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로드셀의 동작과 구조 설명에 대해서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로드셀의 동작과 구조 설명에 대해서

기왜체(起歪体)의 최적의 수감부 뒷면에 아래쪽 그림의 저항 브릿지를 붙여 하중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기왜체(起歪体)의 왜곡량을 전압변화로서 검출합니다.

기왜체(起歪体) 중에서도 왜곡량이 많은 곳과 적은 곳이 있기 때문에 4곳 또는 그 이상의 저항을 붙여 왜곡량의 편중이 있어도 올바르게 검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로드셀이 무게를 받으면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되는데, 이 변형량을 변형측정장치가 전기신호로 검출한 뒤 컴퓨터 장치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바꾸면 무게가 숫자로 나타난다.

이렇게 하기까지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데, 우선 로드셀의 각 부위에 걸리는 무게의 분포상태를 컴퓨터로 계산, 로드셀의 형상을 컴퓨터로 설계한다.

이것이 끝나면 습도와 온도 등 주위환경에 맞게 정밀도를 낼 수 있도록 변형측정장치의 회로를 설계하고 대량생산을 위한 테스트 방법을 개발한다.

변형측정장치는 1930년경 미국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는데 이것을 무게측정용 로드셀에 응용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중반이며, 다시 로드셀이 전자저울에 응용된 것은 1980년경 일본에서이다.

한국에서는 1985년 한국과학기술원 생산공학연구실에 의해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다

load cell (두산백과)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