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2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먹는물의 수질기준(제2조 관련)

[별표 1] <개정 2011.12.30>
먹는물의 수질기준(제2조 관련)
 1. 미생물에 관한 기준 
 
 가. 일반세균은 1mL 중 100CFU(Colony Forming Unit)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 및 염지하수의 경우에는  
     저온일반세균은 20CFU/mL, 중온일반세균은 5CFU/mL를 넘지 아니하여야 하며, 먹는샘물, 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에는 병에 넣은 후 4℃를 유지한 상태에서 12시간 이내에 검사하여 저온일반세균은 
     100CFU/mL, 중온일반세균은 20CFU/mL를 넘지 아니할 것 
   
 나. 총 대장균군은 100mL(샘물·먹는샘물, 염지하수·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에는 250mL)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 다만, 제4조제1항제1호나목 및 다목에 따라 매월 또는 매 분기 실시하는 총 대장균군의  
    수질검사 시료(試料) 수가 20개 이상인 정수시설의 경우에는 검출된 시료 수가 5퍼센트를 초과하지 아니하여 
    야 한다. 
   
 다. 대장균·분원성 대장균군은 100mL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먹는샘물, 염지하수·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라. 분원성 연쇄상구균·녹농균·살모넬라 및 쉬겔라는 250mL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샘물·먹는샘물, 염지하수· 
      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에만 적용한다) 
 
 마. 아황산환원혐기성포자형성균은 50mL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샘물·먹는샘물, 염지하수·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에만 적용한다) 


  바. 여시니아균은 2L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먹는물공동시설의 물의 경우에만 적용한다)
 
 
 2.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에 관한 기준 
 
  가. 납은 0.01㎎/L를 넘지 아니할 것
  나. 불소는 1.5㎎/L(샘물·먹는샘물 및 염지하수·먹는염지하수의 경우에는 2.0㎎/L)를 넘지 아니할 것
  다. 비소는 0.01㎎/L(샘물·염지하수의 경우에는 0.05㎎/L)를 넘지 아니할 것
  라. 셀레늄은 0.01㎎/L(염지하수의 경우에는 0.05㎎/L)를 넘지 아니할 것
  마. 수은은 0.001㎎/L를 넘지 아니할 것
  바. 시안은 0.01㎎/L를 넘지 아니할 것
  사. 크롬 0.05㎎/L를 넘지 아니할 것
  아. 암모니아성 질소는 0.5㎎/L를 넘지 아니할 것
  자. 질산성 질소는 10㎎/L를 넘지 아니할 것
  차. 카드뮴은 0.005㎎/L를 넘지 아니할 것
  카. 보론은 1.0㎎/L를 넘지 아니할 것(염지하수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타. 브롬산염은 0.01㎎/L를 넘지 아니할 것(먹는샘물, 염지하수·먹는염지하수, 먹는해양심층수 및 오존으로  
      살균·소독 또는 세척 등을 하여 음용수로 이용하는 지하수만 적용한다) 
  파. 스트론튬은 4mg/L를 넘지 아니할 것(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에만 적용한다)
 


 3.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한 기준 


  가. 페놀은 0.005㎎/L를 넘지 아니할 것
  나. 다이아지논은 0.02㎎/L를 넘지 아니할 것
  다. 파라티온은 0.06㎎/L를 넘지 아니할 것
  라. 페니트로티온은 0.04㎎/L를 넘지 아니할 것
  마. 카바릴은 0.07㎎/L를 넘지 아니할 것
  바. 1,1,1-트리클로로에탄은 0.1㎎/L를 넘지 아니할 것
  사.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은 0.01㎎/L를 넘지 아니할 것
  아. 트리클로로에틸렌은 0.03㎎/L를 넘지 아니할 것
  자. 디클로로메탄은 0.02㎎/L를 넘지 아니할 것
  차. 벤젠은 0.01㎎/L를 넘지 아니할 것
  카. 톨루엔은 0.7㎎/L를 넘지 아니할 것
  타. 에틸벤젠은 0.3㎎/L를 넘지 아니할 것
  파. 크실렌은 0.5㎎/L를 넘지 아니할 것
  하. 1,1-디클로로에틸렌은 0.03㎎/L를 넘지 아니할 것
  거. 사염화탄소는 0.002㎎/L를 넘지 아니할 것
  너.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은 0.003㎎/L를 넘지 아니할 것
  더. 1,4-다이옥산은 0.05㎎/L를 넘지 아니할 것
 
 
 4.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질에 관한 기준(샘물·먹는샘물·염지하수·먹는염지하수·먹는해양심층수 및 먹는물공동 
    시설의 물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가. 잔류염소(유리잔류염소를 말한다)는 4.0㎎/L를 넘지 아니할 것 
 나. 총트리할로메탄은 0.1㎎/L 넘지 아니할 것
 다. 클로로포름은 0.08㎎/L를 넘지 아니할 것
 라. 브로모디클로로메탄은 0.03㎎/L를 넘지 아니할 것
 마. 디브로모클로로메탄은 0.1㎎/L를 넘지 아니할 것
 바.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0.03㎎/L를 넘지 아니할 것
 사. 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은 0.1㎎/L를 넘지 아니할 것
 아.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은 0.09㎎/L를 넘지 아니할 것
 자.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은 0.004㎎/L를 넘지 아니할 것
 차. 할로아세틱에시드(디클로로아세틱에시드, 트리클로로아세틱에시드 및 디브로모아세틱에시드의 합으로  
    한다)는 0.1㎎/L를 넘지 아니할 것 
 
 
 5. 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 
 가. 경도(硬度)는 1,000㎎/L(수돗물의 경우 300㎎/L, 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 1,200㎎/L)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 및 염지하수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나.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은 10㎎/L를 넘지 아니할 것
 다. 냄새와 맛은 소독으로 인한 냄새와 맛 이외의 냄새와 맛이 있어서는 아니될 것. 다만, 맛의 경우는 샘물,  
      염지하수, 먹는샘물 및 먹는물공동시설의 물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라. 동은 1㎎/L를 넘지 아니할 것
 마. 색도는 5도를 넘지 아니할 것
 바. 세제(음이온 계면활성제)는 0.5㎎/L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먹는샘물, 염지하수·먹는염지하수 및 먹는 
     해양심층수의 경우에는 검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사. 수소이온 농도는 pH 5.8 이상 pH 8.5 이하이어야 할 것. 다만, 샘물, 먹는샘물 및 먹는물공동시설의 물의  
     경우에는 pH 4.5 이상 pH 9.5 이하이어야 한다. 
 아. 아연은 3㎎/L를 넘지 아니할 것
 자. 염소이온은 250㎎/L를 넘지 아니할 것(염지하수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차. 증발잔류물은 수돗물의 경우에는 500㎎/L, 먹는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의 경우에는 미네랄 등 무해 
     성분을 제외한 증발잔류물이 500㎎/L를 넘지 아니할 것 
 카. 철은 0.3㎎/L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 및 염지하수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타. 망간은 0.3㎎/L(수돗물의 경우 0.05㎎/L)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 및 염지하수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파. 탁도는 1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 및 전용상수도를 제외한 수돗물의 경우에는 0.5NTU를 넘지 아니하여야 한다. 
 하. 황산이온은 200㎎/L를 넘지 아니할 것. 다만, 샘물, 먹는샘물 및 먹는물공동시설의 물은 250㎎/L를 넘지  
      아니하여야 하며, 염지하수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거. 알루미늄은 0.2㎎/L를 넘지 아니할 것 
 
 
 6. 방사능에 관한 기준(염지하수의 경우에만 적용한다)
 가. 세슘(Cs-137)은 4.0mBq/L를 넘지 아니할 것
 나. 스트론튬(Sr-90)은 3.0mBq/L를 넘지 아니할 것
 다. 삼중수소는 6.0Bq/L를 넘지 아니할 것
반응형
반응형

셀레늄, 수은, 시안 먹는물 수질기준 및 제거법

항 목 기 준 시험방법 특 성 발생원 인체영향 제거법
셀레늄
(Se)
0.01㎎/ℓ
이하
원자흡광광도법
(환원기화)
 
셀레늄 동은광, 셀레늄 동광, 클라크광, 우야고광 등에서 유황, 유화물로써 산출 


무정형(갈색분말),가라스상(연회색),단사정계결정(적색)금속의 동소체가 있다.


금속세레늄은 회색의 광택을 지 니고 빛에 민감하여 도전율이 증 가하고 광전지, 광전관, 반도체의 중요재료


비소,카드뮴,수은으로 인한 주독의 길항작용이 있다고 한다.


생체필수원소,글루타치온페록시타 제의 구성성분 으로 체내에서 생성하는 과산물 배출에 관여 
 
광산,금속제련소,


세레늄제품제조소
금속 세레늄의 독성은 낮으나 화합물의 독성은 대단히 높다


체내에서는 장관에서 약60%흡수. 간, 신장에 축적되고 그외 대부분은 소변에 배출


급성중독:피부장애(격통),구토,전신경련


만성중독:피부장애,신경과민증상,고도의 빈혈,저혈압
유산철,유산,알루 미늄에 의해서
응집침전


이온교환법
수은
(Hg)
0.001㎎/ℓ
이하
원자흡광광도법
(환원기화)
금속수은의 형태로 산출되는 것 은 주로 황화수은으로 산출


유일 상온에서 은백색 액상금속. 비중13.55


많은 금속이 수은에 녹아 합금인 아말감이 된다


열,전기의 전도성
촵모든생물체에 독성이 있다
수은제조의 제조 공장


수은사용공장,병원 ,수은광산
 
미나마타병 원인 


무기수은,알킬수은은 기도, 경구섭취의 흡수율이 크다. 대부분 분뇨로 배출, 신 장,신경조직등에 축적.


만성중독:손떨림,신장장해


메틸수은은 경기도 경구섭취의 흡수율 이 크며 분해 배출이 어렵다.


신경조직, 뇌등에 축적하며 지각이상, 언어장해,중심성 시야협착 
 
유기수은계는 산 화분해처리후 응 집침전하여 킬레 이트수지처리
시안
(CN)
0.01㎎/ℓ
이하
흡광광도법 사람의 치사량은
HCN : 0.05g
KCN : 0.15~0.3g


수중에는 CN, HCN, 각종 금속 의 시안착화합물의 형으로 용존
도금공장,금.은정 련,사진공업,코크 스,가스제조업등  
인체 유입시 위액의 염산으로 HCN을 유리, 급속히 점막, 폐등에서 흡수되어 키토크롬산화 효소와 결합하여 헤모글 로빈의 효소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전신 질식 증상 일으킴. 
 
pH〉10에서염소 제첨가→황산으로중화→염소제첨가 →응집침전→방류

 

 

 

반응형
반응형

6가크롬,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카드뮴, 페놀 먹는물 수질기준 및 제거법

항 목 기 준 시험방법 특 성 발생원 인체영향 제거법
6가크롬
(Cr6+)
0.05㎎/ℓ
이하
흡광광도법
(디페닐카르바지드법)
크롬은 생체에 필수원소
촵글루코오스의 대사, 단백질 합성에 관계


수중에는 황색 또는 등적색의 각 이온으로 존재


산소와 결합하여 6가크롬 생성
도금,안료,피혁등 의 공장  
금속크롬은 무해, 6가는 독성이 강하고 3가는 약하다 


체내에 소량이 소화관으로 흡수. 대부분 오줌 으로 배설. 흡수된 크롬이온은 세포독으로서 작용.간장,신장등에 축적


급성중독:장염,구토,핍뇨등의 증상. 뇨중독은 사망


만성중독:황달을 거쳐 간염 
 
환원침전법
암모니아성 질소
(NH4-N)
0.5㎎/ℓ
이하
흡광광도법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암모늄염을 그 질소량으로 나타냄.


유기물 부패시의 CO2와 결합 (NH4)2CO2형으로 존재


비료.농약의 원료
분뇨로 오염된 하수가축폐수의 유입


비료의 사용등
 
분뇨오염의 지표로서 물의 위생적인 정도를 나타냄 


NH3-N는 무해하나 NO3-N되면 유해,유아는 메트헤모글로빈 빈혈증유발, NO3-N으로 체내 변할 경우 니트로사인 생성. 발암가능성 
 
염소소독
이온교환법
질산성 질소 (NO3-N) 10㎎/ℓ
이하
흡광광도법


(이온크로마 토그라피법
(I.C.))

자연계에 존재하는 질소는 아질산 균에 의해서 유기질소와 암모니아 성질소(NH4-N)가 먼저 아질산성 질소(NO2-N)로 산화되고, 이어서 질산균에 의해 질산성질소(NO3- N)로 산화된다.


물의 오염지표, 수역에서 부영양 화 지표로 사용된다.
비료, 산업폐기 물유입


생활하수, 축산 폐수, 분뇨등의 오염.
체내 헤모글로빈 (Hemoglobin)의 1~2%는 메트헤모글로빈(Methemoglobin) 형태로 존재. 메트헤모글로빈이 10% 초과할 때 메트헤모글 로 빈혈증 유발, 30~40%를 초과할 경우 무산 소증(Anoxia)유발.


유아의 경우 질산성질소가 10㎎/ℓ이하 에는 메트헤모글로 빈혈증이 나타나지 않았고 10~
20㎎/ℓ에서는 단지 2~3%만이 메트헤모글로 빈혈증을 나타냄.
역삼투압법
이온교환법
카드뮴
(Cd)
0.005㎎/ℓ
이하
원자흡광광도법 은백색의 연질금속, 강한내식성


Zn제련의 부산물


카드뮴 및 그의 화합물은 환경법 령에서 유해물질을 지정

합금, 도금공장 및 안 료제조 공장등의 폐수 및 산업폐기물


카드뮴을 함유한 산업 폐기물의 방출, 쓰레기 매립장지역에서 여과, 하수슬러지가 가해지는 토양으로부터의 오염
일본의 이따이이따이 병의 원 인물질


급성중독: 위장장해


만성중독:대소변의 흑변, 장염, 폐,골육 등의 장해, 혈액장해


카드뮴 증기흡입으로 인한 사망의 例


후두염, 결막염 발생


최대허용량: 10㎥에 대해 1mg
 
수산화물침전법 


황화물침전법


탄산염 침전


이온교환수지법


알칼리염소분해 후 수산화물침 전법 
 
페놀
(Phenol)
0.005㎎/ℓ 이하 흡광광도법
(4-아미노
안티피린법)
자연수중에는 없음.


소독제,합성수지,염료의 원료.


염소와 결합하면 클로로페놀을 형성하여 0.002mg/ℓ에서도 냄 새 감지.
코크스, 가스공업


농약합성,페놀수지공업
피부점막, 위장관으로 흡수되어 중추신경장애 유발.


경련, 간장,신장장애.
상수도수:오존 산화,활성탄흡착.


하촵폐수: 산소, 오존,이산화염소 에의한 산화.

 

 

반응형
반응형

총트리 할로메탄,다이아지논, 파라티온, 말라티온, 페니트로티온 먹는물 수질기준 및 제거법 

항 목 기 준 시험방법 특 성 발생원 인체영향 제거법
총트리 할로메탄
(THM)
0.1㎎/ℓ
이하
GC법(n-헥산, n-펜탄추출)


Purge & Tr ap GC분석
원수 중의 유기물질과 소독용 유 리염소의 반응으로 생성.
염소 첨가 후 수분이내 발생.


유리잔류염소와 접촉시간이 길수 록, pH는 알카리쪽으로 갈수록,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함.
식수의 염소소독과정 의 부산물로 생김.


휴민질 및 산업폐수, 도시하수에 함유된 유기 물이 전구물질의 역할.
발암성을 고려해 정해진 최초 의 수질항목.


적은양이라도 발암성물질에 노출되면 위험하며, 축적되면 위험성은 증대함.
 
방치 


가열


활성탄흡착


Aeration


Ozone처리 
 
다이아지논 0.02㎎/ℓ
이하
GC법
(NPD)
 
대부분 유기용매에 용해 


묽은 알칼리에 안정


물이나 묽은산에 가수분해


유제,분제,수화제로 생산


유기인계 살충제임


벼,배추,사과,복숭아등에 살포하며 접 촉독, 소화중독, 및 가스중독에 의한 살충효과를 나타냄. 
 
유기화합물공업폐수


농약제조 폐수


농약살포에 따른
하천유입
전신마비, 호흡곤란


구토,현기증


신경장애,언어장애
활성탄흡착
파라티온 0.06㎎/ℓ
이하
GC법
(NPD)
 
대부분 유기용매에 용해 


묽은 알칼리에 안정


물이나 묽은산에 가수분해


유제,분제,수화제로 생산


유기인계 살충제임


벼,배추,사과,복숭아등에 살포하며 접 촉독, 소화중독, 및 가스중독에 의한 살충효과를 나타냄. 
 
유기화합물공업 폐수


농약제조 폐수


농약살포에 따른
하천유입
전신마비, 호흡곤란


구토,현기증


신경장애,언어장애
활성탄 흡착
말라티온 0.25㎎/ℓ
이하
GC법
(NPD)
 
대부분 유기용매에 용해 


묽은 알칼리에 안정


물이나 묽은산에 가수분해


유제,분제,수화제로 생산


유기인계 살충제임


벼,배추,소나무등에 살포하며 접촉독 에 의한 살충효과를 나타냄.

유기화합물공업 폐수


농약제조 폐수


농약살포에 따른
하천유입
전신마비, 호흡곤란


구토,현기증


신경장애,언어장애
촵활성탄 흡착








 
페니트로티온 








 
0.04㎎/ℓ 
이하








 
GC법 
(NPD)


 
대부분 유기용매에 용해 


묽은 알칼리에 안정


알칼리에 가수분해


유제,수화제로 생산


유기인계 살충제임


벼,배추,사과,담배등에 살포하며 접촉 독에 의한 살충효과를 나타냄. 
 


 
유기화합물공업 폐수 


농약제조 폐수


농약살포에 따른
하천유입


 
전신마비, 호흡곤란 


구토,현기증


신경장애,언어장애








 
활성탄 흡착 

 

 

반응형
반응형

카바릴, 트리 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 로에틸렌, 트리클로로 에틸렌 먹는물 수질기준 및 제거법

항 목 기 준 시험방법 특 성 발생원 인체영향 제거법
카바릴 0.07㎎/ℓ
이하
GC법,


(HPLC법)
 
카바믹산 유도체로 유기인계와 같은 독성을 내나 활성의 회복이 쉬움.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유기인계보 다 저독성


분자형태로 사용되어 단위면적당 사용량이 많음.


동물체내에 침투시 빠르게 산화됨.


알카리에 극히 불안정. 
 
살충제


농약제조폐수
초기증상 : 식욕부진, 구토, 설사, 발한, 권태감, 불안감, 두통, 현기증.


중증 : 동공축소, 안면창백, 근육경련, 혈압상승, 언어장 애, 흥분, 정신착란, 혼수상 태, 체온상승, 전신경련, 호 흡곤란.
활성탄흡착
트리 클로로에탄 0.1㎎/ℓ
이하
GC법(n-헥산,n-펜탄추출)


Purge & Tr ap GC분석
무색의 액체, 휘발성, 불연성,


비중 1.46


유지 용해성이 크며, 다른 유기 용제와 잘 용해된다.
 
TCA제조공장, 사용공장,드라이 클리닝업,염장공 장 등. 


산업폐수처리시 설,폐액처리시설, 폐기물 매립지등 

급성독성: 눈, 코, 목구멍을 자극하여 두통, 정신기능 저하


마취작용
폭기처리


입상활성탄 처리
테트라클로 로에틸렌 0.01㎎/ℓ
이하
GC법(n-헥산,n-펜탄추출)


Purge & Tr ap GC분석
무색의액체, 휘발성, 불연성,


비중 1.62


유지 용해성이 크며, 다른 유기 용제와 잘 용해된다.
 
TCE제조공장, 사용공장,드라이 클리닝업,염장공 장 등. 


산업폐수처리시 설,폐액처리시설, 폐기물 매립지등 
 
급성독성: 눈, 코, 목구멍을 자극하여 두통, 정신기능 저하,


마취작용
폭기처리


입상활성탄 처리
트리클로로 에틸렌 0.03㎎/ℓ
이하
GC법(n-헥산,n-펜탄추출)


Purge & Tr ap GC분석
무색의액체, 휘발성, 불연성,


비중 1.31


유지 용해성이 크며, 다른 유기 용제와 잘 용해된다.
 
PCE제조공장, 사용공장,드라이 클리닝업,염장공 장 등. 


산업폐수처리시 설,폐액처리시설, 폐기물 매립지등 

급성독성: 눈, 코, 목구멍을 자극하여 두통, 정신기능 저하,


마취작용
폭기처리


입상활성탄 처리

 

반응형
반응형

디클로로 메탄,벤 젠,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디클로 로에틸렌,사염화탄소,경 도,과망간산칼 륨소비량 먹는물 수질기준 및 제거법

항 목 기 준 시험방법 특 성 발생원 인체영향 제거법
 
디클로로 메탄 
 
0.02㎎/ℓ 
이하
 
Purge & Trap GC법 
 
유기용제,페인트,살충제,탈유지 제와 세척제로 사용 
 
석유화합물 
 
발암성물질 
 
활성탄여과 


폭기
 
벤 젠 
 
0.01㎎/ℓ 
이하
 
Purge & Trap GC법 
 
용제 및 석유의 첨가제로 사용 
 
석유화합물 
 
발암성물질 
 
활성탄여과 


폭기
 
톨루엔 
 
0.7㎎/ℓ 
이하
 
Purge & Trap GC법 
 
용제,페인트,코팅제 


다른유기용제의 생산에 원료 사용
 
석유화합물 
 
급성폭로시 신경계의 손상과 점막의 염증을 일으킴 
 
활성탄여과 


폭기
 
에틸벤젠 
 
0.3㎎/ℓ 이하 
 
Purge & Trap GC법 
 
페인트,살충제,석유혼합 
스틸렌과 actophenone의 생산 용제 및 아슬팔트와 나프타의 성분으로 사용
 
석유화합물 
 
간과 신장독성이 관찰됨 
 
활성탄여과 


폭기
 
크실렌 
 
0.5㎎/ℓ 이하 
 
Purge & Trap GC법 
 
살충제와 페인트 석유혼합에 사 용 
 
석유화학물질 
 
눈과 목의 염증이 관찰됨 
 
활성탄여과 


폭기
디클로 로에틸렌 0.03㎎/ℓ
이하
Purge & Trap GC법 순하고 달콤한 냄새를 가지는 데, 공기와 물에서 냄새역치는 각각 760㎎/㎥와 1.5㎎/ℓ임.


밀도는 1.21, 용융점은 -122.5℃
끓는점은 31.6℃


환경에 누출되면 대부분 대기로 휘발되며, 1-3일의 주기를 갖는 수산화 라디칼에의해 산화되며, 광분해도 가능함.
polyvinylidene chlorideco-polymers 의 생산에 있어 단 량체로,methyl
chloroform과 1,1,1-
trichloroethane과 같 은 다른 유기 화 학물의 합성에 매 개체로 쓰임.
중앙신경계저하, 간기능장해, 두통, 시각장해 등


직업상 폭로에 의해 간 및 신 장독성이 생김.
휘발이 지표 수와 토양에서 의 주요 제거 기작.


vinylchloride
로의 혐기적인 생변형이 지하 수에서 일어나 게됨.
사염화탄소 0.002㎎/ℓ 이하 Purge & Trap GC분석 공기와 물에서 냄새역치는 각각〈64㎎/㎥와 0.52㎎/ℓ 임.


밀도는 1.594,
어는점은-23℃, 끓는점은 76.5℃


환경에 폭로되면 대기에 고루 퍼짐.


사염화탄소는 대류권에서 광화학적으로 생산된 수산기 라디칼과 반응하지 않고 성층권에서 광분해됨.


대기중에 50년의 반감기를 가짐.
Chlorofluorocarbon냉각제, foam-blowing agents와 유기용매의 생산에 쓰임.


페인트와 플라스틱제조


금속세척과 훈증제에 유기용매로 쓰임.

 
간의 지방축적과 신장의 팽창 이 발생. 알콜소비는 인체에 힘 을 주어 간과 신장에 영향을 줌. 간장에서 대사되어 트리클 로로메틸라디칼, 클로로포름, 헥 사클로로에탄 등이 생성됨. 


트리클로로메틸 라디칼은 단백 질과 결합하거나 지질의 과산화 를 유발하여 세포막을 파괴함.


장기폭로에 의해 간장의 감수성 이 높아 지방침윤, 간세포내 효 소의 유리, 세포내 효소 활성억 제 등이 일어나 간세포는 괴사 됨. 
 
수일 또는 수주 에 걸쳐 수표면 에서 대기중으 로 확산.


혐기성 지하수 에서 농도는 수 개월, 수년동안 상승하게됨.


토양의 유기물 질에 흡수될 수 도 있음.


지하수로의 이 동도 가능함.




생축적은 관측 되지 않음.
경 도 (수돗물)300㎎/ℓ
이하
적정법
(EDTA법)
총경도,칼슘경도,마그네슘경도,탄산경도(일시경도),비탄 산경도 (영구경도)등


물맛에 관계됨.
 
폐수의 중화, 
응집처리,
중금속류의 침전 제거등에 석탄을 쓰는 경우.


콘크리트구조물 에서 용출, 해수, 하수의 혼입 
 
∙너무 높은 경우 위장을 해쳐서 설사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석탄소다법


이온교환법
과망간산칼 륨소비량 10㎎/ℓ
이하
적정법 수중의 산화되기쉬운 무기 물이나 유기물을 산화시키 는데 소모된 과망간산칼륨 의 양을 뜻하며 수질판정의 중요한 지표.


COD 1㎎/ℓ는 과망간산 칼륨소비량 약 4㎎/ℓ에 해당.
 
용존철, 망간, 기타환원상태의 중금속 


산업폐수, 분뇨, 하수등의 유입.


배수관내의 미생 물 번식. 
 
수질오염지표로 이용되기 때문 에 수치가 높을 경우 산업폐수 나 분뇨, 하수 및 기타 환원물 질등의 오염이 의심 되어 위생상으로 위험하며 물맛과 악취를 유발. 응집침전


오존,염소산화


활성탄흡착

 

반응형
반응형

동, 색도, 세제, 수소이온 농도(pH),아연(Zn) 먹는물 수질기준 및 제거법

항 목 기 준 시험방법 특 성 발생원 인체영향 제거법
냄 새 이취없을것. 관능법
(수온 40℃)
 
비자의 큰 불만요인중 하나. 


주관적인 판단이나 기기적 분석 보다 예민할 수 있다.


어떤형태로든 물이 오염되었다 는 증거. 
 
남조류,방선균,곰팡이등에 의해 흙 냄새 유발.


배수관내의 철세균도 냄 새를 유발.


수처리과정 중 여과사의 미생물 과다성장시 냄새 유발.
역겨움, 구토등 불쾌감을 초래. 오존처리,


활성탄 흡착
이미없을것 관능법
(수온 40℃)
 
소비자의 큰 불만요인중 하나. 


주관적인 판단이나 기기적 분석 보다 예민할 수 있다.


어떤형태로든 물이 오염되었다는 증거. 
 
남조류,방선균,곰팡이등에 의해 흙맛 유발.


배수관내의 철세균도 맛 을 유발.
역겨움, 구토등 불쾌감을 초래 오존처리,


활성탄 흡착
동(Cu) 1㎎/ℓ
이하
원자흡광광도법  
적색의 금속광택 


황산동은 조류등 수중 생물의 번 식억제제로 사용


내식성이 양호하며 대기중, 수중 비산화성.


산용액, 알칼리용액에 대해 부식 되지 않으나 산화성 또는 그 염 산 수용액에는 빠른 침해 
 
동광산, 동정련공장, 전선 공장, 도금공장의 배수에 의한 오염


동을 사용한 급수설비에 서 다소의 용출성
포유류에대한 독성은 적음


소화기관에서 흡수, 주로 뇨중 에 배설


급성중독:위장장해(치사량5~15 g)


만성중독:위험성이 알려진바 없 음
pH를 높혀서 수산화동응집→ 가열→산화동→ 탈수→회수.
색 도 5도이하 비색법  
수중의 용해성 콜로이드물질이 드러내는 황갈색의 정도를 말함. 


주로 지질에서 유래한 휴민질에 의한 색이 많음. 
 
철,망간이 함유된 폐수, 유색폐수 혼입시 발생.


지질, 호수저니층에서도 유래.
시각적 불쾌감 초래. 응집침전,


오존,활성탄 처리
세 제
(ABS)
0.5㎎/ℓ
이하


흡광광도법
(메틸렌블루법)
합성계면활성제 : 액체간 또는 액체와 고체간의 계면장력을 감 소시키는 화합물로 음이온,양이 온,양성이온 및 비이온계면활성 제가 있다. 염색공장


세탁소


가정오수
 
세정목적의 정도로는 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 


환경에는 수표면에 피막을 형 성해 빛과 산소차단


폭기조에 거품을 발생시켜 산 소용해효율을 저하시킴 
 
물리화학적처리: 활성탄흡착,오존 부상분리


생물화학적처리: 접촉포기법,tube 접촉산화법,회전 원판법
수소이온 농도(pH) 5.8~8.5 전 극 법  
산,염기의 평형상태를 측정. 


수중의 이산화탄소-중탄산염-탄 산염에의해 조절됨.


자연수의 pH는 대부분 6.5~8.5 범위 이내.


염소소독시 pH8이하여야 효과적. 
 
금속산업폐수는 낮은 pH.


석회공장등은 높은 pH.
강산,강알카리가 아니면 비교 적 무해.


pH11이상의 경우 눈과 피부 자극을 초래.


pH가 낮은 경우 배수관의 부 식을 초래.
이온교환수지법
아연(Zn) 1㎎/ℓ
이하
원자흡광광도법 비철금속으로서는 동, 알루미늄 다음으로 다량 산출된다.


공기 중에서 쉽게 연소됨.


산, 알칼리에 가용되어 수소발생, 물에 불용


아연으로 도금된 파이프와 황동, 아연이 포함된 배관에서 아연이 침출되므로 수도물내의 아연농도 가 지표수보다 높을 수 있다.
아연광산,아연정련소, 도금공장, 안료, 의약 품 제조공장등의 배수에 의한 오염


용해도가 큰 염화물 과 황산염류가 가수 분해하여 수화아연과 탄산아연을 생성한 결과 자연수내의 농 도는 낮음


수도수의 급수관, 급 수장치부분에서 용출
 
하루 평균섭취량 12mg정도. 성장기, 임산부 요구량 40mg/일. 


아연의 섭취는 카드뮴, 구리 의 독성경감


중독시 구토, 탈수, 전해질 불균형, 복통, 무기력, 현기증, 근육조절불능, 염화아연에 대한 신장장애가 보고된 바 있다.

응집침전법 :
알칼리제 가함→ 수산화 아연생성 →응집침전

 

 

반응형
반응형

염소이온, 증발잔류물, 철, 망간(Mn), 탁도, 황산이온, 알루미늄 먹는물 수질기준 및 제거법

항 목 기 준 시험방법 특 성 발생원 인체영향 제거법
염소이온 (Cl-) 150㎎/ℓ
이하
적정법
(이온크로마토그라피(I.C))
할로겐족 원소의 하나.


일반적으로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염화칼슘(CaCl2) 의 형태로 존재


자연환경중에 해양에 염화물이 가장 많이 존재함.


물의 오염지표로 사용
해변가의 해수 침 투, 생활하수, 분 뇨의 침출수, 도로 의 제설작업, 화학 공장폐수등  
염화물은 인간의 체내에서 가장 풍부한 음 이온이며 양이온들과 결합하여 세포외액의 삼투작용에 기여. 


염화물의 90~95%는 소변으로 배설.
4~8%는 분변으로, 약 2%는 땀으로 배설. 촵염소이온이 약 250㎎/ℓ이상이면 물에서 맛을 느낄 수 있으나 역치값은 결합한 양 이온에 달려있다.


생체에 미치는 염소이온 독성은 관찰된 바 없고 건겅한 사람은 물을 통한 과다섭취를 견딜 수 있다. 
 
역삼투압법


이온교환법
증발잔류물 500㎎/ℓ
이하
증발건조법  
검수를 증발건조할 때 잔류하는 물질로 물의 함유 물질량(용존산 소나 저비점물질등은 제외)을 나 타냄. 
촵일반적으로Ca2+,Mg2+,Na+,K+,Cl-, SO42-,HCO-,SiO2
등의 미네랄의 함유량을 표시. 
분석항목임. 건강에 직접적으로 해를 끼치기보다는 심 미적인 영향을 줌. 이온교환수지법


흡착법
철(Fe) 0.3㎎/ℓ
이하
흡광광도법


(원자흡광광도 법)
지구상에서 4번째로 풍부한 원소
물속에서는 주로2가와 3가상태 로 존재, 지표수에서는 제2철 염 상태로 존재.
지하수, 호수, 저수지및 황화물, 탄산염등이 없는 상태에서는 고 농도의 용해성 제1철이 존재.
암석과 광물의 용 해, 토질 침출물, 광산의 배수 및 철 관련공장의 폐 수, 하수.


수도관에서 녹아 나옴.
철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혈색증.


불쾌한 맛이 나고, 철 세균의 성장을 촉진 시킨다.


주철관과 강관의 부식은 배수관망에 적수 문제를 일으킴.
 
산화법 : 공기,염소 과망간산칼륨으로 3 가, 4가로 산화후 침 전, 여과시킴 


접촉산화법 : 망간 제오라이트를 사용


석회-소다회법:경도제거방법을 이용


 
수산화물 침전 
망간(Mn) 0.3㎎/ℓ
이하
원자흡광광도법 자연상태로는 주로 철화합물과 결합하여 여러 염과 광물질로 발견.


CO2를 포함하고 있는 물속에서 는 극히 비용해성.


혐기성 상태에서 2산화물인 망 간이 4가에서 2가로 환원.
관련 산업폐수: 건 전지제조,제강업,가 죽업,도자기제조업


지하수와 호수, 저 수지등에서 수온성 층시 저니중의 망 간이 환원상태로 용출됨.
 
0.05㎎/ℓ이상 : 간장과 신장에 축적, 신경장애 를 초래. 


가축의 경우 : 부족하면 생식능력 감소, 성장부진.


0.15㎎/ℓ이상인 물 : 불쾌한 맛, 세탁물을 얼룩지게 함.


망간의 도움으로 유해한 미생물이 증식하여 물에 맛과 냄새를 유발하며 탁하게 만듦. 
 
상 동
탁 도 0.5NTU이하 비탁법  
지표면 부식에의한 토양입자가 자연수 부유물질의 대부분을 차지. 


탁도가 높은물은 소독효과가 적어서 염소요구량이 증가하며 배수시스템내의 세균번식을 유 발 . 
 
점토, 콜로이드입자,
미생물입자에 의해 주로 발생.
미생물학적 영향 때문에 저탁도 가 추천됨. 응집침전
여과.
황산이온
(SO42-)
200㎎/ℓ
이하
적정법
(이온크로마토그라피법(I.C))
황산염은 자연적으로 황산바 륨(BaSO4), 엡솜사리염(MgSO 4․7H2O), 석고(CaSO4․2H2 O)등을 포함하는 수 많은 광물 에 존재하므로 지각층에 널리 분포.


자연수중의 황산이온은 주로 지질에 기인.
 
황산염은 광산, 제련소, 크라프트용지의 펄프와 화학약품, 염료, 유리, 종이, 비누, 섬 유, 항균제, 살충제, 채광, 펄프업등.  


 
황산염을 포함하고 있는 지질. 
황산염은 가장독성이 작은 음이 온중 하나


물에 다량의 황산염이 존재하면 불쾌한 맛을 냄.


먹는물의 황산염농도가 600㎎/ ℓ이상일 때 쉽게 설사를 일으키므로 장기 음용은 안됨.
역삼투압법․이온교환수 지법
알루미늄
(Al)
0.2㎎/ℓ
이하
흡광광도법
(옥신법)
토양,식물,동물조직의 구성성분 으로 지질내 풍부한 원소.


가정용, 산업용으로 많이 이용 되고 수처리과정중 응집제 역 할을 함.
 
토양,바위로부터 침출 되어 자연수중에 많이 존재. 


수처리시 응집제로 인해 처리수의 잔류알루미늄이 있음.


차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방부제, 유화제 등의 식품 첨가제에도 들어감. 
 
투석치매, 파킨슨치매와 관련있고, 알츠하이머병의 유발인자로 의심되고 있음. 이온교환수 지법.

 

 

반응형
반응형

압력의 측정

압력계라고 하는 것은 주로  유체 압력을 측정하는 것에  사용되어지는 계기의 총칭으로서 대기의 압력 측정에 사용되는 기압계외에 여러 종류의압력계 즉, 액체 압력계 탄성 압력계, 분동식 압력계등이 있으며, 특히 고압에 대해서는 기체압력계, 전기저항 압력계등이 있으며, 저압에는 진공계, 압력차를 검출하는 차압계, 미압에 대해서는 미압계등이 있다. 
 

초기의 압력계로는 U자관형 압력계(액주형 압력계)가 이용 되었으며, 압력의 절대 기준으로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수은주형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액주형 압력계는 압력의 변화에는 민감하나, 제작상 문제점으로 인해 원거리간 전송기구의 부착에 어려움, 측정치의 원격 지시, 전송의  문제, 기계적으로  약하고 취급상 문제로 기계적 기구가 부착된 압력계가 19세기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여 19세기 중엽 부르돈과 샤퍼에 의해  고안된 압력계가 현재의 압력계의 기본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르돈의 압력계는 금속관의 굴곡을 이용하였고, 샤퍼의 압력계는 금속박판의 변형을 이용한 것이었다. 

 

최근의 압력계를 크게 구분하면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 예를들면 액주형 마노메타, 분동식 압력계, 탄성식 압력계등을 들수 있으며, 또다른  하나는 압력변환기로서 역학적 변환요소로 쓰는 부르돈관, 다이아프램, 벨로우즈등이 있고, 전기적 변환요소인 스트레인게이지, 전기용량형,  압전형, 인덕턴스형, 전위 차계형 등이 있다.  

액주식 압력계 
    
일반적으로 투명 Glass 관을 이용하여 Glass관 내부를 액체로 충진시키고  미지 압력을 가하게 되면, 관내부 액의  Level 이 변화하고 이 변화된

액의 위치를 측정함으로 압력을 구하는 압력계이다.  

임의 관경  Glass관 내부 단면적상에 임의 높이의 액주가 있다면, 액주 저면에 작용하는 힘은 단면적당 받는 힘(F)에 의해 다음과 같다. 

 
    P = F/A = W/A = mg/A = ρ.V.g/A. = ρ.A.h.g/A = ρ.h.g [Pa] 
 

위식에서 ρ.g가 측정중에 일정하다면  압력 P와  액주 높이 h와는 비례관계를 가지므로 압력은 액주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하므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실용화 되어 있는 것으로  U자관형, 단관형, 경사관형이 있다. 
구조는 다른 압력계에 비해 간단하고 구조적인 오차 발생이 적고, 고장이 적으며, 정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온도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고, 액체와 유리관벽의 오염에 따른 오차의 발생, 측정범위의 제약이 있다. 

 
액주형 압력계에 사용할 액체를 선정하고자 할 때,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측정범위와 측정 정밀도에 적합한 밀도를 가지는 액체 
  ② 점도가 낮고, 유리관에 달라붙지 않는 액체 
  ③ 증발하기 어려운 액체 
  ④ 온도 변화에 따른 밀도의 변화가 작은 액체 
  ⑤ 냄새나 독성이 없고 관을 부식시키지 않는 액체 
  ⑥ 액면측정이 용이한 액체  


액주의 높이를 측정하고자 할때, 액체 물질에 따라 읽는방법이 서로 다르므로 액면을 측정할때 주의를 요한다.  

수은은 액면이 위로 볼록하고 물이나 기름은 액면의 경계선이 아래로 오목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은을 읽을 때는 액면의 위를 읽고, 물이나 기름은 아래 오목한 부분을 읽어야 오차를 줄일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Epoxy,PVC,CPVC,ABS,PU,PE,PP 각종 전극들의 BODY 재질별 특징

(1) Epoxy   

  :  내후성, 내부식성이 풍부한 플라스틱, 대부분의 수지에는 융통성(flexibility)이 있다.  

     대표적인 사용예는 표면을 보호하는 코오팅(coating), 나무, 금속, 유리, 도기, 고무의 접착제로도 사용되며 화이버 글래스(fiber  glass)와  

     혼합, 다양한 강화플라스틱 제품을 만들고 있다.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굳은 콘크리트를 서로 접착시키고, 또 골재와 혼합해서 고급의 콘크리트가 되는 액체임. 

 

 

(2) PVC (Polyvinyl Chloride) 

  : 염소 및 에치렌의 합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염화비닐모노머를 중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화학약품 탱크, 도금 산업기계, 반도체장비 및 자동화 라인등에 사용, 일반적인 사용가능 온도는 65˚ 내외.

 

(3) CPVC (염화합성수지)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 CPVC란 기존의 PVC에 염화반응을 일으켜 물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1958년 미국의 BF Goodrich에서 발명됐으며, 일반 PVC에 비해 내열성,  

    내압성, 기계적 강도, 화학적 성질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수지로 현재 각종 산업 및 건설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사용가능 온도는 80˚ 내외.  

 

(4)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렌, 스티렌의 세가지 다른 단위체가 합쳐진 제품, 전기용품, 문구,완구,인테리어용 사용   

 

(5) PU (우레탄) (Poly-Urethane)

  : 성형이 자유롭고 경도가 20˚~120˚까지 다양, 탄성과 진동흡수성, 산화나 노화 저항성이 뛰어남.   

 

(6) PE (Poly Ethylene)

  : 플라스틱중에서 최경량이며 염가인 재료, 공업용 재료에서 일용 잡화에 이르기까지 무독성으로 식품, 음료, 제약 공업기계 용도에 사용 

    에틸렌을 중합시켜서 얻은 유백색의 불투명 내지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비중은 1보다 작다.  이 수지는 영국의 F.W.FAWCETT에 의해 처음 

    합성되어 1933년 ICI사에 의해 공업화 되었다. 이 수지는 중합법에 따라 얻어지는 폴리에틸렌도 성질이 다르므로 고압법(ICI법), 중앙법(필립스법), 

    저압법(치클러법)등 제조법에 의해 분류되고 있으며, 본질적인 성상의 차이는 밀도와 관련되어 저밀도(0.910~0.940), 중밀도(0.926~0.940), 고밀도 

    (0.941~0.965)로 분류되고 있다. 폴리에틸렌은 다른 올레핀이나 비닐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도 생산되고 있어 일괄하여 폴리올레핀이라고 부르고 있다. 

    폴리에틸렌은 중량 평균분자량이 수만에서 수십만 정도의 것이 시판되고 있으나 가공성 즉 유동성은 분자량에 따라 다르다. 

    유동 특성의 판단기준은 일반적으로 멜트인데스가 이용되어 이 수치가 클수록 분자량은 적으며, 필름 등의 가공은 용이하나 제품성은 떨어진다. 

    밀도 값에 따라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의 제품등으로 

    나누어 진다. 

 

(7) PP  (Polypropylene)

 : 대표적인 범용수지로서 결정성, 내열성, 기계적성질이 우수하며 고온에서 산과 알칼리에 잘 견딤.  

   화공약품탱크, 각종 닥트, 각종 구조물 도금업체용 탱크에 사용   

 

(8) PC (Polycabonate)

  :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의 대용재이자 일반 판유리의 보완재로 많이 쓰인다.

    판유리에 비해 250배의 충격성이 강한 소재, 85%이상의 투명성으로 광학 관련 (콤팩트 디스크, 광섬유), 의료(인공투석기등)용으로 사용

 

(9) 아크릴  

  : 아크릴산(酸)을 응고시켜 만든 플라스틱의 하나로서 비교적 손쉽게 만들 수 있고 투명도가 높고 가볍지만 표면이 부드러워 상처 나기 쉬운 결점이 있다.

    광투과율이 90%이상, 내약품성 양호, 착색성 우수, 내충격성이 강화 유리보다 강한 특성으로 각종 간판, 명판, 수족관등의 제작에 사용된다.

 

 

(10) PEEK 

  : 압출성형소재, 전기 전자분야 항공우주분야 등 고성능이 요구되는 검사 장치 부품 원자력 관련 부품, 전자부품, 정밀기기 부품등에 사용  

  - 내화학성 : 모든 일반 solvent에 녹지 않는 준결정성 수지로 매우 광범위한 무기 및 유기 화학물질에서 탁월한 안전성을 보인다.

  - 윤활특성 : 광범위한 조건 아래서 윤활성이 매우 뛰어나며 특히, oil 및 grease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기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

  - 내열성 : 250℃에서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300℃에서도 높은 기계적 물성을 유지한다.  

  - 작업성 : 사출성형, 압축성형 및 Powder Coating이 가능하며 대량제품은 물론 다품종 소량 제품생산에도 매우 유리하다.

  - 고온내수성 : 250℃ 이상의 수증기 또는 높은 수압에서 다른 물성의 변화없이 사용된다.

 

(11) PFA (Perfluoroalkoxy)

  : Fluoropolymer(불소수지)의 한종류로서, 주성분은 불소와 탄소 및 수소로 구성된 단위성분의 중합체이다.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우수하다.

    불소수지의 종류로는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FA (Perfluoroalkoxy), FEP (Fluoroethylenepropylen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Kynar : 일반적인 사용가능 온도는 110˚ 내외.)등이 있다.

 

(12) PPO (Polyphenylene oxide - 변성 폴리페닐렌 옥시드)  

  : 강도, 치수안정성, 전기적 특성, 특히 내열성이 뛰어난 복합형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변성 폴리페닐렌 옥시드는 메타놀과 페놀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폴리페닐렌 옥시드(PPO)에 폴리스티렌 수지를 가해서 제조하는 복합 폴리머
이다. PPO 단독으로는 성형이 어려웠으나 복합화 함으로써 성형 가공성이 크게 개량되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변성 PPO는 강도, 내열성,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며, 비중이 작고, 가벼워 균형이 잡힌 기계적 성질을 갖고 있다. 

    결점으로는 내후성, 내약품성에 다소 난점이 있어 앞으로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13) PPS (Ryton)

  : 강성이 높은 결정성 폴리머로 지극히 높은 내열성, 내약품성이 뛰어난 난소성이다. 

    무기질 충전제 강화로 강도, 강성, 치수 안정성이 향상.열가소성 수지로 뛰어난 가공성을 겸비한 내열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PPS는 주로 내열을 요하는 제품에 많이 사용되며, G/F 함유량에 따라 등급이 달라집니다.

  

(14)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불소수지의 한 종류로서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저마찰특성, 비점착성, 전기적 성질이 뛰어나고 반도체산업의 내 약품, 내 용제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사용  

 

(15) POM (Poly Oxy Methylene - 폴리옥시메틸렌, Poly Acetal -아세탈 중합체)

  : 화학식 : (-O-CH2-)n. POM은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 다른 재료에서는 볼 수 없는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으로써, 기계적인 성질이 좋기 때문에 각종 플라스틱 기어/베어링류, 화스너류, 전자제품의 구동부품, 가방의 버클 등에 사용을 많이 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pH4, pH7, pH10 표준용액의 온도별 pH 값

pH 표준액의 온도별 pH 값

0 5 10 15 20 25 30 35 40 50 60 70 80 90 95
pH 4 4.00 4.00 4.00 4.00 4.00 4.01 4.02 4.02 4.04 4.06 4.09 4.13 4.16 4.20 4.23
pH 7 6.98 6.95 6.92 6.90 6.88 6.86 6.85 6.84 6.84 6.84 6.84 6.84 6.86 6.88 6.89
pH 10 10.32 10.24 10.18 10.18 10.06 10.01 9.97 9.92 9.89 9.83




 

 

 

반응형
반응형

 2전극과 3전극, 4전극셀 전극의 구성

2전극의 경우 전극계는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과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구성되고, 작업전극과 기준전극 사이에 전압을 가해주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의 작업전극의 전위를 E라 하면 E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E = E(applied) - IR(Solution)   

 

이때 IR(Solution)은 용액저항이라고 한다.  

 

전위 변화를 주어 전류를 측정하는 전압전류법에서는 용액 중의 저항전위강하 때문에 실제의 작업전위는 가한 전위와 IR(Solution)의 차와 같다. 

 

2전극셀은 기준전극을 통해서 큰 전류가 흐르면 기준전극의 전위를 결정하는 전극/용액 계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제와 환원제의 농도가 변화하게 되고, 기준전극의 전위는 평형값(영전류전위값)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IR과 함께 작업전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되도록이면 용액저항과 전류를 작게 하여 저항전위강하를 작게 하는데 예를 들어 수용액 폴라로그래피에서는  IR(Solution) 이 2mV 이하로 하기위해서는 전류가 10 μA라면 용액 저항을 200Ω이하로 해야한다.

  

따라서 2전극 셀의 전류값 결과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1) 전해질의 저항이 가능한 작아야 하며,

2) 흐르는 전류가 낮아 전압강하 값이 작고,

3) 기준전극의 면적을 크게 하여 분극을 가능한 작게 해야 한다.

 

만약 위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면 3전극 셀을 이용하여야 한다.

3전극 셀의 경우 상대전극(보조전극 : Counter Electrode)이 추가되는데, 이 경우는 사실상 전류가 기준전극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이 때문에 기준 전극의 전위가 영전류전위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즉 전류는 작업전극과 상대전극 사이를 흐르게 된다.

저항 전위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Luggin 모세관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보통 Luggin 모세관끝의 지름을 d라하면 전극 표면으로부터 2d의 거리까지 Luggin모세관을 접근시킬 수 있는데 이 이상의 접근은 전극표면의 전위 및 전류분포를 교란시키므로 하지 않는다.​ 

 

하지만 3전극셀을 이용해도 저항전위강하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한 나머지 부분을 IRu라하고, 여기에서 Ru는  비보상용액저항(uncompendated solution resistance) 또는 비보상저항이라 부른다. 

 러긴(Luggin) 모세관​ 

 

러긴 모세관 혹은 러긴 하버 모세관이라고 하는 간단한 유리기구를 사용하면 작업전극의 전위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러긴의 아이디어는 기준전극을 작업전극과 같은 칸(chamber, compartment)에 놓지 않아도 가느다란 모세관으로 연결된 칸에 기준전극을 놓고, 모세관을 작업전극에 매우 가깝게 배치하면 작업전극의 전위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시해 주었다.

 

러긴 모세관 혹은 러긴 하버 모세관은 유리 관의 한쪽 끝은 충분한 넓어서 기준 전극을 담글 수 있고, 다른 한쪽 끝은 아주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는 유리관을말한다. 미세한 구멍의 크기는 러긴 모세관에 전해질 용액을 채우면 기준 전극이 담긴 부분과 작업 전극에 가깝게 위치해 놓은 모세관 끝 부분이 모세관 현상으로

전해질 용액이 채워져 안과 밖이 연결이 될 정도로 작다.

유리관의 넓은 부분 쪽에는 기준전극을 담그고, 미세한 구멍이 있는 유리관의 모세관 끝 부분은 작업전극에 매우 가깝게 놓으면, 기준전극의 전위를 기점으로 작업전극의 전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수처리 공정

(1) ACTIVATED CARBON FILTER 


원수 중에 유기물질, 색도 성분, 잔류 염소 등을 활성탄을 이용하여 흡착 제거하는 장치로서 이온교환 수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이다.  

활성탄 여과장치는 유기물질, 잔류염소 등의 흡착능력 이외에 물속의 부유물질, 미세 고형물질 등의 일부를 여과하는 기능이 있어 일정시간  

사용후 활성탄 사이에 포집된 불순물을 탱크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역세 조작을 하여 주기적으로 배출해 주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탱크는 직립원통형으로 상하 20% 접시형 경판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 원수 인입구에는 다공형 pipe 살수관이 설치되어 여과재  

상부로 원수가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하며, 하부 집수장치는 P.E strainer및 strainer plate를 설치한다.

탱크 상부에는 활성탄의 투입 및 내부 점검을 위한 manhole 및 최초 운전시 탱크 내부의 air를 배출시키기 위한 vent nozzle이 설치 되고,  

하부에는 strainer 조립 및 내부 점검을 위한 manhole 및 처리수 배출을 위한 nozzle이 각각 설치한다.
tank 중간부에는 통상적으로 활성탄 층고 및 역세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sight glass와 활성탄 교체시 활성탄을 추출하기 위한 side hole이 설치

된다. 

 

 

(2) 양이온 교환수지 (CATION EXCHANGER), 음이온 교환수지 (ANION EXCHANGER)
 

A/C filter를 거친 filtered water 중에 Ca+2, Mg+2, Na+, K+ ... 등의 양이온과 SO4-2, HCO-3,Cl-, SiO-2 ...등의 음이온은 설치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와의 이온교환반응으로 제거된다. 

통상적으로 교환수지 Tank는 직립원통형으로 상하 20% 접시형 경판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 원수 인입구에는 다공형 pipe 살수관이 설치되어  

수지층 상부로 원수가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하며, 살수관의 표면은 SUS 316 wire mesh 및 saran mesh망을 감아 역세시 수지의 유출이 방지  

되도록 한다.
하부 집수장치는 P.E strainer 및 strainer plate를 설치하고, tank 상부에는 수지의 투입 및 내부점검을 위한 manhole, 최초 운전시 tank 내부의 

air를 배출시키기 위한 vent nozzle 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strainer 조립 및 내부 점검을 위한 manhole, 처리수 배출을 위한 nozzle이 각각  

치 된다.
Tank 중간부에는 수지 층고 및 역세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sight glass와 수지 교체시 수지를 추출하기 위한 side hole이 설치된다. 

 

이온교환수지의 교환 용량 및 재생

 

알고 있는 양의 수지를 수지탑에 넣고 완전히 재생한 후 이온용액을 통과시키면 처음에는 이온누출이 근소하지만 통액을 계속하면 이온누출이  

갑자기 증가하는 점(Break Through Point)이 있다. 이점까지 통액했을때의 교환용량을 관류교환용량(Break Through Capacity)이라고 한다. 

교환용량 단위로는 meq / ml - R ( 1 ml의 수지에 몇미리 당량의 교환용량이 있는가를 표시)와 g as CaCO3 / ml ( 1 ml의 수지에 CaCO3 로  

환산한 몇 g의 교환용량이 있는가를 표시 )가 있다. 

이온교환수지의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 다량의 재생제를 사용해서 재생하면 완전에 가까운 재생을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경제적으로 재생하는 

부분재생법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하는 재생제의 양을 재생레벨이라 하고 수지 단위용적당의 재생제를 순량으로 표시한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조작은 재생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향류 재생방법을 채택하며,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재로는 HCl을 사용하고 음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재는 NaOH를 사용한다.

이온교환수지의 이온 선택성

 

이온교환수지는 이온을 교환, 포촉하지만 이온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 흡착성이 각각 다르며, 이온선택성의 경향을 미리 알아두면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기에 편리하다. 

 

(1)양이온 교환수지의 선택성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해서 저농도, 상온의 이온수용액을 처리하는 경우 이온의 선택흡착성은 이온의 원자가가 높을수록 크게 된다  

( Na+ < Ca2+ < Al 3+ ). 또한 원자가가 같은 경우에는 원자번호가 높을수록 선택성이 커진다 ( Li+ < Na+ < Rb+ < Cs+ ; Mg2+ < Ca2+ < Ba2+ ).  

그러나 그 차이는 원자가의 차이만큼 크지는 못하다.  

그러나 농도가 너무 낮은 용액이 아닌경우에는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면 선택성의 차가 좁혀지고 때에 따라서는 역으로 될 수도 있다.   

이상을 종합하면 양이온교환수지의 양이온에 대한 선택성의 순서는 Ba2+ > Pb2+ > Sr2+ > Ca2+ > Ni2+ > Cd2+ > Cu2+ > Zn2+ > Tl+ > Ag+ > 

Cs+ > Rb+ > K+ > NH4+ > Na+ > Li+ 이다.  

또 H+ 의 선택성은 강산성수지에서는 Na+ 와 Li+ 의 중간에 있고, 약산성수지에서는 (교환기의 산의 강도에 따라 다르지만) 약간 윗쪽에 위치 

한다. 

 

(2)음이온 교환수지의 선택성 

 

음이온교환수지의 선택성은 다음과 같다. 

Citrate >SO42- > Oxalate >I- > NO3- > CrO42- > Br- > SCN- > Cl- >Acetate >F- 

OH는 강염기수지에서는 Acetate와 F- 중간에 있고, 약염기수지에서는 수지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훨씬 왼쪽에 위치한다. 

 

이온교환수지 개요 

이온교환수지는 미세한 3차원 구조의 고분자에 이온교환기(functional group)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극성, 비극성 용액중에 녹아있는 이온성  

불순물을 교환, 정제하여주는 고분자 물질이다.  

즉, 이온교환수지가 가지고 있는 가용이온이 용액중의 다른 이온과 서로 치환하여주는 합성수지라고 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는 교환기에 따라서 이온교환성이 다르며 양이온을 교환하는 양이온교환수지(Cation exchange resin)와 음이온을 교환하여 주는  

음이온교환수지(Anion exchange resin)로 크게 나눌수 다. 

 

온교환수지의 미세한 3차원 고분자 구조는 이온교환성, 내구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Styrene 또는 Acrylic Acid와 같은 Vinyl 

기가 있는 단량체(Monomer)와 Divinyl Benzene(D.V.B)을 공중합하여 제조한다.  

여기에 교환기를 도입하면 이온교환수지를 제조할 수 있고 D.V.B가 많은 것일수록 조밀한 기체구조의 수지가 된다.  

중합때에 투입하는 전체단량체에 대한 D.V.B %를 가교도라고 한다.  이온교환수지가 물을 흡수하면 수지상내에 미세공(micro pore)이 형성된다.  

대립이온은 흡수에 의하여 형성된 미세공내를 확산하여 이온교환이 이루어지고 미세공의 크기는 가교도가 결정하므로 가교도가 중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

자외선의 소독효과

자외선에 의한 살균은 DNA에 대한 광산화효과이며 전문용어로 비활성화(Inactivation)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반면 자외선에 의해 비활성화된 

미생물이 햇빛에 노출되면 다시 활성화되는것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광 회복효과(Recovery)라 한다. 

이러한 광 회복효과 때문에 미생물별 자외선 조사량을 미리 고려해야 확실한 살균 및 소독효과를 볼 수 있다. 

자외선으로 소독을 하던 산화를 시키던 일정한 수준의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피조사체에 조사되어야 하는데, 이때 조사량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투과력과 온도이다. 특히 자외선은 파장이 매우 짧기 때문에 투과력에 제한을 받는다. 또한 물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기 때문에 어떤 

재료를 사용하느냐도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깨끗한 물보다 공기가 투과력이 낮을 수 있는데, 그것은 먼지와 습기에 의한 자외선의 흡수와 산란 때문이다. 

또한 주변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조사량이 떨어지는데 표준램프를 사용한다면 설계시 꼭 고려하여야 할 변수이다. 

 

자외선을 이용한 소독효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254nm파장(저압램프) 또는 200~400nm파장(중압램프)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살균한다.

- 잔류성이 없어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염소부산물의 생성이 없다.

- 수질이 탁한 경우 처리효율이 저하되며, 사고 발생 시 수은의 누출이 문제될 수 있다.

 

 

(2) 자외선의 유기물 제거효과

유기물의 광분해 제거속도는 유기물이 UV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수성 및 분해수율 등이 주 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UV를 흡수하는 흡수성, 즉 몰흡광계수가 크고 광분해 수율이 클수록 분해가 효과적이다.

 

 

(3)자외선 공정의 적용사례 

 

 

- 음용수 살균 : 과거에는 생수공장을 중심으로 자외선 살균기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집단주거시설 및 집단급수시설(식당,휴양시설,교육 

  시설)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가정용 정수기중 소형 자외선 살균기가 부착된 상품도 일부 공급되고 있다. 

 

- 하,폐수 : 염소를 이용한 화학적인 처리방법이 소독 부산물에 의한 생태계 교란때문에 문제제기가 많이 되자, 자외선이나 기타 다른 방법에  

  의한 살균 방법을 찾고 있다. 

 

- 수영장 : 수영장은 폐쇄된 라인안에서 한정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염소가 결합염소로서 수중에 누적되어 유리염소의 살균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런 과정의 반복으로 인해 결국은 새로운 물로 교체를 해야 한다.  

  이때 문제는 결합염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인데, 이때 자외선 살균기를 사용하면 결합염소(클로라민)가 제거되고 투입되는 염소의  

  절대량이 감소되어 최소한의 염소를 투입하고도 최상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 Cooling Tower : 건물이나 공장에서 사용되는 Cooling Tower의 주된 문제점은 레지오넬라라는 병원성 미생물과 배관부식이다. 

  레지오넬라라는 병원성 미생물은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반드시 살균을 하여야 하고, 오래된 배관은 Scale을 형성하여 열전도도를 저하시키고 

  누수나 균열을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처리되어야 한다. 

  이런 경우 자외선과 염소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처리 및 운영을 할 수 있다. 

 

- 초순수 공정 : 자외선중에 단파장은 TOC(Total Organic Carbon)를 제거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용량의 유기물을 처리하는데에는 적당치 않지만 아주 적은 양의 유기물을 제거하여 순수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효과적이어서 반도체산업등 

  에서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램프는 오존램프라고 부르며 185nm의 파장을 방출하는 램프이다. 

반응형
반응형

자외선의 정의 및 특징

자외선은 태양으로부터 지구에 도달하는 빛의 일부분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이며, 사람의 피부를 태우거나 살균작용을 일으킨다.

 

1801년 독일의 화학자 J.W.리터가 사진의 감광작용[感光作用]에서 처음 발견하였으며, 파장이 약 397∼10nm인 전자기파의 총칭이다. 

적외선을 열선이라고 하는데 대응하여 자외선은 화학작용이 강하므로 화학선이라 하기도 한다. 

자외선은 그림과 같이 가시광선 보다는 짧은 파장을 갖고 있으며 X광선 보다는 긴 파장을 갖고 있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UVB, UVC, 진공자외선 (Vacuum UV)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영역에 따라 특성이 상이하다. 

(1) UV-A (320~400nm) : Black Light라고도 하며 실내에서 선태닝을 하거나 푸른 조명을 할 때 사용된다.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으며, UV-B에 비하여 에너지량은 적지만 피부를 그을릴 수 있다. 피부를 태우는 주역은 UV-B이지만 UV-A는 피부를 벌겋게 

만들 뿐 아니라 피부 면역 체계에 작용하여 피부 노화에 따른 장기적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자외선이 인체에 도달하면 표피층 아래로 흡수되는데, 이 해로운 광선에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체 면역 작용이 발동한다.  

그 예로 일부 세포는 자외선에 노출될 때 멜라닌이란 검은 색소를 생성하는데 그것이 자외선의 일부를 흡수한다. 

또한 TiO2등의 광촉매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최근에는 광촉매을 이용한 수처리, 대기처리에 사용되고 있다. 

(2) UV-B (280~320nm) : 대부분은 오존층에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에 도달한다. 
 

지구에 극소량이 도달하는 UV-B는 파장영역이 0.28~0.32㎛에 해당하는 자외선이다.  

UV-B는 동물체의 피부를 태우고 피부 조직을 뚫고 들어가며 때로는 피부암을 일으키며, UV-B는 피부에서 프로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 인체에  필수적인 비타민 D로 전환시키기도 한다. 

강한 홍반작용을 나타내는 자외선 파장은 260nm와 290nm이고 320nm이상의 파장에서는 홍반작용이 거의 없다.

자외선이 흡수되면 2~5시간 후에 히스타민 호성물질이 유리되어 모세혈관을 확장시킨다. 자외선 조사량이 너무 많을 때에는 모세혈관의 투과 성이 증대되고 조직의 부종이 생기며, 수포현상과 박피현상이 생긴다.

(3) UV-C (200~280nm) : 살균선이라고 하며 DNA와 단밸질 그리고 오존이 잘 흡수하는 파장이다. UV-C는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고 단세포 
 

유기물을 죽이며, 눈의 각막을 해치는 등 생명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만, 이 범위의 자외선은 성층권의 오존에 의해 거의 모두 흡수된다. 

 

UV-C가 살균자외선으로 특징되어지는 것은 세포내에 존재하는 DNA가 UVC를 잘 흡수하기 때문이며, 그중에서도 253.7nm의 파장이 DNA에 가장 잘 흡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외선 살균램프는 253.7nm의 파장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구의 오존층이 얇아지거나 구멍이 나는 것의 문제제기가 꾸준히 되고 있는데, UVC와 같은 자외선이 지상에 도달하면 생태계에 치명적인 해를 줄 수 있는 것도 그 이유중의 하나이다. 

 

(4) Vacuum UV (100~200m) : 진공자외선이라고 하는데 이는 파장이 너무 짧아 흡수성이 높고 투과력이 매우 낮다.  

특히 185nm의 파장은 산소를 오존으로 바꾸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저농도의 오존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며 반도체 산업등에서는 미량의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응용되기도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