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ppm 수용액 100mL를 만들 때 몇 g의 분말이 필요한가
ppm= Parts Per Million (100만분의 1)
100mL/1,000 = 0.0001mL
0.0001mL × 1,000(ppm×1,000배니까) 0.1g
상식에서 0.1g의 분말을 100mL 안에서 용해하면 1,000ppm.
1ppm은 0.0001%입니다.
반대로 1%=10000ppm입니다.
그 때문에,
350ppm=350*0.0001
0.0350%소수점 4개분 이동
=0.035% 입니다.
1ppm이면 0.0001퍼센트
12ppm이라면 0.0012퍼센트
123ppm이라면 0.0123퍼센트
1234ppm이라면 0.1234%
12345ppm이라면 1.2345퍼센트 입니다.
W와 V는 그렇게 하면 되지 않을까요?
W/V%는,
용액 100밀리리터 안에 용질(녹은 것)이 몇 그램 들어있나?
W/W%는,
용액 100그램 안에 용질이 몇그램 들어있나?
V/V%는요.
용질이 액체일 경우 사용됩니다.
용액 100밀리리터 안에 용질이 몇 밀리리터 들어 있는가.
라고 이야기하게 됩니다.
%로 나타내는 비율이라는 것은 본래 같은 단위의 양에 대한 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W/W%, V/V%는 알지만 W/V%는 의미를 잘 모릅니다.
이런게 쓰이는 분야가 있군요.
학교에서는 가르치지 않는.........!
다른 단위의 양의 비율이라면 그 단위를 명시합니다.
mol/L은 그러한 예입니다.
g/dL=g/100cm3이라면 숫자적으로는 W/V%와 같습니다.
그런데 이걸 %라고 하시면 곤란할 것 같습니다.
옥시드 성분에 과산화수소(H2O2) 2.5W/V% 함유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W/V%의 의미를 알 수 없습니다.
W%면 무게 퍼센트, V%면 부피 퍼센트라고 생각하는데 W/V%는 어떤 비율을 나타내는 건가요?
누구인지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w/v%란 weight/volume%를 말하며, 2.5~3.5w/v%란 100ml에 2.5~3.5g의 과산화수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전체 용액 100ml 안에 몇 g의 약액이 녹아 있는가?
라고 하는 것입니다.
w/v%의 w는 g(그램)이고 v는 100ml입니다.
mass%는 mass percent로 질량백분율을 나타냅니다.
또한 wt%란 weight percent의 약자로 백분율을 나타냅니다.
*mg/L이란?
분석값의 경우는 예를 들어 철이 물 1L 안에 몇 mg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주입량인 경우에는 원수(예를 들어 증류수) 1L에 약품을 몇 mg 첨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여기에서 물의 비중은 1이므로 1mg/L = 1mg/kg = 1mg/1,000g = 1mg/1,000mg = 1×10-6
즉, 1 mg/L은 백만분의 1의 농도가 됩니다.
ppm(ppb, ppt)이란?
ppm은 part per million으로 백만 개 중에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즉1ppm은백만분의1농도로1mg/L과동일합니다.
또한, 극 미량의 농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ppb, ppt도 이용됩니다.
ppb ( part per billion ) 10 억분의 1 = μg / L
ppt ( part per trillion ) 1 조분의 1
<예> NOx 30ppm이란?
기체의 경우 30ppm이란 공기 1m3 안에 30mL의 가스가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예의 경우에는 배기가스 1m3 안에 30mL의 NOx가 포함되어 있다.
(예)
1ppm을 1ml로 단위 변환하면?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100만분의 1이라는 단위입니다.
1리터는 부피의 단위,
밀리그램(mg)은 질량 단위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물(1gcm3)로 생각하면 1리터는 1kg이므로
1리터의 1ppm은요,
1 / 1 , 000 , 000 kg
= 1 / 1 , 000g
= 1mg
입니다.
%=1.0x10^2=0.01배처럼
ppm=1.0x10^-6배의 의미가 있으므로
1000 ppm = 1000x1 . 0x10 ^ - 6
= 1 . 0x10 ^ - 3
물 1mL=1g이니까
1000ppm의 물질은
1x1 . 0x10 ^ - 3
= 0.001g 녹아 있다.
이것을 mg로 환산하면
0 . 001x1000 = 1mg
예제
①
ppm (part per million) 100만분율%(per cent) 100분율
그래서 100ppm=0.01%까지 맞습니다.
또, '수용액계에서는 100ppm 정도의 희박 액은 밀도가 거의 1.0이 되면 같을 수 있다'고,
0.01%=0.01mg/100mg≒0.01mg/100μL=0.1mg/mL=100mg/L과 같을수 있습니다.
②
mg/L은(상기와 같이 도입하면) mg/kg과 같을 수 있습니다.
mg=10^-6kg이므로 ppm과 mg/kg이 같은 단위인 것도 정답이며,
따라서, ppm은 mg/L로 같을 수 있습니다.
100 ppm = 100mg / kg ≒ 100mg / L
그래서 당신의 질문에 있는 [0.01%≒0.01mg/100mL]의 내용을 확인조사해보면 mg=mL로 계산하는 미스가 있습니다.
거기가 틀린것이죠.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화 이온을 소금으로 환산하면 (0) | 2022.10.10 |
---|---|
물 온도 상승 계산식에 대해서 (0) | 2022.10.10 |
열원 130도에서 물을 끓이고 있을 때의 수증기 발생량을 계산 (0) | 2022.10.10 |
초순수의 MΩ, μs/cm, PPM 단위비교에 대해서 (0) | 2022.10.10 |
열운동에 대해서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