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7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 제 품 특 징 
 
· 모델명: WAK-COD(H)-2
· COD ( 화학적산소요구량 ) 
· 측 정 범 위 : 0 ~ 250 mg/L   ( mg/L = ppm ) 
                     ( 0, 30, 60, 120, 250 mg/L ) 
· 측정 횟수 : 50회 
·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수질을 측정가능 
· 측정결과를 5분안에 확인가능(일부항목 제외)
 
· 구 성 내 역
 
· WAK-COD(H)-2  1pack ( 50회 )
 
· 적 용 분 야
 
· 각종 수처리 시설, 환경 시설, 실헙실 등
 
 
· 사 용 방 법

· 동 영 상 

 

 

반응형
반응형

· 제 품 특 징  
 
· 모  델  명 : WAK-COD-WR
· 측 정 항 목 : 고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
· 측 정 범 위 : 0 ~ 10000mg/L   ( mg/L = ppm ) 
                       [30 초 직후】 0, 10, 100, 500, 1,000, 2,000, 10,000 이상 mg / L
                                  [1 분] 0, 10, 100, 300, 500, 800, 1,000 이상 mg / L
· 측정 횟수 : 50회 
 
· 제 품 기 능
·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수질 측정이 가능 
· 측정결과를 5분안에 확인가능(일부항목 제외)

· 구 성 내 역
 
· WAK-COD-WR 1pack ( 50회 )
 
· 적 용 분 야
 
· 각종 수처리 시설, 환경 시설, 실헙실 등

 
· 사 용 방 법
 

· 동 영 상

 

 

반응형
반응형

· 제 품 특 징 
 
· 모  델  명 : WAK-COD(D)-2
· COD ( 화학적산소요구량 ) 
· 측 정 범 위 : 0 ~ 8 mg/L   ( mg/L = ppm ) 
                     ( 0, 2, 4, 6, 8 mg/L ) 
· 측정 횟수 : 50회 
·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수질을 측정가능 
· 측정결과를 5분안에 확인가능(일부항목 제외)
 
· 구 성 내 역
 
· WAK-COD(D)-2  1pack ( 50회 )
 
· 적 용 분 야
 
· 각종 수처리 시설, 환경 시설, 실헙실 등

· 사 용 방 법

· 측 정 절 차
· 동 영 상

 

 

 

반응형
반응형

생수와 천연수의 차이점에 대해서

생수와 천연수의 차이는 가공의 정도에 있습니다.

특정 수원에서 채취된 물을 침전, 여과, 가열 살균 이외의 처리를 하지 않고 병에 담은 것은 천연수로 분류됩니다.

미네랄워터는 천연수를 원료로 미네랄분 등을 가공하고 조정한 것을 말합니다.

즉 생수는 천연수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WIT-COD-H 고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 Kasaharar 간이수질검사팩IONTEST

· 제 품 특 징 
 

· 누구나 쉽고 편하게 사용이 가능

· 5분이내에 측정가능(일부항목제외)

· 분말 소분 포장으로 사용이 간단하고 경제적

· 소형,경량으로 현장측정이 용이
· 수질농도를 7단계로 비색측정가능

· 측정 셀은 반복 사용이 가능

 

 
· 제 품 기 능 
 

· 측정셀에 발색시약을 넣고, 물샘플을 희석하여, 지정시간이 지난 후 표준색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질을 검사하는 수질 검사용 팩입니다.

 

· 적 용 분 야
 

· 먹는물검사, 폐수관리, 환경조사

 

· 구 성 내 역

 

· WIT-COD-H 1PACK(50회)

 

· 측 정 방 법 

 제 품 사 양  

모델명 측정항목 측정범위(mg/L=PPM) 측정시간 측정횟수








WIT-Cu 








동 
0.2 ~ 10 mg/L
0.2, 0.5, 1.0, 2.0, 3.0, 5.0, 10 mg/L (Bicinchoninic Acid method)


2분 


50










WIT-Cu(B) 










동* 
0.2 ~ 10 mg/L
0.2, 0.5, 1.0, 2.0, 3.0, 5.0, 10 mg/L (Bicinchoninic Acid method)


1


50






WIT-Ni






니켈
0.2 ~ 10 mg/L
0.2, 0.5, 1.0, 2.0, 3.0, 5.0, 10 mg/L


2


50




WIT-NH4
암모늄 




암모니아성질소 
0.3 ~ 26 mg/L
0.3, 0.7, 1.3, 2.6, 6.5, 13, 26 mg/L
0.2 ~20 mg/L

0.2, 0.5, 1.0, 2.0, 5.0, 10, 20 mg/L






5






50










WIT-COD-M










COD
0 ~ 100 mg/L
0, 5, 10, 13, 20, 50, 100 mg/L


4 ~ 6


50


WIT-COD-H


COD(고농도)
0 ~ 250 mg/L
0, 20, 40, 80, 120, 180, 250 mg/L


46


50


WIT-Cr6+


6가크롬
0.0.5 ~ 2.0 mg/L
0.05, 0.1, 0.2, 0.5, 0.8, 1.0, 2.0 mg/L


2


50


WIT-CrT


전크롬
0.5 ~ 20 mg/L
0.5, 1, 2, 5, 8, 10, 20 mg/L


30


50


WIT-HOCl


유효염소
10 ~ 150 mg/L
10, 20, 30, 50, 80, 100, 150 mg/L


10


50


WIT-O3


오존
0.1 ~ 2.0 mg/L
0.1, 0.2, 0.3, 0.5, 0.8, 1.0, 2.0, mg/L


10


50


WIT-CN


유리시안
0.02 ~ 2.0 mg/L
0.02, 0.05, 0.1, 0.2, 0.5,1.0, 2.0 mg/L


10


50


WIT-H2O2-H


과산화수소(고농도)
10 ~150mg/L
10, 20, 30, 50, 80, 100, 150 mg/L


10


50
 




WIT-NO2 
아질산이온




아질산성질소



0.05 ~ 1.0mg/L
0.05, 0.1, 0.2, 0.4, 0.6, 0.8, 1.0 mg/L
0.015 ~ 0.30mg/L

0.015, 0.03, 0.06, 0.12, 0.18, 0.24, 0.30 mg/L
 




3
 




50
 










WIT-NO3






아질산이온 
 






아질산성질소 
0.5 ~ 20mg/L
0.5, 1.0, 2.0, 4.0, 6.0, 10, 20 mg/L
0.1
4.6mg/L

0.1, 0.2, 0.5, 1.0, 1.4, 2.3, 4.6 mg/L
 




3
 




50






WIT-PO4






인산이온 
  










인산성인
0.2 ~ 5.0mg/L
0.2, 0.5, 1.0, 1.5, 2.0, 3.0, 5.0 mg/L
0.1 ~ 1.7mg/L

0.1, 0.2, 0.3, 0.5, 0.7, 1.0, 1.7 mg/L
 




3
 




50








WIT-PO4-H


인산이온(고농도) 
 




인산성인(고농도)
2 ~ 50mg/L
2, 5, 10, 15, 20, 30, 50 mg/L
0.7 ~ 17mg/L

0.7, 1.7, 3.3, 5.0, 6.6, 10, 17 mg/L
 




3
 




50


WIT-TN-i


전질소(무기)
0 ~ 100mg/L
0, 5, 10, 20, 40, 60, 100 mg/L


20


50


WIT-Fe


0.2 ~ 5.0mg/L
0.2, 0.5, 1.0, 1.5, 2.0, 3.0, 5.0 mg/L


5


50


WIT-Z


아연
0 ~ 5.0mg/L
0, 0.2, 0.3, 0.5, 1.0, 2.0, 5.0 mg/L


2


50

 

*동 이온 측정시 시료에 EDTA등의 Chelating Agent(첨가제)가 있는 경우엔 WIT-Cu(B)를 사용해 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고도정수처리기술의 선정 

-고도 정수처리의 범위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개념적인 측면은 분류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미 유럽 등지에서는 오존이나 활성탄 공정은 정수처리의 기본적인 공정으로 정착화되어

고도정수처리공정이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려운 점도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과거로부터 적용하여온 응집, 침전 및 모래여과의 기본적인 정수처리 공정에 오존, 활성탄, 막 등을 이용한 특수처리 공정을 고도정수처리의

범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선정
고도정수처리는 표준정수처리공정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트리할로메탄 전구물질, 암모니아성 질소, 색도, 이취․미 물질, 음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제거할 목적

으로 도입하는 활성탄 처리시설, 오존처리시설 및 생물처리시설로서 적용 가능한 방법은 다음의 표와 같다.
전염소처리는 일반적으로 지표수의 수질이 악화될 경우, 수중의 유기물, 철, 망간, 암모니아성 질소, 유기성 질소 등을 산화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이는 제거성분의 종류와 농도에 의해 만족할 만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급속여과 공정은 일반적으로 부유성 입자물질은 제거성능이

우수하지만 용존성 물질의 제거성능은 낮기 때문에 용존성 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서는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입상활성탄(GAC)은 이취․미 물질, 용존성유기탄소(DOC) 및 트리할로메탄 전구물질(THMFP)과 같은 미량 유기물질은 물론 잔류 오존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생물

활성탄(BAC)은 암모니아성 질소와 생물분해가능 유기물을 제거한다. 오존처리는 일반적으로 이취․미 물질이나 미량유기물(농약 등)의 분해, 색도제거, 철이나

망간의 산화 및 바이러스 등의 소독이지만 생물활성탄과 병용한 시설에서는 생물난분해성 물질을 생물분해가 가능한 물질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고도정수처리 공정 에서 오존과 입상활성탄을 결합하여 처리할 경우 상호의존성 때문에 개별적으로 그 목적을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수질항목들은 활성탄과 오존에 의해 상당한 수준까지 처리가 가능하지만, 질산성 질소와 불소 및 황산이온 등 일부 항목은 이온교환 혹은 막여과 공정에

의해서만 제거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적의 고도정수처리공정의 선정은 도입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선정하더라도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원수 및 처리수 문제, 수질기준

의 강화 추이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므로, 기술적 및 지역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고도정수처리 공정 구성 예

 

 

 

 출처 : 2004년 환경부 "고도정수처리 정책방향에 관한연구" 발췌

 

반응형
반응형

o 냉동법(Freezing Process)


냉동법에 관한 연구는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냉동법에 의한 해수담수화 공정은 해수를 동결할 때에 해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각종 염들은 제외하고 순수한 물만이 먼저 얼음 결정을 이룬다는 것을 이용한 기술이다.

이 방법은 해수 전체가 얼음으로 변하기 전에 이 해수에 아직 얼지 않은 용액으로 얼음 결정에 붙어 있는 불순물을 씻어 버리는 것이다.


냉동법은 증발법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이 있는데, 이론적으로 에너지 요구량이 적고, 부식될 우려가 적으며, 침전과 스케일링이 생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해수의 빙점이 낮기 때문에 결정조 등의 장치에는 비교적 큰 진공상태를 필요로 하며, 외부에서 시스템으로의 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결정에서 농축수(brine Water)를 분리 세정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지난 40여 년 동안 몇 개의 냉동법에 의한 해수담수화 공정이 설치되었으나, 상업적으로 성공한 공정은 없었으며, 지금 현재 운영되는 공장도 없는 실정이다.

o 태양열 증발(Solar Humidification)법


태양열 증발법은 자연에서의 물 순환의 원리를 그대로 이용한 것으로 태양열에 의해 해수를 가열하여 습도를 높이고, 이 습기를 응축시킴으로써 담수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그 대표적인 방법이 온실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고, 증기는 차가운 유리표면에서 응축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것이다.

태양열 증발법은 태양열을 집광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과 넓은 부지면적을 요구하고, 초기투자비가 막대하며,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대규모 시설로는 발전하지 못하였다.

막여과법

 

출처 : 2004년 환경부 "고도정수처리 정책방향에 관한연구" 발췌

반응형
반응형

보일러(환보일러,수관보일러,특수보일러)의 종류 및 특징

보일러의 종류

보일러는 물을 가열해 필요한 증기 또는 온수를 만드는 장치이며,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형식의 보일러가 있다.

보일러는 본체의 구조, 물의 순환방법, 연료의 종류, 사용 재료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지만 일반적으로 환보일러, 수관보일러, 특수보일러로 구분된다.

                                                                                 <보일러의 종류 및 특징>

형식 환보일러 수관보일러 특수보일러
종류  노통보일러
 연관보일러
 노통연관보일러
 수직(Vertical)보일러
 자연순환보일러
 강제순환보일러
 관류보일러
 주철보일러
 폐열보일러
 특수연료보일러
 특수유체보일러
특징  구조가 간단하여 설비비가 작고, 취급이 쉽다.
 구조상 증기의 발생이나 대용량에는 적합하지
  않다.
 구조상 전열면적이 적어 수관보일러 등에 비해 열
  효율이 낮다.
 초기 가동에 시간이 걸린다.
 사용 증기량의 증감에 따른 압력변동이 완만
  하다.
 수관의 직경을 작게 하거나, 두께를 감소
  시킬 수 있어 재료의 절약과 전열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열면의 배관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초기 가동시간이 짧다.
 대용량에도 적합하다.
 열효율이 높다.
 사용목적에 따라 특수하게 제작
  된 것으로 연료의 절약 또는
  사용목적에 부합된 열원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일러 수처리의 필요성   

보일러 급수로 사용하는 용수(수도수, 공업용수, 지하수, 하천수 등) 중에는 일반적으로 현탁고형물, 용해고형물, 가스성분 등 여러 물질이 존재하며, 용존염의

양은 원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원수를 별도의 처리 없이 보일러의 급수로 사용하면 보일러 본체 및 부속기기 등에 아래 표와 같은 스케일, 부식, 캐리

오버 등의 장해가 발생하게 된다.

 

                                                     < 보일러의 압력별 장해현상 및 원인 >

압력 장해 장해 현상 장해의 원인
저압
보일러
(20kgf/cm2
이하)
스케일  경도성분 및 실리카 주체의 스 케일 부착
 증발관의 팽출파열
 용수의 오탁과 오염
 연화장치 이상, 관리 불완정
 보일러수 관리 부족 (블로우 부족)
 약주관리 불량
부식  용존가스에 의한 급복수계 부식 발생
 전열면에 금속산화물의 부착 및 침적에 의한 2
  부식 발생
 탈산소 처리
 pH 조정 처리의 불완정
 부식생성물을 함유한 복수 회수
 보일러 정지, 보존 중 부식발생
캐리
오버
 증기순도 및 제품의 품질 저하
 복수 계통의 부식 및 스케일 발생
 부하의 급변
 보일러수 관리의 불완정
 기수분리기 또는 급수제어장치의 이상
 프로세스로부터 보일러로의 불순물 유입

보일러
(20kgf/cm2
이상)
스케일  철 등의 금속산화물과 실리카 주체의 스케일 부착
 증발관 팽출파열
 보일러 용수의 오탁과 오염
 연화장치 이상, 관리 불안정
 보일러수관리 불안정(블로우 부족)
 약주관리 불량
부식  용존가스에 의한 급복수계 부식 발생
 전열면 등에 금속산화물의 부 착에 의한 2차 부식
  발생
 탈산소 처리
 pH 조정 처리의 불안정
 부식생성물을 함유한 복수 회수
 보일러 정지, 보존 중 부식발생
캐리
오버
 증기 순도 및 제품의 품질 저하
 복수 계통의 부식 및 스케일 발생
 부하의 급변
 보일러수 관리의 불완정
 기수분리기, 급수 제어장치 이상
 프로세스로부터 보일러로의 불순물 유입

 

저압 보일러는 원수 또는 연수를 급수로 하는 보일러가 대부분이며, 탈기기의 설치율도 낮기 때문에 보일러 본체에서의 경도성분과 실리카 등에 의한 스케일

장해, 산소에 의한 부식(전 계통)과 이산화탄소에 기인하는 부식(복수 계통) 등의 장해가 발생한다.

고압 보일러는 탈기 처리한 순수가 급수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고온고압하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소량의 불순물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보일러와 부속기구의

장해를 일으킬 수 있다. 고압 보일러의 장해로는 보일러 전열면에서 금속산화물 부착과 부속 설비의 부식 및 과열기, 터빈 등에 발생하는 스케일장해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물에 기인하는 장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일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에 적절한 수처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보일러의 수처리는 장치에 의한 기계적처리와 약품에 의한 화학적처리로 구분된다.

장치에 의한 처리는 수중의 불순물을 응집침전, 여과, 이온교환, 탈기 등의 처리를 통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약품에 의한 처리는 다시 급복수 계통의 수처리와 보일러 계통의 수처리로 구분된다.

복수 계통에 적용되는 수처리제는 탈산소제와 pH 중화제 등이 있다. 보일러 계통에서의 수처리는 청관제, 탈산소제, 슬러지분산제 등의 작용에 의한 보일러

본체의 부식 방지와 함께 급수에서 유입된 스케일성분을 부유화시켜 블로우에 의해 계외로 배출하는 처리가 있다.

 

 

반응형
반응형

교정(Calibration)과 보정에 대해서


정의 : 교정(Calibration)은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의미로 요약하면 측정장비가 측정하여 표시하는 값이 참값인지의 여부를 공인된 표준과  비교하여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활동을 말한다. 검증시 측정값의 오차가 많이 나는 경우 규격범위 이내로 조정을 하던지, 조정하여 기준범위내에들도록 해야만 한다. 
많은 측정장비회사들이 교정을 실시할 때 제조사의 자체 교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정을 하기는 하지만, 제조사의 교정 시스템이 국가적인 표준 및  소급성이 없을 경우에는 엄밀한 의미에서 교정을 하였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이런 이유로 한국 교정기술인증원(KOLAS)에서는 규정된 조건하에서 측정장비가 측정 및 지시하는 값이 표준물질에 의해 대표되는 값과 표준장비로  측정한 값 사이에 관련성을 확인하는 교정과정을 대행하여 주고 있다.     
               

교정과 보정 

교정과 보정 모두 Calibration으로 표시가 가능하기에 많은 사용자들이 교정이 보정과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업체들도 교정과 보정을 같은 의미로 생각하여 보정을 한 후에는 교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는데, 보정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소급성이 무시될 가능성이 많다. 이런 이유로 측정장비의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교정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교정 시 보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보정과정 자체는 측정장비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판단이 아니므로 측정장비의 정확성에 대한 소급성을 갖기 위해서는 교정절차가 있어야 한다. 

3. 교정시 사용되는 용어

- Traceability(소급성) : 명시된 불확도를 가지고 끊어지지 않은 비교사슬을 통하여 국제표준 및 국가측정 표준과 연관되어 질수 있게 하는 측정결과 또는 표준값의 특성 

-Uncertainty of measurement (측정의 불확도) : 측정량에 귀속된 값의 산포를 특징 짓는 측정결과와 관련되 모수 

-Reference material (표준물질) : 측정장비의 교정, 측정장비의 평가 또는 물질의 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성치가 충분히 확정되어 있는 균질한 소재 및 물질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인증표준물질) : 특성치를 표현하는 단위의 정확한 실현을 위하여 소급성이 확립된 방법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성치를 인증한 인증서가 첨부되어 있는 표준물질로서 각 인증치에는 정해진 신뢰도 수준에서 불확도를 표시 

-Primary standard (1차 표준) : 최고의 계량 품질을 갖는 것으로 선정되었거나 널리 인식된 것으로, 그 특성치가 특정한 조건 내에서 동일한 양을 갖는  다른 표준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채택된 표준  

-Stability (안정성) : 특정한 조건하에서 보관할 때 특정기간 동안에 특정된 한계 내에서 정해진 특성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표준물질의 능력 

반응형
반응형

투시도와 SS의 관계

투시도는 투시도계만 있으면 어디서든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SS는 건조기 등의 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쉽게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강우 시 채수한 탁수의 투시도와 SS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니, 투시도의 역수와 SS의 값 사이에는 같은 비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투시도를 측정하여 SS를 추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S(부유물질량) 측정방법에 대해서

수중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탁수나 하천수 등을 폴리 용기에 채수하여 시험실로 가져가고, 전용 물종이로 여과 후 물레지에 남은 고형물을 건조시켜 무게를 측정합니다.

이 고형물의 무게가 부유물질량이 되는데 보통 물 1리터 안에 포함된 중량으로 mg/l로 표시합니다.

그 수치가 커질수록 물속의 고형 물량이 많아져서 물이 탁해지게 됩니다.

이처럼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건조기나 화학천칭0.1mg,아스프레이터 등의 기구가 필요하고 측정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는 반면, 측정 범위가 넓고 오차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탁한 물질의 정체

 탁한 물질의 정체는, 토양등에서 유출된 흙의 입자등의 무기물이나 나뭇잎등이 세세한 식물 파편 뿐만이 아니라, 생활 배수·축산 폐수에 포함되는 유기물등이 되고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강우 시에 발생하는 탁수 속의 탁물질 정체의 대부분이 흙 입자로 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Amtax sc 분석기는 실제 무엇을 측정하나요?

측정값이 Amtaxc에 표시될 때 단위는 "NH 4 -N" 또는 "NH 4"입니다. 즉, 계측기 측정값이 암모늄으로 표현되고 질소("NH 4"라고도 함) 또는 암모늄으로 보고됩니다. 암모니아 농도("NH 4 -N" 또는 "NH 3 -N") 표현 간 차이가 없습니다. 두 경우 모두 질소로 계산되기 때문에 암모니아와 같은 형태입니다.

Amtax sc 분석기는 수산화나트륨(NaOH)를 더해 pH를 조정하고, 암모늄 이온(NH 4 +)를 기체형태의 암모니아(NH 3)로 변환합니다. 이것은 암모니아 가스 선택적 멤브레인을 통과하고, 전극 솔루션의 pH 변화를 유발합니다. 전극의 pH 변화는 샘플 내의 암모니아(NH 3)의 농도에 비례하는 mV 신호로 측정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발전설비에서의 pH측정,반도체 생산설비에서의 pH측정, 제약공정의 초순수

초순수의 pH측정 (pH Measurement in Ultrapure Water)

초순수란 물속에 이온성 물질이 적어(이온강도가 낮아) 전기전도도가 1μS/cm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산업별로는 발전설비의 보일러 급수(Feed Water), 복수(Condensate Return), 보충수 (Make-up Water, DI Water), 반도체Chip의 세척수(Rinse Water), 제약공정의 세척수와 주사용수(Water for Injection)을 들 수 있다.

 

 

1. 초순수 pH측정의 난해성

 

 

초순수의 pH측정은 많은 간섭인자들이 있어 대단히 어렵다. 예를 들면 정전기, 유속, 압력과 온도변화, 표준용액으로 pH전극을 교정한 후에 기준전극 액락부(Liquid Junction)의 오염 등이 간섭인자이다. 현재도 초순수의 pH측정 System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a) 매질의 낮은 전기전도도 (Low Conductivity of the Medium)

물의 전기전도도가 10μS/cm 이하가 되면 pH 측정값이 불안정하고 측정값이 낮게 나온다(보통5~6pH).

이 경우 측정전극과 기준전극의 거리가 가까워야 매질(초순수)의 전기전도도가 낮은 것이 개선되어 안정된 pH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해액이 일정한 속도로 기준전극에서 확산되어야 한다.

측정전극의 유리막의 저항(Impedance)이 20~50 Mohm 이하야 한다.

Maker에 따라서는 기준전극의 전해액(KCl)이 쉽게 흘러나오게 하여 순수의 전기전도도를 높혀 주는 것이 있다. 이런 System은 초순수가 아닌 (KCl 용액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 되어 있다) 불순물의 pH를 측정하는 Trick에 불과하다.

 

 

b) 액락부 전위와 불안정성 (Junction Potential, Unstability)

초순수의 경우 액락부 즉, 기준전극 내부와 외부 초순수 사이의 전위차를 확산전위(Diffusion Potential)라고 한다. 이것은 전극 안과 밖의 용액의 ion농도와 ion의 이동도(Mobility) 때문에 발생되는 전위로 pH측정에 불안정한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에는 매질의 전기전도도를 증가시켜 액락부전위를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러나 이 방법은 완전한 것이 못된다. 왜냐하면 전해액(KCl 또는 KNO3)의 유출이 공정수의 유속에 따라 변하며, 불순물 혼입이 크고 전해액은 수시로 보충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표준용액으로 pH전극을 교정할 때 표준용액은 이온강도가 높아(전기전도도가 일시적으로 커진다) 정상상태의 공정수(초순수)와 전위차가 크게 벌어져 교정할 때와 측정할 때의 pH값의 차이가 크다.

또한 초순수와 표준용액의 온도계수가 차이가 있어 정확한 교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maker에서는 공정수의 일부를 bypass시켜 외부에서 교정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교정이 번잡하고 전체 교정System의 비용이 높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형태의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측정에 유리하다.

- 액락부 전위를 최소로 하고,

- 공정 내에서 기준전극 전해액 유출을 감소시키고,

- 전해액 대신 gel type의 전해질에 압력을 가하여 전극 내에 충전시켜 외부가압 System을 제거하고,

- 큰 환형(Annular) 액락부를 만들고 Pore Size를 액락부 안과 밖의 전하량이 다르지 않게 선택하여서 액락부 전위차를 감소시킨다.

 

 

 

 

c) 정전기에 의한 간섭 (Electrostatic Potential)

정전기는 비전도성 물체 또는 물질이 마찰을 일으킬 때 발생한다. 즉 측정전극의 유리는 비전도체이며 여기에 전도도가 낮은 유체(초순수)가 지나가면 정전기가 발생한다. 정전기는 유속에 비례하여 pH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통 전기저항이 낮은 측정전극 유리를 사용한다.

또한 SUS316 Flow Chamber를 만들어 내부에 발생한 정전기와 외부의 전자파의 간섭을 소거하기 위하여 완벽한 접지(Ground)를 한 제품들도 있다.

 

 

d) 공정수의 오염 (Process Contamination by Impurities)

초순수가 공기 중의 탄산가스(CO2)와 접하게 되면 탄산가스가 초순수에 즉시 용해되어 pH값이 급변한다. 예를 들면 0.3ppm의 CO2가 녹으면 pH값이 7에서 5.6으로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초순수의 pH는 채수하여 실험실에서 개방상태에서 측정하면 공정상의 pH값과 틀리는 이유가 여기 있으며, 우리가 말하는 산성비(Acid Rain)에 대한 규정도 빗물의 pH가 5.6이하를 산성비라고 한다.

SO2 또는 NOx(질소산화물)에 의하여 대기가 오염되지 않아도 일반 대기 중의 탄산가스에 의하여 빗물의 pH가 5.6이 되기 때문이다. 탄산가스 외에도 공기 중에는 많은 불용성 금속산화물 입자와 기타 이온교환수지 잔유물이 전극에 침착하거나 측정조 내에 기포가 혼입되어도 pH값의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Flow Chamber를 이용하는 경우 공정수가 정체되는 부분이 없어야 하며, 유입구와 유출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기포를 제거시켜 주어야 하며, 침전물의 고착을 막기 위하여 전극 부근에서 유속을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e) 유속의 영향 (Influence of Flow rate)

일반적으로 실수요자는 초순수를 아끼기 위하여 유속(유량)이 작았으면 한다. Flow chamber에 불순물이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려면 일정 이상의 유속은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량보다 유속 자체가 pH측정에는 영향이 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Flow Chamber는 유량은 최소로 하고 유속은 일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내부체적을 최소로 설계하여 총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초순수 pH측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속을 작게 유지한다. 유속이 커지면 기준전극 액락부 전위가 변하고 불안정해진다.

요즈음 나오는 전극의 경우 특수 Gel전해질을 충전시켜 유속변동에 큰 영향을 없게 하여, 총유량을 25l/hr가 되게 증가시켜도 pH측정의 정확도와 안정성에 영향이 없다.

가장 적합한 유량은 7l/hr의 유량이며 반도체Chip 세척수의 경우 200l/hr의 유량에서도 pH측정이 가능하다.

 

 

f) 압력의 영향 (Influence of Pressure)

유속변동과 마찬가지로 Flow Chamber 내의 압력변화도 오차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Flow Chamber의 출구(배수 line)는 대기 중에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g) 온도의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pH값이 측정물질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초순수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정확한 온도센서의 사용이 필요하다.

 

 

h) 측정System의 접지

전술한 바와 같이 Flow Chamber 내의 정전기와 외부 전자파의 간섭을 방지하려면 Flow Chamber를 철저히 접지해야 된다.

 

 

=>위에서 기술한 난해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기술적 조치를 하였을 경우에도 이론적인 초순수(18.3Mohms, 0.055μS/cm)인 경우 pH측정의 정확도는 ±0.2pH 이상을 보장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발전설비에서의 pH측정

 

 

발전설비에서 pH측정의 중요성은 설비의 부식 또는 침식과 Scale침착에 의한 열효율과 안전운전에 있다. 물론 발전설비는 화력, 수력, 원자력으로 대별된다. 수질이 문제가 되는 것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석탄 발전소, 석유, 가스터빈, 복합화력(Combined Cycle)과 원자력발전소이다.

보일러 Type이 Drum Type, 관류형(Once-Through)에 따라 수질관리 규정이 조금씩 차이가 나며 원자력에서도 가압경수로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와 비등수로(Boiling Water Reactor, BWR)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pH를 9~10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보일러 수에서는 물이 순수라 하더라도 낮은 pH에서는 금속재질의 부식이 촉진되기 때문에 Ammonia 또는 Amine을 투입하여 pH를 9~10으로 조절하며 Hydrazine의 첨가도 용존산소 제거뿐 아니고 pH를 증가시킨다. 발전설비에서는 Steam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 쉽게 수질을 분석 할 수 없다. 따라서 Steam/Water Circuit의 각 측정점에서 Sampling line을 구성하여“Sampling Rack”에서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pH와 함께 여러 수질항목을 동시에 측정한다(물의 온도를 25℃로 유지한다).

 

 

① Ammonia에 의한 pH조절

암모니아는 낮은 pH조건을 높여주어 금속재질의 부식을 방지하는 데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국내에서도 가장 많이 쓰인다. 그러나 휘발성이 강하여 Steam과 공존하여 가열기 급수line에서는 양이 적어 부식방지 효과가 떨어진다. Amine의 경우는 휘발성이 적어 물과 공존하여 금속재질의 부식에 의한 산화물 산출이 적다.

또한 Ammonia는 구리성분을 용해하며 금속산화물은 대부분 철분이다. 초임계 관류형 보일러에서는 탄소강 급수가열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pH를 9.45~9.6으로 조절하며, 구리합금강의 경우는 pH를 8.8~9.2로 조절한다. 암모니아농도가 2.2ppm일 때 pH는 9.6이 된다.

 

 

② Amine에 의한 pH조절

아민은 휘발성이 작고 pH 증가효과가 지속성이 있어 암모니아 대신 쓰인다. 보일러 부식뿐 아니고 복수기의 부식도 방지한다. 전통적으로 복수기는 7.5~9.2로 pH를 조절한다. 그러나 아민함량이 너무 많으면 구리 합금강이 손상을 입으며 너무 낮으면 pH값이 낮아 부식을 촉진한다.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피막형성 Polyamine을 주입시킨다. 이것은 소수성표면(Hydrophobic Surface)를 형성하여 물 자체를 금속재질에 접촉할 수 없게 한다.

 

 

③ 원자력 2차 측 pH관리

2차 측 수질계통은 원자로의 냉각용이 아닌 원자로와 직접 접속이 되지 않는 급수, 보충수, 응축수(복수)계통으로 나누어진다.

원자로의 2차 측 수질계통은 Drum Type의 화력발전 계통수와 유사하다. 급수계통은 배관과 기기의 재질이 주로 탄소강으로 되어 있어 pH조절범위는 8.8~9.5가 된다. 응축수 계통에서는 pH를 8.8~9.2로 조절하며 수지 재생 시 주로 Na(Sodium) 이온의 누설이 중성 조건보다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급격히 증가한다. 원자력발전에서는 pH와 Na,Cl이온을 엄격히 규제하는데 이는 증기발생기 Tube가 파이거나(Denting) 파열되는 것이 산성 염소(Acidic Chloride) 환경조성으로 밝혀졌으며, 염소이온 존재시 스텐레스강의 응력부식(Stress Corrosion)이나 균열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반도체Chip 세척 수나 제약용수와는 달리 발전용수에서는 각 계통수의 배관, 기기재질을 보호하기 위하여 또한 Scale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억제제, 산소제거제(Oxygen Scavenger), pH조절용 Amine, Ammonia 등을 주입시킴으로 발전용수의 수질화학에 대한 깊은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pH관리를 할 수 있다.

 

 

 

 

3. 반도체 생산설비에서의 pH측정

 

 

반도체생산에서 Chip가공 후 세척수로 사용하는 물은 가장 값비싼 시약이라고 할 수도 있다.

반도체에서는 불순물이 가장 문제가 된다. 따라서 각종 이온과 부유물, 미생물 외에도 SiO2(Silica), 용존산소, TOC가 중요한 관리항목이다.

일반적으로 초순수제조의 최종 단계에서 역삼투여과장치 (R/O), UF(Ultrafilter), 이온교환수지 등의 상태에 따라 pH값은 5~6이 된다.

수질관리규정 항목에는 없지만 수처리 설비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발전설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pH를 연속측정 감시한다.

 

 

 

4. 제약공정의 초순수

 

 

제약용수는 주사용수(Water for Injection)와 경구투약용수, 관주용수(상처세척용), 용기세척용수로 대별된다. 위의 목적에 따라 관리항목이 다르지만 의료용수는 무균과 미생물의 대사물인 Endotoxin (균체 내의 독소)이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의료용수의 규정에 관하여서는 미국의 EPA, ASTM, WQ/PMA(제약협회 수질위원회) 등의 많은 논란 끝에 현재는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규정에 따르며 기타 국가도 미국 FDA규정에 따르고 있다.

제약용수는 무균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반드시 증류과정을 거친 물이였으나 지금은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 USP24 (United State Pharmacopia, 미국약전)에서는 증류수 대신 R/O (역삼투여과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게 규정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중크롬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원리

측정원리

시료를 황산산성으로 하여 중크롬산칼륨 일정과량을 넣고 2 시간 가열반응 시킨 다음 소비된 중크롬산칼륨의 양을 구하기 위해 환원되지 않고 남아 있는 중크롬산칼륨을 황산제일철암모늄용액으로 적정하여 시료에 의해 소비된 중크롬산칼륨을 계산하고 이에 상당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해수를 제외한 모든 시료의 중크롬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이 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2.2 기구

250  삼각 플라스크 또는 둥근바닥 플라스크로서 의 냉각관과 서로 갈아 맞춘 것

 300  리비히 냉각관 또는 이와 동등한 것으로서 의 플라스크와 서로 갈아 맞춘 것

 열판( 1.4 w/ ) 또는 맨틀 히터( mantle heater )

 

2.3 시험방법

250  플라스크에 시료( 1 ) 적당량( 2 )를 넣고 여기에 황산제이수은 약 0.4 g( 3 )을 넣은 다음, 물을 넣어 20 로 하여 잘 흔들어 섞고 몇 개의 비등석을 넣은 다음 천천히 흔들어 주면서 황산은용액 2 를 천천히 넣고, 0.025N-중크롬산칼륨용액 10 를 정확히 넣은 다음 플라스크에 냉각관을 연결시키고 냉각수를 흘린다.

열린 냉각관 끝에서 황산은용액 28 를 천천히 흔들면서 넣은 다음 냉각관 끝을 작은 비이커로 덮고 열판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한다.

방냉시키고 물 약 10 로 냉각관을 씻은 다음 냉각관을 떼어내고 전체 액량이 약 140 가 되도록 물을 넣고 o-페난트로린제일철 용액 23 방울 넣은 다음 0.025N-황산제일철암모늄 액을 사용하여 액의 색이 청록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할 때까지 적정한다. 따로 물 20 를 사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바탕시험을 행한다.

 

COD(  O2/L ) = ( b-a ) × f × 1000/V  × 0.2

a : 적정에 소비된 0.025N-황산제일철암모늄액(  )

b : 바탕화면에 소비된 0.025N-황산제일철암모늄액(  )

f : 0.025N-황산제일철암모늄 용액의 역가( factor )

V : 시료의 양(  )

 1)현탁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잘 흔들어 섞어 균일하게 한 다음 신속하게 분취한다.

 2)2 시간 동안 끊인 다음 최초에 넣은 0.025N-중크롬산칼륨용액의 약 ½이 남도록 취한다.

 3)염소이온의 양이 40 이상 공존할 경우에는 HgSO4 : Cl- = 10 : 1의 비율로 황산제이수은의 첨가량을 늘린다.

비고 1)고농도 시료의 경우에는 시험방법의 중크롬산칼륨액과 황산제일철암모늄액 0.025N 규정농도와 다른 0.25N 농도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방법과 동일하게 따른다.

비고 2)아질산성이온( NO2- ) 1 으로 1.1 의 산소( O )를 소비한다. 아질산성이온에 의한 방해를 제거하기 위해 시료에 존재하는 아질산성질소( NO2-N ) 당 술퍼민산 10 을 첨가한다.

비고 3)이 방법에서는 수은화합물을 사용하므로 시험 후 폐액처리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MLSS란?

MLSS는 활성슬러지 부유물질 또는 폭기조 혼합액의 부유물질의 약칭으로서 일반적으로 폭기조내의 미생물을 말하며, 또한 MLSS는 활성슬러지량의 지표로 이용되며 하 폐수처리시설의 중요한 인자가 된다.

생물학적 처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폭기조내의 F/M비 (Food-Microorganism Rate)로서 표준활성 슬러지법에서는 0.2∼0.4 (kg-BOD/kg-MLVSS·day)정도로 가장 처리효율이 높은 MLSS의 농도로 보통 1,000~2,000mg/ℓ 정도를 선택하여 운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F/M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해서는, 유량균등조를 설치하여 유입수의 유기물이 과부하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도 F/M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한가지 방법이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동적인 유기물 부하에 대한 미생물의 적응을 위해서 반송슬러지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폭기조내 부유물질 조절하므로 F/M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이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MLSS의 측정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된다.  

 

예) MLSS = MLFSS + MLVSS

 MLSS 측정방법

(1) 원심분리법 

 

 

◦ 기구

▫ 원심분리기 : 3,000 4,000 RPM

▫ 원심분리관 : 50 mℓ

▫ 증발접시 : 100 mℓ

◦ 시험조작

시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50 mℓ를 원심분리관에 취하여 넣고 3,000 ~ 4,000 RPM에서 2~3분간 원심분리를 한다. 상등액을 조용히 따라버리고 증류수를 넣어 약 50 mℓ로 한 다음 유리막대로 저어서 섞고 위와 같은 조건으로 다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린다. 침전물을 미리 건조하여 함량으로 한 다음 무게를 단 증발접시에 물 소량으로 씻어서 옮기고 수용상에서 증발건조 한다. 다시 105 ∼ 110 ℃ 건조기 중에서 약 2시간 건조시킨 다음 데시게이터에서 방냉하여 무게를 달고 증발접시의 무게차를 구하여 다음 식에 따라 MLSS의 농도를 산출한다.

 

MLSS (mg/l) = a * 1,000 / 시료량(ml) 

 

 

a : 증발접시의 전후무게차(mg)

 

 

(2)유리섬유여과법 

 

◦ 기구

▫ 유리섬유 여지 : GF/C 여지를 물에 조용히 씻어서 105 110 ℃ 건조기에 말린 다음 데시게이터에 방냉하고 미리 무게를 단 것.

▫ 흡인 여과기

◦ 시험조작

균일하게 혼합된 시료를 적당량을 실린더에 취하여 흡인여과 하고 흡인을 계속하면서 물 소량으로 여과기의 벽에 붙어있는 부유물질을 씻어서 여지상에 모이게 한 다음 다시 소량의 물로 부유물질을 2~3 회 씻어준다. 여과기를 분리하고 여지를 주의하여 시계접시 위에 옮기고 105 ~110 ℃ 건조기에서 약 2시간 건조한 다음 데시게이터에서 방냉하여 무게를 달고 여지의 전후 무게차(a)로부터 MLSS의 농도를 구한다.  

 

MLSS (mg/l) = a * 1,000 / 시료량(ml) 

 

a : 증발접시의 전후 무게차(mg)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