은 마이너스로 대전합니다.

이렇게 해서 플러스로 대전한 것과 마이너스로 대전한 것이 생기는 것입니다.

정전기라고 불리는 것은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대전한 채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붙은 것입니다.

탁탁거리는 소리나 바삭 하는 소리는 정전기가 방전되어 중성상태로 돌아왔음을 나타냅니다.

이것이 '바칫'하는 정전기의 정체입니다.

적란운에 의한 천둥은, 이것이 대규모로 일어난 것입니다.

정전기는 나쁜 것 뿐만이 아니라, 정전기의 구조를 이용한 것 중에서 친밀한 것에 복사기가 있습니다.

복사기는 정전기의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거래되는 힘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읽은 원고 부분에 정전기를 대전시키고, 토너(잉크의 역할을 하는 가루)를 부착시켜 원고를 만들고 있습니다.

물질의 대전 속도를 나타내는 대전열

아래 그림과 같은 대전열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플러스로 대전하기 쉬운 것, 마이너스로 대전하기 쉬운 것의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떨어진 사람끼리 마찰하면 가장 대전하기 쉬워집니다.

정전기의 메커니즘

우리의 주위에는 여러가지 「물건」이 있습니다.

금속, 플라스틱, 섬유 등 소재와 구조는 매우 다양합니다.

이것들 우리 주변에 있는 것들은 모두 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것이든 플러스와 마이너스 두 종류의 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인간도마찬가지입니다.

보통은 플러스 전기와 마이너스 전기를 같은 수만큼 가지고 있어요.

통증의 정체와 정전기

플러스로 대전한 것과 마이너스로 대전한 것이 가까워지게 되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마이너스로 대전한 쪽의 마이너스 전기는 플러스로 대전한 쪽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균형을 되찾으려고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양자가 닿은(극도로 가까워진) 때에, 마이너스의 전기는, 플러스로 대전한 쪽으로 돌아옵니다.

이 마이너스의 전기가 돌아오는 움직임을 「방전」이라고 한다.

방전이란 즉 '마이너스 전기의 방출'이며 이 때 "사물"과 "사물" 사이에는 전류가 흐른다.

첫 번째 엘리베이터 버튼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버튼이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있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반대로, 그 때에 자신이 플러스로 대전하고 있었다고 합니다(인간은 플러스로 대전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만지면 마이너스 전기가 내 손으로 들어옵니다.

방전이 일어나고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입니다.

감전(몸이 전기에 닿음)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람은 통증을 느낍니다.

보통 이 가벼운 감전을 가리켜 '정전기'라는 말이 사용되는데, 정확히는 이것은 '정전기에 의해 일어난 방전'인 거죠.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삼투법(RO)에 대해서  (0) 2022.11.03
삼투현상과 역 삼투현상에 대해서  (0) 2022.11.03
계장용 신호 종류  (0) 2022.11.02
계장용 기호정리  (0) 2022.11.02
신호변환기의 정의  (0) 2022.11.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