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音)에 대해서
애초에 '음'이 뭘까요?
소리란 '공기의 진동'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 진동이 고막이나 마이크에 전해지는 것을 통해 소리로 인식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 진동의 사이클(주파수/Hz)이 빠르면 높은 소리, 느리면 낮은 소리가 되고, 그 압력(데시벨/dB)이 높으면 큰 소리, 낮으면 작은 소리가 됩니다.
수식으로보면 F=T/1 (주파수는 주기분의1이됨니다)
"이 주파수와 데시벨의 조합에 따라 소리는 다양한 음색으로 들려오게 됩니다.
그럼 '소음'이 뭘까요?
듣는 사람에게 좋지 않은 느낌을 주는 소리의 총칭을 '소음'이라고 부릅니다.
사람은 주관이 있고, 들은 소리에 대해 바람직한지 좋지 않은지를 듣는 사람이 판단하기 때문에 소음을 객관적인 물리량에 따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합니다.
아름다운 음악이라도 듣고 싶지 않은 사람에게는 시끄럽다고 느끼고, 공사 현장의 소음이라도 거기에 익숙해져 버린 사람에게는 그다지 귀찮게 느끼지 않을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소음이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예측을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축설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소음」은 공조 환기 계통의 실내 소음이거나, 드르르 ,와르르,갑자기나는소리 등으로부터의 인근에 대한 소음이거나, 실외기나 펌프 등 옥외에 설치된 기계로부터의 소음이거나 라고 생각합니다.
단위에 대하여
소리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주파수(Hz·헤르츠)란?
「1초에 몇회, 공기의 밀도을 반복하는 것인가」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1Hz'는 '1초에 1회', '1K(킬로)' Hz는 1초에 1,000회의 조밀을 반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수식으로보면 T=F/1 (주기는 주파수분의 1이됨니다)
일반적인 성인은 '20~20,000Hz'의 소리를 조절할 수 있는(가청 주파수 대역)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그 범위가 좁아집니다.
최근 '모기 소리(1.7KHz정도의 소리)를 틀어서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것을 방지한다'는 화제가 있는데 이는 20세 정도의 사람들까지 알아들을 수 있는 고주파 음을 발함으로써 불쾌감을 주고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하는 수단 중 하나입니다.
안타깝게도 40대가 넘으면 전혀 알아들을 수가 없어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시벨(dB)은,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최소 가청치)의 압력을 1로 했을 때에, 대상이 되는 소리의 압력이 몇배의 것인지를 대수 압축해 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당연이 그 「몇배」라고 하는 실수를 표기하면 좋지만, 매우 큰 수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알기 어렵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데시벨값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3,162,277]이라는 수치가 있다고 합시다.
이것은[10의 6.5승]을 나타낸 것입니다만, 보다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그 지수를 10배해 표기한 것이 데시벨입니다.
즉, '최소 가청치 압력의 316만 배의 압력의 음압을 65dB라고 부른다'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데시벨의 종류
소리의 크고 작음을 측정하는 소음계는 'F스케일', 'C스케일', 'A스케일' 등 세 가지 특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F스케일은 순전히 발생하는 음압을 표시합니다.
「C스케일」은 50Hz이하와 5,000Hz이상의 주파수역을 낮게 표시하는 보정이 되어 있습니다.
이는 소음계 내부의 셀프소음이나 바람 등에 의한 잡음의 영향을 제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인 실내소음 측정에 사용됩니다.
「A스케일」은 각 주파수역에 대해서, 인간의 귀에 들리는 느낌의 데시벨치에 보정(청감 보정)한 값이 표시되어 주로 옥외 소음을 측정할 때에 사용됩니다.
과거에 폰이라고 불렀던 것은 이 특성을 의미합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시벨의 특성은 측정할 때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내 측정에는 'F 또는 C스케일', 옥외 측정에는 'A스케일'을 각각 사용하니 주의하세요.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외선(UV: Ultra Violet)에 대해서 (0) | 2022.10.10 |
---|---|
잔류 염소 계측기에 대해서 (0) | 2022.10.10 |
나트륨 양을 식염 상당량(염분량)으로 환산방법에 대해서 (0) | 2022.10.10 |
해수 중 주요 성분의 농도(염분 35‰의 해수) (0) | 2022.10.10 |
염화 이온을 소금으로 환산하면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