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초순수
거의 절연체의 물입니다.
일반 자연수나 수돗물, 우물물에는 다양한 물질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게 됩니다.
하지만 초순수는 전기를 통하지 않습니다.
2) 초순수의 용도: 세정용수로서 희석액으로서 ··· 등이 가장 많은 용도입니다.
(시너나 알코올에서는 정전기 등에 의해 인화하기 쉬우므로 초순수 쪽이 안심하셔도됨니다.)
3) 초순수 제조장치와 잡균: 초순수 제조장치 안에도 균이 존재합니다.
이 균을 완전하게 처리하여 물의 등급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초순수 제조장치와 살균등(UV) : UV등을 켜면 물의 순도가 나빠집니다.
초순수 제조 장치를 제작할 때는, 이 처리를 클리어 할 필요가 있습니다.(어려운 수법을 취하게 됩니다)
5) TOC 저감: 토탈 오가닉 카본이라고 합니다.
50~5PPB 정도 이하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이것의 저감과 계측 진단이 매우 어렵다.
1) 간이순수 10μs/cm~3μs/cm 정도를 말합니다.
2) 순수 → 1~10MΩ(메그 옴)(1~0.1μs/cm) 정도를 말합니다.
3) 초순 물 → 10~17MΩ(메가 옴)(0.1~0.06μs/cm) 정도를 말합니다.
4) 초순수 → 17~18MΩ(메가 옴) 정도를 말합니다.
이상은 기준으로, 업계에 의해 수치의 구분이며, 특별히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초순수의 단위비교(약)
MΩ
|
μs/cm
|
PPM
|
1MΩ
|
1μs/cm(1/1)
|
0.5PPM
|
10MΩ
|
0.1μs/cm(1/10)
|
0.05PPM
|
18MΩ
|
0.055μs/cm(1/18)
|
0.024PPM
|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0ppm 수용액 100mL를 만들 때 몇 g의 분말이 필요한가? (0) | 2022.10.10 |
---|---|
열원 130도에서 물을 끓이고 있을 때의 수증기 발생량을 계산 (0) | 2022.10.10 |
열운동에 대해서 (0) | 2022.10.10 |
초순수 배관에 대해서 (0) | 2022.10.10 |
FFU의 사용법 및 설치에 대해서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