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ORP와 박테리아 활동과의 관계(왕새우 양식)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ORP와 박테리아 활동과의 관계(왕새우 양식)

Q.활어(주로 왕새우)를 취급합니다.

활어조 수질을 모니터하기 위해 ORP계 ph계 DO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르쳐 주셨으면 하는 것은 ORP의 수치와 니트로소모나스/니트로박터의 질화 활동과의 관계입니다.

 플러스 300mv보다 낮으면 박테리아의 활동이 둔화되므로 오존을 주입하여 ORP를 올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기계 메이커는 권유하지만 아무래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원래 ORP를 모니터함으로써 박테리아의 활동 상태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나아가 만약 ORP가 초화활동상태를 나타낸다면 오존을 주입하여 ORP를 올린다는 것은

어딘가 모순된 것처럼 생각합니다만...  가르쳐주세요?

A.확실히 질화 세균의 활성을 측정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ORP를 측정함으로써 환경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보다 측정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러고 보니 사용하고 있는 수조의 물은 해수라고 하는 것이군요?

그렇게 되면 담수와는 다른 무언가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저는 담수의 지식 밖에 없기 때문에 그다지 위대한 것은 말할 수 없습니다만, 어쩌면 환경을 정비해 주지 않으면

질화 세균의 활성을 유지하기 어려울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해수라면 담수에 비해 유기물의 축적도 수질 악화에 영향을 주기 쉬운 것 같습니다.

ORP를 높게 유지하는 것은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기 쉽도록 하고 유기물의 축적을 막는 등의 의미도 있을지도 모릅니다.

질화균과 유기물의 분해균은 별개이지만 결국 산성물질을 생성하므로 대략적으로 pH로 활성을 예측할 수 있지만 정확히 찿아가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A.원리를모르고측정기기를사용하는것은?그렇지만,

먼저ORP는산화환원전위라는것은알고계시죠?

ORP는 물속의 산화환원에 관여하는 이온의 총량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 플러스이면 산화형, 마이너스면 환원형이라고 합니다.

질화 반응의 정도를 직접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질화균은 호기성 세균이므로 산화형일수록 활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300mV의 근거는 알 수 없지만 ORP를 +로 유지하는 것이 호기성 세균의 활성 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오존의 산화력은 경이적입니다.

오존에서만 물질의 산화 반응이 급속도로 진행됩니다.

세균에서는 난분해성 물질도 산화분해를 할 수 있습니다.

이 산화력 때문에 과도한 양은 세균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수질정화 시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 수질에 민감한 생물의 사육에 자주 사용됩니다.

ORP를 올리는 것 뿐이라면 업무용 미세한 기포를 낼 수 있는 스톤으로 에어레이션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역시 ORP와 질화균의 활동 상태는 직접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았던 것이군요.

탱크에 물고기를 넣고 조금 있으면 암모니아 농도가 올라가고(이것은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거기서 박테리아를 배양한 액을 넣고 ph가 내려오면 질화활동이 일어난다고 확인했습니다.

요컨대 ph의 변화로 알 수 있도록 ORP를 모니터하고 있어도 질화균의 활동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군요.

질화균은 호기성 세균이므로 ORP가 플러스인 쪽이 활동하기 쉬운 환경이라는 것만으로, ORP 수치가 플러스 250보다는 플러스 300 쪽이 박테리아가 더 활동하기 좋다는 것입니까?

업자의 설명에 의하면 ORP를 플러스 300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만...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의견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참고

중성이 PH7이라 그것보다 숫자가 작으면 산성이고 크면 알칼리성 입니다.

바닷물은 7.8~8.4 정도니까 ?

약알칼리성이랍니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산(12mol/l)의 pH를 계측하면은?  (0) 2022.09.30
흙의 pH를 측정방법은?  (0) 2022.09.30
ph meter의 선택?  (0) 2022.09.30
수용액 pH 온도보상에 대해서  (0) 2022.09.30
물의 경도에 대한 질문  (0) 2022.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