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경도에 대한 질문
Q.물의 경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경도는 '물 1리터 중에 포함된 칼슘·마그네슘의 양(밀리그램)을 탄산칼슘(CaCO3)의 양으로 환산한다.'고 정의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경도(mg/L) = [칼슘량 (mg/L)×2.496] + [마그네슘량 (mg/L)×4.119]
라고일반적으로쓰여있습니다.
칼슘은 탄산칼슘이라고 가정하여
CaCO3(100.1)÷Ca(40.1)=2.496
의 수치를 이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CaCO3(100.1)÷Mg(24.3)=4.119"의 식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CaCO3를 구성하는 성분과 Mg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왜 이 식이 성립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 식이 이루어지는 이유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이분야의 전문이 아니므로 참고해주시기 바람니다.
화학 분야에서는 물질의 양을 몰을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몰은 수를 문제삼고 있어요.
물의 경도를 생각하는 경우에도 기본은 모르고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Mg2+의 수와 Ca2+의 수의 합계가 만일 100개 있었다고 하면 50, 50이든 20, 80이든 경도는 같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1L 안에 포함된 Ca2+의 양을 ag, Mg2+의 양을 bg로 합니다.Ca2+가 CaCO3 형태로만 포함된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한번 Ca2+의 형태로 양을 생각하고 있는 것이겠죠.
Mg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합계의 몰 수는
a/40.1+b/24.3
입니다
이만큼의 이온이 있으면 모두 Ca2+이어도 동일하게 보고 있습니다.
이래도 좋지만 측정에 대응하기 쉽도록 경도의 이미지를 취하기 쉽도록 "Ca2+가 CaCO3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면 얼마가 되어 있는가"의 양으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위 식에 100.1을 곱하면 나와요.
(a/40.1+b/24.3)×100.1
이 식은 질문 속의 식과 같습니다.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h meter의 선택? (0) | 2022.09.30 |
|---|---|
| 수용액 pH 온도보상에 대해서 (0) | 2022.09.30 |
| DO미터(용존산소측정계) (0) | 2022.09.30 |
| 비 와 pH에 대해서 (0) | 2022.09.30 |
| 정전기는 어떻게 발생하고 있는 겁니까?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