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1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전기전도도 센서 전극 방식 (2전극 기준) 측정원리

정확한 크기의 두 전류전극에 구형파 교류(AC) 전압이 공급되면, 용액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전기적인 저항에 역비례하고, 용액의 전도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게 된다. 이런 전류값을 측정 하여 전도도 값을 표시.

 

- 산 및 염기성 물질은 용액에 용해가 되고,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류를 흐르게 함.

전류의 흐름은 용액 안에 전체적으로 용해된용해물질의 양에 따라 직접적으로 비례함.

- 전도도 전극의 외형적인 크기는 Cell 상수와관련되고, Cell 상수 K 는 길이/표면적의 관련식 으로 표시가 된다.

- 평판 사이의 거리 = 1.0 cm

- 각 평판의 표면적 = 1.0 cm x 1.0 cm

- Cell Constant = 1.0 cm-1

- Cell 상수 :

분석기의 측정범위를 결정하는데 사용.

분석기를 교정하는 데 사용된다.

NBS 표준에 의해 결정된다.

장단점

- Cell 상수별 측정범위의 세분화로 보다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 초순수등 전기전도도 값이 아주 작은 용액의 경우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기에 따라 저항형태로의 측정 및 표시도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 측정용액에 전극이 직접 접촉이 되기 때문에, 전극의 코팅 및 오염물질 부착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가 지속되는 경우 정확안 측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일반적으로 200mS/cm이상의 고농도 용액의 전도도 값은 측정이 어렵다.

- 센서의 재질에 따라 틀리기는 하지만 일반적 으로 내화학성이나 내열성이 좋지 않다.

반응형
반응형

pH 센서 구조에 대해서

pH 센서는 전기화학적 측정원리에 근거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용액의 pH값에 비례하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며, 전체적인 구조는 일종의 전지와 같은형태이다. 모든 전지와 마찬가지로 pH 센서도 두개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각각 측정전극(Glass Electrode)과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구분이 된다.​ 측정 전극은 용액의 pH 값에 비례하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위 그림의 왼쪽과 같은 형태로 제작이 된다.

기준전극은 위 그림의 오른쪽과 같은 형태로 제작이 되며, 측정전극과 함께 전기적 회로를 완성하며, 안정적인 비교 전원 발생으로 측정전극의 전압이 측정 pH에 의해서만 영향 을 받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측정용 기준전극은 염화칼륨(KCl)용액으로 구성되며 염화은(AgCl)의 함유량이 조절되어야 한다.

이 전해액(Electrolyte)에 은(Ag)/염화은(AgCl)전극이 설치된다. 이 반절(Half cell)의 전지(Cell)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은 KCl과 AgCl의 농도에 따라 변동하게 된다. 이 기전력은 전 대역의 pH 값에도 안정적이며 센서 출력의 전반적인 값을 변화시킨다.
센서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농도의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공정용 센서는 고농도의 전해액에서 성능과 수명이 향상된다.​

기준전극의 전해액은 반드시 이온농도가 높아 전기저항이 낮아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피측정물질과 전해액 사이에는 화학반응이 없어야 한다.

3M~3.3M KCl용액은 넓은 온도범위에서 위의 조건을 대체로 만족시켜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pH 센서에서 액체 접촉부(Liquid junction)는 기준 전극의 KCl이 측정 대상 용액과 접촉이 되는 부분으로서 여러 가지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체 접촉부는 KCl/AgCl 용액이 소모되면서 정확한 pH값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이 전해액이 측정하고자 하는 용액과“염 다리(Salt bridge)”의

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액체 접촉부(Liquid junction)는 미세한 구멍이나 다공질의 세라믹, 테프론(Teflon), 카이나(Kynar) 등의 재질로 구현 될수 있다.  이러한 통로로 인해 측정 전극과 기준 전극간의 전류 통로가 존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실험실용 센서의 액체 접촉부(Liquid junction)는 매우 작게 유지 되며 공정용의 센서에서는 보다 증가하게 된다.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이 오염되면 측정 회로상에 원치 않는 기전력이 야기될 수 있다.

이는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접촉부 전압(Junction potential)”의 결과로써, 이러한 전압은 “염 다리(Salt bridge)”를 통하여 앞으로 혹뒤로 이동하는 양이온/음이온 등의 확산 비율이 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액체 접촉부(Liquid junction)의 형태는 다음과 같으며, 각 현장 및 실험용도에 맞는 형태의 액체 접촉부 형태의 전극을사용하여야 보다 정확한 측정을 할수가 있다.​

반응형
반응형

CPVC (염화합성수지)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HT-PVC)

  : CPVC란 기존의 PVC에 염화반응을 일으켜 물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1958년 미국의 BF Goodrich에서 발명됐으며, 일반 PVC에 비해 내열성, 내압성, 기계적

    강도, 화학적 성질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수지로 현재 각종 산업 및 건설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사용가능 온도는 80~90˚ 내외. 


    (1) CPVC의 주요한 특징 

    - 단열 효과 : 금속에 비해 단열성이 뛰어나 장치로부터의 방열을 억제한다.

    - 내식성 : 산, 알칼리, 염류, 유지등에 대해 안정된 성질을 나타낸다.

    - 우수한 전기 절연성

    - 안정된 기계 강도 및 우수한 가공성 : 절단, 굽힘 등의 기계 강도가 우수한다.


    (2) CPVC의 주요 용도 : 파이프 피팅, 밸브, 도금장비, 약품라인배관, 기타 가공품



PVC (폴리염화비닐 : Polyvinyl Chloride)

  : PVC는 염소 및 에치렌의 합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염화 비닐 모노머(VCM)를 중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내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주요 특징은 CPVC와 유사하고 사용가능한 온도는 50~60˚ 내외입니다.

    (1) PVC의 특징

     우수한 투명성, 내약품성 및 내구성, 유연하고 용접성이 좋아 설치가 용이하다.
    (2) PVC 주요 사용 용도.

    - 경질 PVC : 파이프나 판재

    - 연질 PVC : 호스, 시트, 농업용 필름, 전선, 도금탱크 및 화학공업용 라이닝 재료 등  

 

베크라이트 (Bakelite)

  : 베크라이트는 충전재, 활제, 경화제 등을 베이스로 한 열경화성 수지의 일종이다.

     분제형으로 공급되며, 성형품은 저가격으로 성형성의 용이성과 다용성, 내용제성, 내화확성의 쥬요한 조합을 가지고 있다.

    지베크라이트 (일반베크), 포베크라이트 (베크판 속에 포(천)이 포함), 세포 베크라이트 (더욱 세밀한 포가 베크 내부에 포함)등 3종류로 구분되며 사용용도 및 환경에 따라서 각 특성에 따라서 사용되고있습니다.



   (1) 베크라이트의 주요 특징 ​

​   - 금속에 비해 비중이 작으나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 산업용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

   - 전기적 특성과 가공성이 좋아 응용 분야가 광범위하다.

   - 흡수율이 낮아 보관 중 휨성이 적고 적은 두께는 Punching 가공성이 좋습니다.

    - 낮은 흡수율과 높은 표면 저항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연성 보강재로 좋습니다.

    - UL-94 HB 및 V0급 규격이 승인된 난연성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   (2) 베크라이트의 주요 용도

   - 성형품 : 차량부품, 기아류, 톱니바퀴, 각종 절연부품, 소형정밀 부품, 기계부품 등등

   - 적층품 : 전기절연판, 회로판



폴리우레탄 (Poly Urethane)​

​ :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합성섬유 페를론 U로서 처음 독일에서 만들어졌다.

   알코올기 OH와 아이소사이안산기 NCO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우레탄결합으로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이다.
​   폴리우레탄은 성형이 자유롭고 경도가 20˚ ~ 120˚까지 다양하므로 일반 프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없는 산업용제를 P.U만이 만들 수 있는 유일한 소재로

   인정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1) 폴리우레탄의 주요 특징 

  - 고강도임에도 불구하고 강성을 지니고 있다.

  - 금속, 기타 재료에 접착성이 우수하다.

  - 내마모와 기계적 성질로 내유성이 우수하다.

  - 내약품성으로 산화나 노화 저항성이 크다.

  - 탄성과 진동 흡수성이 강하다.

 

  (2) 폴리우레탄의 주요 용도

  대표적인 것이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스판덱스이다.

  우레탄계 합성고무도 널리 사용되는데, 폴리우레탄에 기포가 들어 있는 우레탄폼이 침구 매트리스에 쓰인다.

 

 

U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 UHMW Poly Ethylene)​

 :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만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가리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 (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UHMW -PE )

   이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UPE 」라고 알려져 있다.

   모든 열가소성 플라스틱중에 내충격성은 최고로 뛰어나고 내마모성도 현저하게 좋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반송 기계의 가이드 레일 · 체인 가이드 · 체인

   컨베이어·롤러 등의 저마찰 계수,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주로 사용된다.

   흔히 GUR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한데, 이는 UHMW PE중 독일 훽스트사에 의해 개발된 상품명이다.

 
​​​

 (1) UPE의 주요 특징 


 - 최고의 내충격성 : 플라스틱 중에서는, 최고의 내충격성을 가진다.

 - 특별히 뛰어난 내마모성 : POM· 6 N등의 엔프라나 스텐레스보다 뛰어난 내마모성을 가진다.

 - 자기 윤활성 : UPE의 마찰계수는 무윤활조건에서 0.07에 불과하다. 이러한 수치는 강이나 신주에 윤활유를 급유한것보다 낮은 수치이다.

                        UPE에 윤활유가 가미될경우 마찰계수는 0.04로 더욱 낮아진다.

 - 내약품 특성 : UPE는 약 80여종의 약품(산 알카리용제)에 견디어낸다.

                        UPE를 각각의 약품에서 침전시켜 30일동안 관찰한결과 산화성 강산(농유산,농초산)을 제외하고는 강한 내약품성을 보아준다. 
 - 매우 낮은 흡수성 : 물이 걸리는 곳에 최적.

 - 연속 사용 온도 : 80℃  (저온 연속 사용 온도 = -100℃ )

 - 저온 특성 : 극저온 연속 사용 온도 = -270℃ , 극저온 아래에 있어서도, 높은 내충격성이나 내마모성을 지속한다.

 - 무독성 : UPE는 인체에 무해한 프라스틱으로 식품관계는 물론이고 정형외과 재료등 의료분야에까지 사용할수있는 FDA공인 프라스틱이다.



(2) UPE의 주요 용도 


- 식품 가공 기계 부품·포장 기계 부품

- 제지 기계 부품·반송 기계 부품

- 가이드 레일,  스타 호일 · 체인 가이드 · 체인 컨베이어 · 롤러 · screw 등 기계 부품

- 방현재 · 레져 시설 · 농기구 분야 호퍼, 사일로 내장 등

반응형
반응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렉산 - 폴리카보네이트, ABS 이란?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Polyethylene Terephthalate)

  :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정밀기계 부품 제작에 적합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높은 인장 및 기계적 강도, 높은 경도와 우수한 치수 안정성이 있으며, 낮은 마찰계수때문에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내약품성도 우수하고 낮은 흡수율로 식품기계등에도 사용된다.



(1) PET의 주요한 특징

    - 연속 사용 온도 80℃ 

    - 기계적 강도 : 압축 강도가 높고 내크리프성이 뛰어나다.

    - 치수 안정성 : 흡수성이 작고 선팽창 계수가 작다.

 

(2) PET의 주요 용도 : 다양한 종류의 기어, 가이드 롤러,  베어링, 식품가공기계, 포장기계, 전기전자분야 등

 

ABS (아크릴, 부타디엔,스틸렌 코폴리머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 ABS는 비정성의 스틸렌계 열가소성 수지로, 내충격성, 강성, 플로우등의 밸런스가 뛰어나 치수 안정성, 성형 가공성에도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크릴 · 부타디엔 · 스틸렌의 3개의 성분을 화학적으로 통합 시키고 , 각각의 특성을 균형있게 유지한 범용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이다.

    각 구성 성분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아크릴  :  기계적인 성능이나 내열성이 뛰어나다. 

    - 부타디엔 : 고무 성분이므로, 내충격성이 뛰어나다.

    - 스틸렌 : 성형성, 전기적 특성에도 뛰어나다.




(1) ABS의 주요한 특징

 -저온 내충격성, 내크랙성, 인장강도, 전기적 성질이 뛰어나다.

   - 2차 가공성이 용이하다 : 절단이나 구멍 뚫기등의 가공이 용이, 

                                          도장, 도금, 진공 증착, 핫 스탬프, 실크 인쇄등의 표면 처리가 용이(특히 표면 처리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많이 사용한다. ) 

                                          tapping, 인서트, 접착등의 접합이 용의.

   - 양호한 표면 외관을 가진다.



(2) ABS의 주요 용도

   - 전기, 전자 제품 : 복사기부품, 쿨러 부품, TV, 청소기, 세탁기, 냉장고 이너 박스, 냉장고 문 라이너, 드라이어, 계산기등의 부품 ·하우징

   - 차량용품 : 차량내장, 계기 커버, 층계 쉬프트 커버, 라지에타그릴, 콘솔 박스등 

   - 디스플레이 및 각종 패널 : 디스플레이, 간판, 싸인·표시판 등

   - 잡화  :  문구, 완구, 식탁 용품, 화장실 용품 등 

   - 인테리어 용품 : 화장 캐비넷, 세면 화장대, 원예 용품 등

   - 기타 :  슈우트 케이스, 서류 가방,  스포츠 용품, 가구, 악기 등

 


PC (렉산 - 폴리카보네이트 : Polycarbonate)

 

 :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는 충격에 강한 내구성과 항장력의 균형이 안맞는 결점을 가지지만 PC는 좋은 특성을 나타낸다. 
   또 크리프 특성이 뛰어나고 고온에서도 우수성을 나타낸다. 하중 굴곡 온도도 가장 높은 부류에 속해, 하중의 대소에 의해 하중 굴곡온도가 큰폭으로 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 저온 특성도 좋은 편이고 높은 투명를 가지는 비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이다.

   전기적인 성질도 우수해 온도, 주파수에 의한 변화가 적고, 흡수율도 작기 때문에 습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화학적으로도 알코올, 기름, 약산 등에 안정적인 편이다.

 

(1) PC의 주요한 특징

 

​  - 내 충격성 : 일반유리의 250배 이상으로 충격에 강하다.
  - 치수 안정성 : 온도나 수분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 내후성 : 내자외선성이 뛰어나 장기에 걸쳐 높은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 투명하고, 가공과 표면처리가  우수하고  용접과  접착이 용이하다.

  -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뛰어난 전기 특성 : 전기적 특성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절연 재료로서 뛰어나다.



(2) PC의 주요 용도

  - 투명성을 요구하는 모델 제작

​  - 통신·정보·OA기기 (휴대전화, 복사기 부품)

  - 정밀 기기 (카메라 부품, 손목시계 내부 기구 부품)

  - 광학 관련 (콤팩트 디스크, 광섬유)

  - 음향 · 가정 전기(다리미, CD플레이어)

  - 전자기기 (코넥터, 휴즈관, IC트레이)


  - 자동차 (패널, 실내등불, 테일 램프)

  - 스포츠 (스키 고글, 골프 클럽 헤드, 가라테 방어용 기구)

  - 건재 (철도용 방음벽, 축구 덕아웃, 자동 판매기, 전식싸인)



PE (폴리에틸렌 : Polyethylene)

 : 폴리에틸렌은, 「가볍다」·「녹슬지 않는다」·「썩지 않는다」라고 하는 플라스틱 공통의 특성에 화학 안정성 , 내후성 , 내수성 , 내저온 충격성 , 절연성 ,

  성형성등이 뛰어난  특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중 에서도 최경량에 속하고 가격이 저렴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공업용 재료로부터 일용 잡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

(1) PE의 주요한 특징 ​

​  - 밀도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고밀도 폴리에틸렌 = 경질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 (저밀도 폴리에틸렌 = 연질 폴리에틸렌)

  - 식품위생성이 우수하다 : 식품위생법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저온 특성이 뛰어난다 : 상당한 저온 에서도 무르게 되지 않는다.



(2) PE의 주요 용도

  -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 샴푸 용기 · 등유캔 · 세제 용기 · 도시가스용 파이프 · 수도용 파이프 · 어선용 로프 · 어망 · 맥주용기등

  -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

     : 식품 포장 · 쓰레기봉지 · 농업용 필름 · 마요네즈/케찹 용기 · 농업용 파이프 · 병류 캡 · 식품용 씰 용기 · 내장 피복제등

반응형
반응형

PP (폴리프로필렌 : Polypropylene)

  : 폴리프로필렌(PP)의 성질의 대부분은 폴리에틸렌(PE)과 유사하지만, 스트레스 분쇄 특성, 투명성, 항장력등은 폴리에틸렌(PE)보다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높은 기계적 강도와 인장강도를 갖고 있지만 충격강도는 낮은 편이다.  기계적 특징은 HDPE보다 더 좋으며 용접이 가능하다. ​



(1) PP의 주요한 특징

  - 연속사용 온도는 5~100도 사이이고, 영하의 온도에서는 취약하다.

  -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표면강도가 높다.​ 전기적 특성도 우수하다.

​  - 경량 특성 : 플라스틱 중 에서 가장 비중이 작은 부류에 속한다.

  - 산화저항력 및 충격강도, 내후성은 취약하다.  

  -  PP특유의 경첩 특성 : 반복해 휨에 강한 「경첩 특성」을 가진다.

  - 식품안정성 : 식품위생법에 적합한 물질이다.  

 

(2) PP의 주요 용도

  - 자동차 부품 : 범퍼 · 문 프로텍터 · 에어클리너 · 팬 등

  - 가정 전기 부품 : 세탁기(세탁조) · 냉장고(쟁반부품) · 텔레비젼(백 커버) · 스피커(하우징) · 환기용 선풍기 (팬)등

  - 식기 · 탁상 용품 · 문구 · 사무 용품 · 의료용 용기(일회용 주사기·약품 용기등 )

  - 식품 포장 필름 : 스넥 과자 · 인스턴트 식품 · 빵등의 상품 포장용 종이가방 등





POM (폴리옥시메틸렌 : Polyoxymethylene)

  : 폴리옥시메틸렌은 코폴리머 그레이드의 결정성 폴리머이며 100도의 온도까지 사용됩니다. 코폴리머 그레이드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습기에 안정적이고

    가공이 쉬우며 호머폴리머보다 열적 안정서과 알칼리에 더욱 강합니다.


(1) POM의 주요한 특징

  - 연속 사용 온도 : - 45℃ ~ 100℃  

    (융점, 열변형 온도등 단기적인 열적 성질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고온 공기중, 고온열수중에서의 장기적인 사용에도 발군의 내구성을 나타낸다. )

  - 내약품 특성 : 무기 약품 · 유류에는 뛰어난 내구성을 나타낸다.

  - 내크리프성 : 넓은 온도 범위에서 뛰어난 내크리프성을 나타내, 각종의 기름이나 약품 중에서 거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 내피로성 : 반복 충격이나 연속 진동 사용에도 피로하지 않고, 안정된 성능을 계속 유지한다.

  - 마찰 · 마모성 : 열가소성 수지중에서 가장 내마찰 마모성이 뛰어나고, 자기 윤활성이 있기 때문에 무급유 부품으로서 넓게 사용된다.

  -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뛰어난 기계 특성



(2) POM의 주요 용도

  - AV기기 : 비디오 데크 · CD/LD플레이어 · 라디오 카셋트 · 헤드폰 스테레오

  - OA기기 · 가전 : 프린터 · 키보드 · 조리 기구 · 청소기 · 세탁기 · 다리미

  - 자동차 부품 : 라지에타드렌콕크 · 리모콘 도어미러

  - 정밀 · 산업 기기 : 카메라 · 시계

  - 일상생활 용품 : 문구류 · 보온병 · 완구의 기어  

​​
MC Nylon (모노머 캐스트 나일론 : Mono Cast Nylon)

​  : 카프로락탐의 음이온 중합에 의해 성형한 Amide 그룹 -CONH-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POLYAMIDE 6로 불리는 가장 기본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이다. 기계적 강도와 자기윤활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좋아 금속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고속회전 및 고온에서 연속사용이 가능하므로 탁월한 물성의상업용 소재이다.



(1) MC Nylon의 주요한 특징
물리적 성형방법이 아닌 화학적 변화에 의한 성형방법이므로, nylon-6에 비해 약 10배 이상의 분자량과 2배정도의 결정화도를 바탕으로 잔류응력의

발생소지가 적다.

- 뛰어난 기계적 강도 

  (종래의 나일론 수지에 비해, 기계적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다. 치수 안전성,열적성질, 소음방지, 내부식성이 우수, 내피로성과 우수한 CREEP 특성)

- 내마모성과 자기윤활성이 우수 (뛰어난 미끄러짐 성능,비철계통의 대체 소재로 적합)

- 내약품 특성 (유기 용제, 유지, 알칼리성 약품에 침범되기 어려운 내약품성을 가진다. )

- 연속 사용 온도 = 120℃

 

(2) MC Nylon의 주요 용도

차바퀴, 톱니바퀴, 기어, 롤러, 베어링 ,절연재등


 

PEEK (피크 : Poly ether ether Ketone)

PEEK는 용해 성형 가능한 결정성 수지로서는, 가장 높은 내열성(연속 사용 온도는 250℃, 짧은 기간 사용의 경우 300℃)을 가진다.

내피로성, 내환경성, 난소성(부식성 가스를 내지 않고, 연기의 발생도 적다) 등이 뛰어나므로, 전기·전자 분야, 항공우주 분야등 , 엄한 조건하에서 고성능을

요구하는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기계적 성질은, 강성과 함께 신장율도 크고, 내충격성이 뛰어나 지극히 강인한 재료이다.

첨가물의 유무에 따라 PEEK 1000, PEEK GF30 (PEEK + Glass Fiber 30%), PEEK CA30 (PEEK + Carbon Fiber 30%), PEEK HPV (PEEK + CF + PTFE +

Graphite),  PEEK HT (고온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새로운 Grade의 PEEK로써 용융온도가 374도 정도로 매우 높다)등으로 구분이 된다.

 

(1) PEEK의 주요한 특징 

- 연속 사용 온도 : 250℃  (고온하에서의 연속 사용가능 )

- 특별히 뛰어난 내약품 특성 : 광범위한 약품에 대해, 뛰어난 내성을 나타낸다.

- UL규격 94 V-0 : 내연소성, 저발연성이 뛰어난다.

- 열수 · 수증기 중에서 안정된 물성 : 250℃의 가압열수중/수증기중, 3000시간 방치 후도 물성에 대부분 영향 없음.

- 뛰어난 내방사선성 : 방사선 안정성이 뛰어나다.

-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뛰어난 기계 특성 : 높은 기계적 강도 · 응력왜 특성 · 내크리프성 · 피로 특성을 나타낸다.

- 식품위생법으로 적합하다.

- 뛰어난 전기적 특성, 내후성이 뛰어나다.

 

(2) PEEK의 주요 용도 

- 계측 기기 부품·각종 정밀 부품
- 각종 식품 가공 라인
- 반도체 제조 관련 설비·도금 가공 기기 관련 부품·금속 표면 처리 관련 설비
- 원자력 관련 설비
- 반도체 제조 관련 설비·절연재
- 자동차 부품·항공기 부품·각종 제조 라인용 부품
- 열수 · steam용 밸브 · 펌프 · 배관등의 부품

반응형
반응형


간균으로 oxidase음성인 세균을 총칭한다.

대장균군은 Escherichia, Citrobacter, Klebsiella, Enterobacter 등이 포함되는 가장 오래된 지표 미생물로 수질 기준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특이성이 분원성대장균군, 대장균보다 떨어진다.



분원성 대장균군(fecal coliforms or thermotolerant coliforms)

 
대장균군과 같은 정의에서 배양온도가 44℃로 높기 때문에 열저항성 대장균군이라고도 한다.

온혈동물의 장내온도를 감안하여 자연환경에 있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면서 장내세균이 자랄수 있는 온도에 배양함으로서 좀더 특이성을 높이므로 분원성

오염에 더욱 가까운 지표미생물로 간주된다.



대장균 (Escherichia coli)

 
대장균은 단일종의 세균으로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장내 우점을 이루는 통성혐기성세균이다.

대장균군, 분원성 대장균군보다 분원성 오염에 대한 특이성이 높다. 어떤 strain은 병원성이나 장독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나 대부분이 비병원성이다.



분원성 연쇄상구균(fecal streptococci)

 
그람 양성 구균이며 Catalase음성으로 45℃에서 40% 담즙과 0.04% sodium azide에서 잘 성장하는 특성을 지님.

세균분류상 Lancefield's serological group D 에 속하여 group D streptococci라고도 한다.

대장균보다 재성장이 낮고 생존능력이 좋으므로 대장균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된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그람음성 호기성 간균으로 상처부위나 귀, 요도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회성 병원균임. 입원환자나 해수욕장 수영자 등에 잘 나타난다.

녹농균은 자연계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분원성의 특성이 적으나 유기물 오염에 비례하므로 먹는샘물의 병입취급과정이나 병입후의 외부 오염에 대한

지표로 사용된다.



아황산환원 혐기성 포자생성균(Sulfate-reducing spore-forming anaerobe)

 
대표종이 Clostridium perfringens이며 운동성 없는 그람 양성 간균.

온혈동물의 분뇨에서 유래하며 농도는 대장균보다 낮으나 포자생성능으로 장기간 생존하여 다른 지표세균이 사멸한 후에도 분원성 오염을 지표한다.

염소소독이나 가온처리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기회성 병원균으로 식품 poisoning이나 가스회저현상을 보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pH 측정전극의 단면 

pH 측정전극이 수용액과 접하게 되면 pH에 반응하는 유리격막(Membrane)에 겔층(Gel layer)이 발생되고 피측정용액과 외부겔층의 계면에서 수소이온의열역학적 평형이 이루어진다. ​이 2상에서 수소이온활량이 상이하면 수소이온의 이동이 발생한다.

이것이 각 상의 층에 전하를 발생시키며 그 이상의 수소이온의 이동을 막는다. 따라서 용액과 겔층에서의 수소이온활량의 차에 해당하는 전위를 발생시킨다. 

​겔층의 수소이온의 수는 유리격막의 규산분자구조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일정하며 피측정용액과는 무관하다.

​외부 겔층의 전위가 유리격막 내부의 Li+이온에 의하여 유리격막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여기서 또 다른 계면전위가 발생한다.



피측정물질의 pH 값에 따라 H+이온이 겔층으로 확산되어 들어가거나 나오거나 한다.

알카리성용액에서는 H+이온이 밖으로 확산되어 나오고, 겔층 외부에는 음전하를 띄게 된다.

측정전극 내부에는 일정한 pH값을 갖는 완충용액이 들어 있어 유리격막 내부의 전위차는 일정하다.

유리격막에 발생되는 총 전위차는 격막 내외부의 전하의 차에서 비롯된다.

​pH 기준전극의 확산전위

pH 기준전극의 Junction은 측정회로중에서 확산전위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부분이다.

확산전위는 모든 pH 측정회로의 전위중의 하나로써, 상이한 용액의 pH값을 비교한다는 것은 엄밀한 의미로서는 용액의 확산전위가 동일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실제로는 확산전위가 반드시 같지는 않다. 그러나 확산전위를 작고 일정하게 할수는 있다.

이온의 이동속도는 이온의 전하와 그 크기로 결정된다. 이온의 크기는 이온의 수화층으로 결정된다. 수용액중의 모든 이온은 이와 같은 층으로 쌓여 있다.

따라서 작지만 높게 수화된 Li+이온은 크지만 낮게 수화된 K+ 이온보다 느리게 이동된다.

모든 다른 이온에 비하여 H+과 OH-이온의 이동도는 매우 높다. 위의 그림과 같이  Na+이온과 Cl-이온이 용액 1에서 용액 2로 Junction을 통하여 확산될 경우 Cl-

이온이 Na+ 이온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므로 전하분리가 일어난다. 이런 전하분리가 확산전위를 만들며 확산전위는 전하의 이동을 방해한다.

따라서 열역학적 평형에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Junction부분이 전극의 응답속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위와 같은 이유에서다.

따라서 Junction부분이 직경이 큰 다공성이면 전해액이 빨리 흘러나와 전극의 응답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이런 확산전위를 최소화한 기준전극 전해액이 KCL용액이나 KNO3용액이다.

반응형
반응형

US EPA Method 180.1 및 ISO Method 7027에 대해서

US EPA Method 180.1

US EPA 180.1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채택된 규정이다.

이 규정은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Method 2130B에도 준용되었다. 

 
다음은 US EPA 180.1 규정이 요구하는 설계 지침이다.

(1) 기본 감지기는 Nephelometric 측정위치에서 ±30。이내에 위치함.

(2) 광원은 텅스텐 필라멘트 램프이고 밝기는 2200~3000K 이내임.

(3) 감지기의 광 스펙트럼은 400~60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빛일 것.

(4) 측정 범위는 0~40 NTU 이내일 것. 이 범위를 초과하는 시료는 범위 이내로 희석하여 측정할 것.



US EPA 180.1 규정은 다음의 장점을 갖고 있다.

(1) 짧은 파장 대역의 빛을 사용하므로 작은 미립자 산란에 더 민감하다.

(2) 텅스텐 램프 조사광은 860nm 대역의 광원보다 작은 미립자 산란도가 9배 이상 높다.

(3) 1.0 NTU 이하의 정수 측정에 보다 적합하다.

(4) 텅스텐 램프는 구하기 용이하며 염가이다.

(5)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이해하기 용이하다.

 
이 규정에는 두 가지 결점이 있다.

(1) 400~600nm 파장 대역에서 색상이 빛을 흡수하는 간섭 현상이다.

(2) 텅스텐 광원은 안정성을 찾기 위해 예열(warm-up) 시간이 요구되며 자주 표준화를 실행해 주어야 한다.



US EPA 180.1 규정을 채택한 음용수 관련 지침은 저탁도 측정에 대해서만 특히 적용된다.

과거에는 정수장의 공급수는 측정 결과의 95%가 0.5 NTU 이내이며, 최대 2 NTU 이내로 규정되었다.

98년에는 규정이 보다 엄격해져 측정 결과의 95%가 0.3 NTU 이하이며, 최대 탁도가 1.0NTU 이내로 규정이 강화되었다.

많은 정수장이 「Partnership for Safe Drinking Water」 규정에 따라 최대 탁도가 0.1NTU 이내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탁도계는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기기 간의 오차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ISO Method 7027

ISO 7027 규정은 양조산업에서 기원을 두고 있으며 유럽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규정은 1980년대 이후 수질 측정결과 보고용으로 채택되었다. 

 
다음은 ISO 7027 규정이 요구하는 설계 지침이다.

(1) 기본감지기는 Nephelometric 측정 위치(90)에서 ±1.5。 이내에 위치함.

(2) 광원은 860nm 파장을 가질 것. LED 또는 텅스텐 필라멘트 램프에 필터를 채택하여 860nm 파장을 갖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음.

(3) 광 스펙트럼 폭은 860 ±  30nm 이내 일 것.

(4) 측정범위는 0-40 NTU 이내일 것. 이 범위를 초과하는 시료는 범위 이내로 희석하여 측정할 것.

 
ISO 7027 규정의 강점은 단색화 광원을 사용하므로 안정성이 있으며, 색상을 함유한 시료의 간섭현상이 적으며, 산란광도 적다.

주요 결점은 긴 파장 대역의 광원을 사용하므로 작은 미립자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떨어진 감도는 증폭할 수 있으나 이것은 저탁도 측정에 노이즈를 증가시킨다.

낮은 측정범위에서는 US EPA 180.1 규정을 채택한 기종보다 측정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반응형
반응형

염소요구량 실험할때 주의할점은 


이론적으로는 암모니아가 염소와 반응하여 결합형 잔류염소(염화암모늄, 이염화암모늄, 삼염화질소 등)로 완전히 전환된 후 유리잔류염소가 나타나야 하지만

암모니아가 결합형 잔류염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반응시간 부족, 미반응상태 등)에서도 여과수(또는 정·배수)에서 암모니아성질소와 유리형의 잔류

염소(과량의 염소투여시)가 모두 나타날 수 있으며 추후반응에 의해 미량의 암모니아성질소는 결합형 잔류염소인 클로라민류로 서서히 전환될 수 있다.

 
물에 대한 염소의 소독반응은 물의 온도에 따라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미국 EPA의 정수처리 소독규정에는 물의 온도, 염소의 농도 및 접촉시간 등에 따른 미생물(Giadia 또는 Virus)의 불활성 값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염소와 발색제인 올토-톨리딘(O-T)과의 반응에서 온도의 영향에 따른 반응속도는 일반적인 화학반응에서와 같이 온도가 낮을 때 화학반응속도가 느리다.

현재 우리나라 정·배수지의 수온은 4계절 10∼20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잔류염소측정실험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수장에서의 소독관리는 암모니아성질소 등의 유기물 제거와 함께 물의 온도, 물에서의 잔류염소의 농도 및 물과 소독약품의 접촉시간 등을 모두 고려한

불활성비값(실제 CT값/ 요구 CT값)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Giardia, Virus 등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이론적인 CT 요구값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나, 미국 US-EPA에서는 Giardia 99.9% 제거는 Virus 99.

99% 제거와 같은 값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론적인 CT요구값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수온, pH, 잔류염소농도, 체류시간(정수지나 배수지 최소수위, 면적 및 최대유량통과시간의 체류시간(일평균생산량에

의해 계산됨), Baffle에 따른 T10/T값, 탁도(최근 3개월간 평균값)가 있다.

불활성비는 CT계산값/CT요구값으로 구하는데, 이 값이 1이상이어야 소독이 안전하다고 한다다. 그러나 불활성비에 대한 적정범위는 정하여져 있지 않다.

다만, 높은 CT값을 얻기 위해 정수지에서 소독시 잔류염소농도를 높이면 THM 등의 소독부산물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통상적으로 0.5∼1.5 mg/L 정도의 잔류

염소를 주입하고 있다.

또한 이론 CT값 표의 1∼3-log의 적용은 탁도 값이 0.5NTU 이하인지 또는 이상인지에 따라 1-log값 또는 3-log값으로 적용하고 있다.




* C : 소독제의 농도 ( Concentration )

   T : 소독제와 물과의 접촉시간 ( Contact time )

   요구 CT값  : CFR 40 ( Code of Federal Regulation : 미국 규정집 )에 수록되어 있음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 측정전극의 단면  (0) 2022.11.11
US EPA Method 180.1 및 ISO Method 7027에 대해서  (1) 2022.11.11
진공측정기 종류에 대해서  (0) 2022.11.11
로트(Lot) 란?  (0) 2022.11.10
가속도원리와 종류에 대해서  (0) 2022.11.09
반응형

스마트계측기 수질검사키트 카다로그 다운로드

스마트계측기 수질검사키트 카다로그.pdf
1.21MB

 

다항 목 수질측정키트
5WayKit-city  /  5WayKit-Eco  /  SchoolKit-com…………………………………………………….…………………… 4 Page
다항목 수질측정키트 (Multi parameter Water Test Kit)
SchoolTestKit-SCK  /  비색계 (Colormeter)  /  eXact Eco-Check……………………………………………………… 5 page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WAK-COD-2  /  WAK-COD(D)-2  /  WAK-COD(H)-2  /  WAK-COD-WR...................................................................6 page
BOD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OD-K  /  BOD-H  /  WAK-BOD  /  WAK-BOD(D)……………………………………………………….……………… 6 page
잔류염소 (Residual Chlorine)
B50-FreeCl (481026)  /  B50-FreeClH1 (480022)  /  B50-FreeClH2 (480024)…………………......…………………… 7 page
용존산소 (Dissolved Oxygen)
K7512-DO  /  K7501-DO  /  K7540-DO………………………………………………………………………….…………… 7 page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B50-H2O2(480014)  /  B50-H2O2L1(481015)  /  K5510-H2O2………………………………………………………… 8 page
pH (수소이온농도)
PH-UNIV(07011030)  /  PH-WR(07011040)  /  B50-ExpH……………………………………………….……………… 8 page
총경도 (Total Hardness) 
B50-Hard (480008)  /  WAK-TH  /  K4520-Hard…………………………………………………………………………… 9 page
비소 (Arsenic)
Ars5-Quic…………………………………………………………………………………………………………....………… 9 page
Ars5-QuicW………………………………………………………………………………………………………..………..…… 9 page
Ars5-Quic2…………………………………………………………………………………………………………………..…… 9 page
철 (Iron)
B25-Iron (480025)  /  WAK-Fe  /  K6010-Iron………………………………………………………………….………… 10 page
페놀(Phenol)
K8012-PNL  /  WAK-PNL………………………..…………………………………………………………………………… 10 page

총질소 Total Nitrogen (Inorganic Substance) / 질산성질소 (Nitrate Nitrogen) / 구리 (Copper)
WAK-TN-i-3……………………………………………………………………………………………………………………. 11 page
WAK-NO3  /  K6909D-NO3…………………………………………………………………….……………………………. 11 page
B25-CoppL1 (480042)  /  WAK-Cu  /  K3510-Copp.............................................................................11 page
 인산염(Phosphate)
인산염(Phosphate)....................................................................................................................... 12 page
WAK-PO4  /  B50-Phos (481349)  /  K8510-Phos .............................................................................. 12 page
크롬산염 (6가)Chromate (hexavalent)
WAK-Cr6+  /  K2810-Chro............................................................................................................. 12 page
총중금속 (Total Heavy Metal) 
B50-Meta (480309)  /  WAK-Me...................................................................................................... 13 page
시안화물 (Cyanide)
WAK-CN-2  /  B50-Cn (484003)  /  K3810-Cn..................................................................................... 13 page
질산염 , 아질산염 (Nitrate & Nitrite)
B50-NO (480009).......................................................................................................................  14 page
암모니아 (Ammonia)
BB25-Ammo (483343)................................................................................................................. 14 page
망간 (Mananese)
P24-MangL1 (481020)  /  WAK-Mn................................................................................................. 14 page
박테리아 (Bacteria)
P30-Bact (481195)  /  P2-Bact (487999)......................................................................................... 15 page
아연 (Zinc)
WAK-Zn  /  WAK-Zn(D)  /  B50-Zinc (480026).................................................................................... 15 page
측정항목
측정 항목 상품 리스트 ................................................................................................................ 16 ~ 25 page

 

 

반응형

'카다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계측기 품질계측기 카다로그  (1) 2022.11.11
반응형

진공측정기 종류에 대해서

1.부르돈관 진공계(Bourdontube gauge)

차압(한쪽 압력은 보통 대기압)의 힘으로 탄성 변형된 변위를 바늘에 전달하여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진공계입니다.측정부와 표시부가 하나로 되어 있어 간편하고 저렴하지만 대기압 부근의 압력만 측정할 수 있습니다.

2.마노미터(manometer)

진공계로 이용되는 마노미터는 길이가 1m 남짓한 U자 모양의 유리관내에 절반 정도의 높이까지 수은을 채워 눈금판(잣대)과 함께 연직 설치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의 한쪽 끝은 대기에 개방하고 다른 한쪽을 진공계에 접속하면 대기와 압력차가 그대로 2개의 관내 수은면의 높이로 표시됩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이 높이의 차이(수은주)를 mm 단위로 나타낸 압력이 Torr이며 차압이 1기압이면 수은주는 760mm가 됩니다.

절대압 측정이 가능하고 확실한 진공계이지만 독성이 있는 수은을 취급하기 때문에 다양한 주의와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계기를 교정하는 장소 이외에서는 격막 진공계로 바뀌고 있는 것 같습니다.

3.맥클라우드 진공계(McLeod gauge)

마노미터와 함께 절대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압계로 맥레오드로 발음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구조는 약간 복잡하지만 비측정계의 기상을 기존 용적의 공간에 넣어 압축하고 그 결과 증가한 압력을 수은주로 표시합니다.

마노미터보다 낮은 압력을 높은 신뢰성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수은을 사용하는 것, 연속해서 측정할 수 없는 것 등에서 계기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 외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4.격막 진공계(diaphram gauge)

차압의 힘으로 얇은 판을 탄성 변형시켜 그 변위에서 압력을 구하는 전압계입니다.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점에서는 부르돈관과 동일하나, 보다 낮은 압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전기 신호도 쉽게 꺼낼 수 있습니다.

단 하나의 측정자로 측정 가능한 압력범위는 3자리 정도이며, 위 그림에 나타낸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측정자(압력영역에 따라 두께 등이 다르다)를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5.피라니 진공계(Piranigauge)

대표 길이가 기체의 평균 자유행정보다 충분히 작을 경우, 즉 분자류 영역에서는 기체 분자가 고체로부터 빼앗는 열량은 압력에 비례한다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유회전 펌프로 도달 가능한 중진공을 측정하는 데 자주 이용됩니다.

6.열전쌍 진공계(thermocouple gauge)

피라니 진공계와 동일한 원리로 압력을 측정합니다.

피라니 진공계에 비해 다소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회로가 단순하고 저렴한 것이 특징입니다.

7.가스라관(Geisslertube)

고전압 방전의 형상이나 색상으로부터 대략적인 압력을 판단하는 진공계입니다.

압력이 명시되지 않으므로 진공계로 분류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전리현상을 이용한다고 되어 있지만 격려된 원자도 빛을 발하기 때문에 전리량만을 관찰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여러 가지 단점은 있지만 구조가 간단한 점, 멀리서도 시인성이 좋은 점, 기체에 따라 방전색이 다른 점 등으로 인해 조경계의 압력모니터나 누출검사기로 지금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8.페닝 진공계(Penning gauge)

가스라관과 마찬가지로 기체의 방전현상을 이용하는데, 전리한 이온의 수에서 압력을 환산하기 때문에 정량성이 있습니다.

또, 자기장을 병용 해 전자의 비행 시간을 길게 하기 때문에, 가이스러관보다 낮은 압력으로 방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전리진공계보다는 정량성이 떨어지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측정자가 잘 손상되지 않으므로 고진공 영역에서 정밀도가 덜 필요한 압력 측정에 자주 이용됩니다.

9.이온화 진공계(ionization gauge)

가열된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가속시켜 기체 분자와 충돌시키면 이온이 생성됩니다.

이온 생성량이 기체 분자의 밀도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전리 진공계입니다.

페닝 진공계도 전리 현상을 이용하지만 방전에 의한 것이므로 냉음극 전리 진공계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전리진공계는 열전자에 의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열음극 전리진공계라고 불러야 하지만 관용적으로는 단순히 전리진공계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슐츠 게이지나 B-A 게이지도 전리 진공계의 일종으로, 고진공에서 초고진공 영역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진공계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0.질량분석계(massanalyzer)

전리진공계와 구조는 비슷하지만 특정 질량/전하비를 가진 이온만 검출함으로써 분압, 즉 기체의 조성을 알 수 있습니다.

진공 중에 잔류하고 있는 기체의 분압을 측정한다고 해서 잔류가스분석계(RGA-residual gassanalyzer)라고도 불린다.

또 특정 질량/전하비를 가진 이온을 선택하는 기구에 네 가지 전극을 이용하는 분석계는 4중극질량분석계(QMA-quadrupole massanalyzer)라고 한다.

특정 기체만 검지하고 싶을 경우에는 필수적 분석계로 용도가 특수한 관계로 '진공계'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스마트계측기 품질계측기 카다로그

 

스마트계측기 품질계측기 카다로그.pdf
1.39MB

 

1.도막 두께 측정기

MG-101 .......................................................................................................................................4
MG-105/105A ..............................................................................................................................4
MG-411/401 ................................................................................................................................4
MG-405 ......................................................................................................................................4
PT-6000-F/N/FN (일체형) ..............................................................................................................(5
PT-6000-FS/NS/FNS (케이블형) ......................................................................................................(5)
PT-6000-F0S/N0S (작은 부위용) .....................................................................................................(5)
PT-6000-FTS/FNTS (두꺼운 샘플용) .................................................................................................(5)
DFT-Ferrous/Combo (보급형) ........................................................................................................(6)
PT-200-B/C/D (비금속용) ..............................................................................................................(6)
PT-PC (비접촉식-분체도장용) ...........................................................................................................(6)
PT-F/G (영구자석타입) ...................................................................................................................(6)
QN-4200©-F ..............................................................................................................................(7)
QN-4500(C)-FN ..........................................................................................................................(7)
QN-7500(C)-FN ..........................................................................................................................(7)
QN-8500-FN/FT ..........................................................................................................................(7)
QN-5500©-F/N/FN .....................................................................................................................(8)
QN-9500(C)-F/N/FN ...................................................................................................................(8)

2. 도금 두께 측정기
CT-3 (전해식-아날로그타입) ...........................................................................................................(9)
CT-4 (전해식-디지털타입) .............................................................................................................(9)
GCT-311 (전해식-PC형) ...............................................................................................................(10)
GCT-311 STEP (전해식-다층니켈형) ...............................................................................................(10)
측정 가능 도금 / 하지 조합 및 사용 시약 ......................................................................................... (11)
D-20 (와전류-아날로그타입) .........................................................................................................(12)
DMC-211(와전류-PC형) ..............................................................................................................(12)
측정 가능 도금 / 하지 조합 및 측정 범위 ...........................................................................................(13)
CMI243 (와전류-휴대형) .............................................................................................................(14)
CMI95M(동 두께측정기) ..............................................................................................................(14)

3. 초음파 두께 측정기
Multigauge 3000(수중용) ..........................................................................................................(15)
Multigauge 5500 .....................................................................................................................(15)
Multigauge 5600 / 5700 ............................................................................................................(16)
UTG-C / M / P ............................................................................................................................(16)

4. 표면조도 / 광택계
S4001 / 4002 / 4003(건식) ................................................................................................................................(17)
S3002(습식) ..................................................................................................................................... (17)
PT-HHD(건식) ...................................................................................................................................(17)
PT-LPD(습식) .....................................................................................................................................(17)
X1003 / 1004(수동-아날로그) ............................................................................................................(18)
X3001 / 3002(수동-디지털) ..................................................................................................(18)
PT-ATM20/50 (수동-디지털) .................................................................................................(18)
PT-ATA20/50 (자동-디지털) ..................................................................................................(18)

5. 표면조도 / 광택계
R1004(표면조도계-아날로그) .........................................................................................  (19)
L P5710(표면조도계-아날로그) ................................................................................................(19)
PT-RTR-H(표면조도계-디지털) ................................................................................................(19)
PT-RTR-3D(표면조도계-3D) ...................................................................................................(19)
G2001/2002(표면광택계) ......................................................................................................(20)
Solo/Duo/Poly Gloss(표면광택계) ...........................................................................................(20)
IG-331(표면광택계) .............................................................................................................(20)
IG-320(표면광택계) .............................................................................................................(20)
X2001/2002(크로스커터) ......................................................................................................(21)
PT-SHDA/SHDD(쇼어경도계) .................................................................................................(21)
PT-BHI(바콜경도계) .............................................................................................................(21)
BTT-800(벨트텐션측정기) ......................................................................................................(21)

6. 기타측정기
W2008(습도막 두께측정기) .......................................................................................(22)
W4001/4002(습도막 두께측정기) ......................................................................................................(22)
SP4000/4010/4020(습도막 두께측정기) .............................................................................................(22)
WT-2042(습도막 두께측정기) ..........................................................................................................(22)

반응형

'카다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계측기 수질검사키트 카다로그  (0) 2022.11.11
반응형

로트(Lot) 란?

로트란? 새삼스럽게 들을 수 없는 생산관리에 필요한 단위의 지식

제조업에서는 로트(Lot)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 용어는 작업 효율화 및 제품 관리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제조업 종사자라면 그 의미를 아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은, 이 「로트」라고 하는 용어의 의미와 사용법, 제조 관련 일에 종사하고 있지만 그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없는 분들은 꼭 참고해 주세요.

로트란?

같은 종류의 제품을 대량으로 제조하거나 판매하고 있는 회사에서는 제품 1개당 이익은 극히 적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제품을 제조하고, 그것을 효율적으로 판매를 해야합니다.

그러나 대량의 제품을 취급하고 있으면, 수요와 공급의 밸런스를 잡는 것은 좀처럼 어렵고, 조금 판단을 잘못하면 곧바로 재고 과다를 일으켜 버립니다.

로트란? 이러한 회사에서 동종의 제품을 생산할 때 최소 단위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제조나 판매를 실시할 때 이 로트수를 조정함으로써 손실을 줄이고 이익을 올리는 것이 가능함니다.

또한 로트는 제품 관리에 있어서도 큰 의의가 있으며 특히 나중에 소개할 로트 번호는 제품 관리 현장에서 빼놓을

수는 없습니다.

한편, 최소 단위로서의 로트 기준은 생산하는 제품의 성질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결정은 없으며, 제조자측이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12개의 제품을 판매할 경우, 그것을 12로트로 할지, 1다스로 파악 전체에서 1로트로 할지는 제조자측의 재량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로트란 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많은 제조업자가 사용하는 용어이며, 제품의 제조·판매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뿐만 아니라, 생산 관리도 엄밀하게 하는데 있어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로트 사용법

로트는 제품의 제조나 판매, 관리의 각 공정에서 사용되며, 각각 다르게 사용됩니다.

이어서 로트 사용법을 세분화하여 각각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조 로트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단지 마구잡이로 제조 작업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나 수주량등에서 제조하는 제품의 양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 때에 지정하는 제품의 제조량을 「제조 로트」라고 부릅니다.

이 기준은 재고 과다등에 의한 손실을 막을 뿐만 아니라, 쓸데 없는 원재료비나 인건비의 삭감에 있어서도 중요합니다.

또, 공장에 따라서는 제조 로트의 수량에 근거해 생산 공정을 변경하는 등, 상세한 생산 지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장 전체의 가동에 대해도 제조 로트수를 조정하는 것에는 큰 의의가 있습니다.

구입 로트

제조한 제품은 거래처에 판매하게 되는데, 이 때 지정하는 판매 수를 ‘구입 로트’라고 부릅니다.

제조 로트가 제조자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되는데 반해, 이 구입 로트는 거래처와의 협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구매 로또 또한 제조자 측이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는데 있어서 중요한 결정입니다.

예를 들어 재고를 남기지 않기 위해 판매 가격을 싸게 하는 만큼, 구매 로트를 많이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그 수량이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 구입 로트는 제조자측뿐만 아니라 거래처인 구매자측도 신경써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구매 로트와 판매 가격을 조정하면서 제조자 측과 세부 거래 가격 등에 관해 협상할 수도 있습니다.

최소 로트

‘최소 로트’란 로트의 개념 중에서도 특히 기본적인 것 중 하나이다.

이쪽도 그 생각을 제조자측뿐만 아니라 구매자측도 유념해 둘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최소 로트의 수치 또한 제조자 측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 하나의 거래처에 대해 30개 이상 판매하지 않으면 이익을 얻을 수 없는 제품이라면, 그 제품의 최소 로또는 30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 최소 로트에 관해서는, 구입자 측에 교섭의 여지가 있는 경우도.제조사 측이 최소 로트를 30으로 설정한 제품을 30개 이하의 수량으로 구매하고자 할 경우, 판매 가격을 인상하는 것 등에 의해 최소 로트를 인하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최소 로트는 제조자측과 구매자측 쌍방에 결정권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구체적인 수치에 관해서는 협상할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로트 관리

로트는 제품의 제조 및 판매뿐만 아니라 관리에도 중요한 존재가 됩니다.

특히 유통량이 많거나 제조부터 판매까지의 사이클이 짧거나 하는 경우, 로트 번호를 제품마다 할당함으로써 실시하는 로트 관리는 필요 불가결한 작업이 됩니다.

로트 생산의 장점

「로트 생산」은, 지금 제조 업계에서는 당연하게 행해지고 있습니다.

로트 생산이 이렇게 널리 행해지게 된 이유라고도 할 수 있는 그 메리트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최소 생산량을 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조 공정에서 로트를 조정하는 것은 곧 최저 생산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여기에는 소개한 것과 같은 재고 과다 발생으로 인한 금전적인 손실을 방지한다는 목적이 있지만, 생산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한다는 목적도 있습니다.

공장에서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료가 많이 듭니다만, 재고과다로 늘어날 정도의 제품을 제조해 버리면, 그 과정에서 발생한 전기료 또한 낭비되는 것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로트를 세세하게 지정하여 생산 개수를 컨트롤하면 제품 자체의 재료비뿐만 아니라 전기 요금을 비롯한 비용 절감도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로트 번호를 매김으로써 공정 관리를 쉽게 하다

소개한 로트 관리란, 1 타스나 1 카톤 등, 수송하기 쉬운 상태가 정리된 제품에 로트 번호를 붙이는 것으로 행해집니다.

이것에 의해, 제품의 제조부터 재고로서의 관리, 수송, 점포에서의 진열, 판매라고 하는 일련의 공정을 일괄해 관리할 수 있도록.이를 통해 특정 상품이 배송된 후 어느 점포에 진열되었는지를 조사하는 것 등도 가능합니다.

또, 근래에는 POS 시스템의 고성능화에 의해서, 1 다스나 1 카톤 등과 같은 복수의 제품이 통합된 상태가 아니고, 하나 하나의 제품에 로트 번호를 붙이는 것도 가능하게.그 것에 의해, 복잡한 관리 시스템의 구축도 실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불량품을 특정하기 쉽다

로트 관리 기술의 진보에 의해 하나 하나의 제품의 관리가 가능해 짐으로써, 불량품의 특정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정 제품의 구입자로부터 그것이 불량품이었다고 하는 클레임이 왔을 경우, 그 로트 번호를 물어 관리 시스템으로 검색하면, 같은 방법 혹은 같은 시기에 제조된 제품의 특정이 생겨 시급한 회수도 가능해집니다.

로트 관리로 업무 효율화를

로트는 제품의 제조 및 판매,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특히 고성능화가 진행되는 POS 시스템 등을 도입하면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품 특정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리콜이 발생했을 때 회사 이미지 실추를 방지하는 위기관리 대책으로서 로트 관리는 큰 효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가속도원리와 종류에 대해서

가속도를 알기전에 우선 에너지란 무엇인가?

에너지는, 여러가지 형태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공을 던졌을 때, 공은 팔에서 에너지를 받아 날아갑니다.

이 때 공은 운동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중력 아래에서의 위치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은 날고 있는 동안에도 그 질량은 변하지 않지만 볼 자신의 질량(무게)이 있고, 질량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공을 던지는 곳부터 공이 날아가 어딘가에 떨어질 때까지 계속 에너지의 총합은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에너지 보존칙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입자가속기라고 하는 것은, 입자에 운동 에너지를 주어 속도를 올리기 위한 장치입니다.

입자를 빛의 속도 근처까지 가속하여 높은 에너지 상태로 만드는 것이 고에너지 가속기입니다.

입자의 가속에는, 전장을 이용합니다.

전하를 가진 입자는 전장 안에서 에너지를 받아 속도가 높아집니다.

이것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개의 전극판에 의해 전장을 만들고 음전하를 가진 전자를 구멍에서 전장에 넣으면 양의 전극판을 향해 당겨집니다.

이 때, 전자는 가속되어 속도를 올려 정의 전극으로 향합니다.

이 때 전자의 운동 에너지는 전장 안에서의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뀐 것입니다.

전극간의 전압이 1볼트일 때 전자가 얻는 에너지를 1전자볼트라고 합니다.

1 전자 볼트=1 eV=1.602×10-19 joul

이와 같이, 대전 입자는, 전장 안에서, 전장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속도를 올린다.

이것이 가속기의 원리입니다.

가속기의 세계에서는 에너지는 위의 전자 볼트로 표현합니다.

거기서, 에너지의 단위의 호칭을 나타냅니다.

1eV=1전자볼트

1keV=1킬로 전자 볼트 103eV:1000전자볼트

1MeV=1메가 전자 볼트 106 eV:100만 전자볼트

1GeV=1기가 전자 볼트 109 eV:10억 전자볼트

1TeV=1테라 전자 볼트 ==1012 eV: 1조 전자 볼트

1PeV=1페타 전자 볼트 == 1015eV: 1000조 전자볼트

일상생활에서도 가속기는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텔레비전이나 PC의 디스플레이용 브라운관으로, 음극으로부터의 전자가 약 2만 볼트의 전위차속에서 가속되어, 20 keV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 빔으로서 브라운관의 발광면을 두드림으로써, 빛을 내고 있습니다.

입자를 가속하기 위한 전장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에 따라 각종 가속기가 개발돼 왔습니다.

그 첫 번째는 1932년 콕크로프트(John D. Cockcroft), 월튼(Ernest T.S. Walton)에 의해 만들어진 다단 배전압 정류회로에 의해 만들어진 700kV(킬로볼트)의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입자는 700 keV(킬로 전자 볼트)의 에너지까지 가속됩니다.

가속전압을 거는 방법과 입자빔의 취급에 따라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가속기의 종류가 있습니다.

가속기의 종류(가속입자) 가속 전장 빔 궤도 에너지 영역

콕크로프트

월튼형 가속기

(요오코, 이온) 정전기장 직선 2~4MeV

반데그라프형 가속기

(요오코, 이온) 정전장 직선 10MeV

사이클로트론

(요오코, 이온) 고주파 나사선 수십 MeV

베타트론(전자) 고주파 원 수십 MeV

싱크로트론

(전자, 양성자, 이온) 고주파 원 1TV

선형가속기(전자, 양성자) 고주파 직선 수십 GeV

또한 가속된 빔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링 안에서 전자빔을 축적하여 나오는 빛을 실험에 사용하는 방사광 실험용 가속기나 입자끼리 정면충돌시키는 충돌 빔형 가속기(콜라이더) 등이 있습니다.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

반응형
반응형

펄스 옥시미터(Pulse Oximeter)에 대해서

펄스 옥시미터로 재는 것은 「동맥혈 산소 포화도(도맥박수)」입니다.

동맥(심장에서 전신으로 운반되는 혈액)에 포함된 산소(O2)의 포화도(Saturation: saturation)를 펄스 옥시미터(pulseox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므로 그 측정치를 SpO2(에스피오투)라고 합니다.

채혈 등의 방법에 따라 동맥혈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한 것은 SpO2와 구별하기 위해 SaO2(에스에오투)라고 부릅니다.

산소의 포화도라고 해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를 수도 있습니다.

혈액 속의 산소의 대부분(건강하면 99% 가까이)은 적혈구 안에 있는 헤모글로빈에 의해 운반됩니다.

포화는 최대한의 상태를 가리키므로 산소포화도는 헤모글로빈이 운반할 수 있는 최고의 상황에 대해 실제로 어느 정도까지 산소를 운반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 중 실제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산화헤모글로빈: HbO2)의 비율을 산소포화도(SpO2)라고 하며 단위는 %(퍼센트)가 됩니다.

뭘로 재지? SpO2

생명은 산소가 없으면 살 수 없습니다.

격렬한 운동을 하면 근육을 움직이기 위해서 대량의 산소가 필요하게 되어, 격렬하게 호흡을 하고 많은 산소(공기)를 폐에 넣어, 받아들인 산소를 전신에 많이 옮기기 위해서 심장의 고동이 격렬해집니다.

건강한 사람은 이렇게 운동을 했을 때도 아니면 산소의 필요성을 강하게 의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살아가기 위해서는 각종 장기를 움직이는 데 산소가 필요합니다.

산소가 충분히 운반되지 않으면 각종 장기에 문제가 생기고, 장기 부전과 생명의 위기로 이어집니다.

특히 뇌 세포는 전신의 25%의 산소를 소비하고 있어 산소 공급이 끊기면 2분 정도면 뇌 세포 파괴가 시작됩니다.

펄스 옥시미터는 혈액의 산소 공급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의료 기기입니다.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환의 급격한 악화, 수술 중에는 펄스 옥시미터로 산소 포화도를 연속적으로 모니터합니다.

이는 생명유지를 위해 최소한 필요한 산소 공급력을 잃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또는 입원 중에 간호사가 체온이나 혈압 측정과 동시에 펄스 옥시미터로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것은 몸 안쪽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여 그것이 산소 공급력으로서의 산소 포화도에 나타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신체의 산소 공급력이 떨어졌을 때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산소의 흡입입니다.

산소는 필요한 것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과도한 산소는 신체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펄스 옥시미터에 의해 그 분에게 적정한 산소 흡입량을 판단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살기 위해 필요한 산소, 건강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몸에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산소 포화도는 측정됩니다.

당신은 펄스 옥시미터를 알고 계십니까?

만약 알지 못한다고 해도, 실은 펄스 옥시미터를 본 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당신 혹은 가족이 입원해서 수술을 한 후 뭔가 손가락 끝에 빨래집게 같은 것이 끼여 있던 적은 없습니까? 

또는 'ER구급실' 등의 의료 드라마 등에서 침대의 중증 환자 손가락에 코드가 달린 빨래집게 같은 것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습니까?

혹은 그러한 드라마에서, 닥터나 간호사가, 「사츄레이션이 내리고 있습니다」라든지 「에스피오투 xx입니다!」라고 외치는 장면 기억나시죠?

손가락 끝의 빨래 집게 같은 것, 이것이 펄스 옥시미터입니다.

‘사추레이션’이나 ‘에스피오투’ 같은 것은 펄스 옥시미터로 측정한 환자의 측정 값입니다.

빨래집게는 프로브 혹은 센서라고 불리는데, 그 안쪽에는 빨간색 LED가 있어, 그 빛을 손톱에 대고 손가락 내부의 동맥에 포함된 산소의 양을 채혈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의료용 계측 기기입니다.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