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음료수 맛의 차이의 이유는?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음료수 맛의 차이의 이유는?

갑작스럽지만 물이 맛이 있을 것 같아요?

연수, 경수, 천연수, 생수, 해양심층수 등 편의점에 가면 여러 종류의 물을 판매합니다.

조금 비싼 수입 식품점이라면 10 종류 이상의 물을 갖추고 있기도 합니다.

또 시골이나 산꼭대기에서 마시는 물은 맛있고 해외에서 마시는 물은 쓴 느낌, 수돗물은 맛이 없다고 하는 경험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물의 맛을 느끼는 것은 H2O 이외의 성분에 의한 것입니다.

아래 표는 맛있는 물 연구회에서 제시한 맛있는 물의 요건입니다.

수질 잔류 물질
수 치
증발 잔류물
30~200mg/L
경도
10~100mg/L
유리탄산
3~30mg/L
과망간산카륨
3mg/L이하
냄새강도(취기지수)
3이하
잔류염소
0.4mg/L이하
수온
최고20℃이하

※일본 도쿄 수도국 웹사이트에서 발췌

일반적으로 미네랄(칼슘·마그네슘 등) 등이 적당량 포함되어 있으면 '맛있다'고 느끼고, 잔류염소 등이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면 '맛없다'고 느끼는 것 같습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천연수가 좋다」 「다이어트를 위해서 경수를 마신다」와 같이 물의 종류를 의식해 선택하는 일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물 종류입니다.

수질 및 처리 방법, 채수 장소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또나라에따라서도세세하게분류가되어있는데요.

연수: 경도 100mg/L 미만의 물

경수: 경도 100mg/L 이상의 물

천연수 : 자연의 원수, 여과, 침전, 가열 살균만 가공한 물

생수 : 지하수를 원수로 하는 물

해양심층수 : 수심 200m 이심의 바닷물을 처리한 물

실험에 사용되는 물의 종류

자,여러분들이 평소에 실험이나 연구에 사용하는 물에도 음료수와 비슷한 종류가있다라는 걸 알고계신가요?

한마디로 실험에 사용하는 물이라고 해도, 순수·이온 교환수·초순수·RO수·증류수 등 다양한 종류가 실험에서 사용하는 물을 의식하여 구분하여 사용하는 분도 있고, 물의 종류는 의식하지 않고 근처에 있는 것을 사용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사실 물의 종류에는 실험에 적합한 것과 적합하지 않은 것이 있군요.

우선, 가장 큰 분류로, 순수 및 초순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순수와 초순수의 정의입니다.

순수(純水): 수돗물에 불순물 제거의 어떤 처리를 한 물.

  정제 방법: 지정 없음.

초순수: 순수를 더욱 정제하여 비저항이 18MΩ·cm 이상인 물.

 정제방법: 역삼투막, 이온교환수지, 활성탄, 자외선, 한외여과막 등을 조합하여 정제.

순수에는 정제 방법으로 지정되지 않고, 수돗물에 어떠한 처리를 하면 순수라고 불립니다.

넓게 말하면, 여러분이 초등학생 시절에 실시한 과학시간의 실험에서 물종이를 사용하여 여과한 물도 순수의 일종입니다.

이처럼 순수 정제 방법으로 지정이 없기 때문에 정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순수가 있습니다.

한편, 초순수의 경우에는 명확한 기준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종류는 없습니다.

'정제'란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말합니다.

불순물을 크게 나누면 무기물, 유기물, 미립자, 미생물로 분류됩니다.

수돗물·순수·초순수를 각각 50m 수영장에 채울 경우 불순물은 도대체 어느 정도의 양이 포함되어 있을까요?

50m 수영장을 '수돗물'로 채운 경우: 불순물은 드럼통 2개 분량

50m 수영장을 '순수'로 채운 경우 : 불순물은 1컵 분량

50m 수영장을 '초순수'로 채운 경우 : 불순물은 1스푼 분량

초순수나 순수 제조 장치 내부에서는 드럼통 2개 분량의 불순물을 한 스푼 분량이나 한 컵 분량으로 줄이기 위한 정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즉, 이 정제야말로 순수나 초순수를 만들기 위한 열쇠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그 정제의 차이에 따른 순수의 종류를 설명할까 함니다.

증류수 : 증류기에 의해 정제된 물

 정제방법 : 물과 불순물의 비점 차이 이용

RO물 : RO막(역삼투막)에 의해 정제된 물

 정제방법 : RO막으로 불순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

이온교환수: 이온교환을 통해 정제된 물

 정제방법:이온교환수지로불순물제거

Elix수 : RO막과 EDI 연속이온 교환의 조합으로 정제된 물

 정제방법 : RO막에 의한 크기에 따른 분리와 더불어 EDI 연속이온 교환으로 전기의 힘으로 이온 제거

순수한 물의 차이는 정제 방법의 차이

'정제 방법은 달라도 순수는 순수가 아닐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정제 방법의 차이는 순수의 수질 차이로 이어집니다.

정제 방법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불순물이 다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은 순수의 수질도 달라집니다.

아래 그림은 각 정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물을 무기물·유기물의 양으로 평가한 것입니다.

가로축의 도전율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수중 이온이 적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세로축의 TOC는 유기 물량을 나타내며 숫자가 1에 가까울수록 유기 물량이 적습니다.

이 그림에서 순수(純水)가 상당히 넓은 의미를 가진 단어라는 것을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같은 순수라도 초순수에 붙어 있는 것이나 수돗물에 가까운 것 등 수질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온 교환수는 이온은 제거되어 있지만 유기물의 양은 수돗물과 거의 비슷합니다.

그래서 유기물을 다루는 실험에서는 유기물이 제거되지 않은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면 실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