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도 뜻, 색도 측정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효염소 뜻, 유효염소 측정방법? (0) | 2022.09.13 |
---|---|
잔류염소 뜻, 잔류염소 측정 방법? (0) | 2022.09.13 |
탁도 뜻, 탁도 측정법 ? (1) | 2022.09.13 |
MLSS, 활성슬러지, 활성오니의 뜻, 측정 법 및 측정원리? (1) | 2022.09.13 |
염소이온 뜻, 염소이온 측정 방법 및 염소 이온 전극 수명? (0) | 2022.09.13 |
유효염소 뜻, 유효염소 측정방법? (0) | 2022.09.13 |
---|---|
잔류염소 뜻, 잔류염소 측정 방법? (0) | 2022.09.13 |
탁도 뜻, 탁도 측정법 ? (1) | 2022.09.13 |
MLSS, 활성슬러지, 활성오니의 뜻, 측정 법 및 측정원리? (1) | 2022.09.13 |
염소이온 뜻, 염소이온 측정 방법 및 염소 이온 전극 수명? (0) | 2022.09.13 |
잔류염소 뜻, 잔류염소 측정 방법? (0) | 2022.09.13 |
---|---|
색도 뜻, 색도 측정법? (1) | 2022.09.13 |
MLSS, 활성슬러지, 활성오니의 뜻, 측정 법 및 측정원리? (1) | 2022.09.13 |
염소이온 뜻, 염소이온 측정 방법 및 염소 이온 전극 수명? (0) | 2022.09.13 |
pH 측정 방법 및 pH전극 감도 체크 방법 (0) | 2022.09.13 |
색도 뜻, 색도 측정법? (1) | 2022.09.13 |
---|---|
탁도 뜻, 탁도 측정법 ? (1) | 2022.09.13 |
염소이온 뜻, 염소이온 측정 방법 및 염소 이온 전극 수명? (0) | 2022.09.13 |
pH 측정 방법 및 pH전극 감도 체크 방법 (0) | 2022.09.13 |
Dissolved Oxygen ppm 이란? / DO 측정 방법 (0) | 2022.09.13 |
탁도 뜻, 탁도 측정법 ? (1) | 2022.09.13 |
---|---|
MLSS, 활성슬러지, 활성오니의 뜻, 측정 법 및 측정원리? (1) | 2022.09.13 |
pH 측정 방법 및 pH전극 감도 체크 방법 (0) | 2022.09.13 |
Dissolved Oxygen ppm 이란? / DO 측정 방법 (0) | 2022.09.13 |
하수종말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MLSS, 활성슬러지, 활성오니의 뜻, 측정 법 및 측정원리? (1) | 2022.09.13 |
---|---|
염소이온 뜻, 염소이온 측정 방법 및 염소 이온 전극 수명? (0) | 2022.09.13 |
Dissolved Oxygen ppm 이란? / DO 측정 방법 (0) | 2022.09.13 |
하수종말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하천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염소이온 뜻, 염소이온 측정 방법 및 염소 이온 전극 수명? (0) | 2022.09.13 |
---|---|
pH 측정 방법 및 pH전극 감도 체크 방법 (0) | 2022.09.13 |
하수종말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하천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해역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하수종말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구 분 | BOD (㎎/ℓ) |
COD (㎎/ℓ) |
SS (㎎/ℓ) |
T-N (㎎/ℓ) |
T-P (㎎/ℓ) |
대장균군수 (개/㎖) |
특정지역기준 | 10 이하 | 40 이하 | 10 이하 | 20 이하 | 2 이하 | 3,000이하 (1,000이하) |
기타지역기준 | 20 이하 | 40 이하 | 20 이하 | 60 이하 | 8 이하 |
○ 특정지역
- 2002.1.1부터 : 팔당호 상수원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잠실수중보권역
- 2004.1.1부터 :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수계지역
- 2008.1.1부터 : 전지역
○ 대장균군수 1,000개/㎖이하 적용지역
-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한 청정지역
- 상수원보호구역 및 그 경계선 상류 10㎞이내 지역
- 취수시설 상류 15㎞이내 지역
※ 자료 :「하수도법시행규칙」(2001.10)
pH 측정 방법 및 pH전극 감도 체크 방법 (0) | 2022.09.13 |
---|---|
Dissolved Oxygen ppm 이란? / DO 측정 방법 (0) | 2022.09.13 |
하천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해역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오염물질배출허용기준 (1) | 2022.09.13 |
하천수질환경기준
구 분 |
등 급 |
이용목적별 적용 대상 |
기 준 |
||||
수소이온농도 (pH)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ℓ) |
부유물질량 (SS)(㎎/ℓ) |
용존산소량 (DO)(㎎/ℓ) |
대장균균수 (MPN/100㎖) |
|||
생 활 환 경 |
1 |
상수원수 1급 자연환경보존 |
6.5-8.5 |
1 이하 |
25 이하 |
7.5 이상 |
50 이하 |
2 |
상수원수 2급 수산용수 1급 수 영 용 수 |
6.5-8.5 |
3 이하 |
25 이하 |
5 이상 |
1,000 이하 |
|
3 |
상수원수 3급 수산용수 2급 공업용수 1급 |
6.5-8.5 |
6 이하 |
25 이하 |
5 이상 |
5,000 이하 |
|
4 |
공업용수 2급 농 업 용 수 |
6.0-8.5 |
8 이하 |
100 이하 |
2 이상 |
-- |
|
5 |
공업용수 3급 생활환경보전 |
6.0-8.5 |
10 이하 |
쓰레기등이 떠 있지 아니할것 |
2 이상 |
-- |
구 분 |
등 급 |
기 준 |
|
사람의 건강보호 |
전 수 역 |
카드뮴(Cd) |
0.01㎎/ℓ 이하 |
비소(As) |
0.05㎎/ℓ 이하 |
||
시안(CN) |
검출되어서는 안됨 |
||
수은(Hg) |
검출되어서는 안됨 |
||
유기인 |
검출되어서는 안됨 |
||
Dissolved Oxygen ppm 이란? / DO 측정 방법 (0) | 2022.09.13 |
---|---|
하수종말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해역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오염물질배출허용기준 (1) | 2022.09.13 |
호소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해역수질환경기준
구 분 |
등 급 |
기 준 |
||||||
수소이온 농도 (pH) |
화 학 적 산소요구량 (COD) (㎎/ℓ) |
용 존 산소량 (DO) (㎎/ℓ) |
대장균 균 수 (MPN/ 100㎎/ℓ) |
용매추출 유 분 (㎎/ℓ) |
총질소 (㎎/ℓ) |
총인 (㎎/ℓ) |
||
생 활 환 경 |
1 |
7.8-8.3 |
1 이하 |
7.5 이상 |
1000 이하 |
0.01 이하 |
0.3 이하 |
0.03 이하 |
2 |
6.5-8.5 |
2 이하 |
5 이상 |
1000 이하 |
0.01 이하 |
0.6 이하 |
0.05 이하 |
|
3 |
6.5-8.5 |
3 이상 |
2 이상 |
-- |
-- |
1.0 이하 |
0.09 이하 |
구 분 |
등 급 |
항 목 |
기 준(㎎/ℓ) |
사람의 건강보호 |
전 수 역 |
6가크롬(Cr6+) |
0.05 |
비소(As) |
0.05 |
||
카드뮴(Cd) |
0.01 |
||
납(Pb) |
0.05 |
||
아연(Zn) |
0.1 |
||
구리(Cu) |
0.02 |
||
시안(CN) |
0.01 |
||
수은(Hg) |
0.0005 |
||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폐닐(PCB) |
0.0005 |
||
다이아지논 |
0.02 |
||
파라티온 |
0.06 |
||
말라티온 |
0.25 |
||
1,1,1-트리클로로에탄 |
0.1 |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0.01 |
||
트리클로로에틸렌 |
0.03 |
||
디클로로메탄 |
0.02 |
||
벤젠 |
0.01 |
||
페놀 |
0.0005 |
||
음이온 계면활성제(ABS) |
0.5 |
1. 등급Ⅰ은 참돔·방어 및 미역 등 수산생물의 서식·양식 및 해수욕에 적합한 수질을 말한다.
2. 등급Ⅱ는 해양에서의 관광 및 여가선용과 숭어 및 김 등 등급Ⅰ의 해역에서 서식·양식에 적합한 수산생물외의 수산생물의 서식·양식에 적합한 수질을 말한다.
3. 등급Ⅲ은 공업용 냉각수, 선박의 정박 등 기타 용도로 이용되는 수질을 말한다.
하수종말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
하천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오염물질배출허용기준 (1) | 2022.09.13 |
호소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먹는물 기준 (0) | 2022.09.13 |
1.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화학적산소요구량,부유물질량
지역구분 |
대상규모 |
1일 폐수배출량 2,000㎥이상 |
1일 폐수배출량 2,000㎥미만 |
||||
항 목 |
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 (㎎/ℓ) |
화 학 적 산소 요구량 (㎎/ℓ) |
부유 물질량 (㎎/ℓ) |
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 (㎎/ℓ) |
화 학 적 산소 요구량 (㎎/ℓ) |
부유 물질량 (㎎/ℓ) |
|
청 정 지 역 |
환경기준(수질) Ⅰ등급정도의 수질을 보전하여야 한다고 인정하는 수역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지역 |
30 이하 |
40 이하 |
30 이하 |
40 이하 |
50 이하 |
40 이하 |
가 지 역 |
환경기준(수질) Ⅱ등급정도의 수질을 보전해야 한다고 인정하는 수역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지역 |
60 이하 |
70 이하 |
60 이하 |
80 이하 |
90 이하 |
80 이하 |
나 지 역 |
환경기준(수질) Ⅲ,Ⅳ,Ⅴ등급정도의 수질을 보전해야 한다고 인정하는 수역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지역 |
80 이하 |
90 이하 |
80 이하 |
120 이하 |
130 이하 |
120 이하 |
특 례 지 역 |
환경부장관이 공단폐수종말처리구역으로 지정하는 지역 및 시장·군수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 8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하는 농공단지 |
30 이하 |
40 이하 |
30 이하 |
30 이하 |
40 이하 |
30 이하 |
1. 자연공원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자연공원의 공원구역 및 수도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공고된 상수원보호구역은 청정지역으로 본다.
2. 정상가동중인 하수종말처리시설에 배수설비를 연결하여 처리하고 있는 배출시설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은 나지역의 기준을 적용한다.
3. 하수처리구역에서 하수도법 제24조의2의 규정에 의하여 공공하수도 관리청의 허가를 받아 폐수를 공공하수도에 유입시키지 아니하고 공공 수역으로 배출하는 배출시설 및 하수도법 제24조제1항의 규정을 위반 하여 배수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폐수를 공공수역으로 배출하는 사업장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은 하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을 적용한다.
호소수질환경기준
1.총인, 총질소의 경우 총인에 대한 총질소의 농도 비율이 7 미만일 경우에는 총인의 기준은 적용하지 아니하며, 그 비율이 16 이상일 경우에는 총질소의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2. 수산용수 1급 : 빈부수성수역의 수산생물용
3. 수산용수 2급 : 빈부수성수역의 수산생물용
4. 자연환경보전 : 자연경관등의 환경보전
5. 상수원수 1급 : 여과등에 의한 간이정수처리후 사용
6. 상수원수 2급 : 침전여과등에 의한 일반적 정수처리후 사용
7. 상수원수 3급 : 전처리등을 거친 고도의 정수처리후 사용
8. 공업용수 1급 : 침전등에 의한 통상의 정수처리후 사용
9. 공업용수 2급 : 약품처리등 고도의 정수처리후 사용
10.공업용수 3급 : 특수한 정수처리후 사용
11.생활환경보전 : 국민의 일상생활에 불쾌감을 주지 아니할 정도
구 분 |
등 급 |
이용 목적별 적용대상 |
기 준 |
||||||
수소 이온 농도 (pH)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ℓ) |
부유 물질량 (SS) (㎎/ℓ) |
용존 산소량 (DO) (㎎/ℓ) |
대장균 균수 (MPN/ ㎎/ℓ) |
총 인 T-P (㎎/ℓ) |
총질소 T - N (㎎/ℓ) |
|||
생 활 환 경 |
1 |
상수원수1급 자연환경보전 |
6.5-8.5 |
1이하 |
1이하 |
7.5 이상 |
50 이하 |
0.010 이하 |
0.200 이하 |
2 |
상수원수2급 수산용수1급 수 영 용 수 |
6.5-8.5 |
3이하 |
5이하 |
5 이상 |
1,000 이하 |
0.030 이하 |
0.400 이하 |
|
3 |
상수원수3급 수산용수2급 공업용수1급 |
6.5-8.5 |
6이하 |
15이하 |
5 이상 |
5,000 이하 |
0.050 이하 |
0.600 이하 |
|
4 |
공업용수2급 농 업 용 수 |
6.0-8.5 |
8이하 |
15이하 |
2 이상 |
-- |
0.100 이하 |
1.0 이하 |
|
5 |
공업용수3급 생활환경보전 |
6.0-8.5 |
10이하 |
쓰레기등이 떠있지 않을것 |
2 이상 |
-- |
0.150 이하 |
1.5 이하 |
해역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
오염물질배출허용기준 (1) | 2022.09.13 |
먹는물 기준 (0) | 2022.09.13 |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증류수와 일반물의 차이점(전도도값) (0) | 2022.09.13 |
오염물질배출허용기준 (1) | 2022.09.13 |
---|---|
호소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증류수와 일반물의 차이점(전도도값) (0) | 2022.09.13 |
세계 최대의 강은? (0) | 2022.09.13 |
방류수 수질기준
2. 이 표에서 특별대책지역은 한강수계중 환경정책기본법 제22조의 규정에 의하여 수질보전을 위하여 지정된 특별대책지역으로 하며, 잠실수중보 권역은 팔당댐과 잠실수중보사이의 하천(지천을 포함한다)의 집수구역 (빗물이 자연적으로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으로 흘러드는 지역으로서 주변의 능선을 잇는 선으로 둘러싸인 구역을 말한다)으로 한다.
호소수질환경기준 (0) | 2022.09.13 |
---|---|
먹는물 기준 (0) | 2022.09.13 |
증류수와 일반물의 차이점(전도도값) (0) | 2022.09.13 |
세계 최대의 강은? (0) | 2022.09.13 |
세계 최대의 호수는? (0) | 2022.09.13 |
물은 사용 용도에 따라 분석항목 및 기준치를 달리 설정하는데 원자력발전소, 담수플랜트 등의 보일러용 급수에서는 전기 전도도와 실리카 성분 분석을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전기전도도의 기준치는 1.0㎲/㎝ 그리고 실리카의 기준치는 0.2ppm 입니다. 때로 고압용 보일러를 사용할 때는 철(Fe<0.02ppm)>이나 구리 (Cu<0.005ppm)>성분을 분석하여 증류수의 수질기준으로 삼기도 합니다. 만약 꼭 찝는다면 전기전도도 (<1.0㎲/㎝)와 실리카 (<0.2ppm)를 기준으로 하면 좋을 듯 합니다.
전기전도도 란?
전기전도도는 용액이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용액중의 이온의 세기를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단위는 전기저항의 역수 mho로 나타내나 현재는 국제적으로 S(Siemens) 단위가 통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mho/sm 또는 ㎲/㎝로 표시.) 물의 전기 전도도는 물 중에 미내랄 성분이 많을수록 높습니다. 물론 소금이나 몸에 유해한 중금속 들이 들어 있으면 높은 값을 나타냅니다.
전기 전도도는 온도차에 의한 영향(약2%/℃)이 크므로 대개는 측정 결과를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25℃ 에서의 값으로 환산하여 기록합니다.
용액의 전도도값
품 명 |
전 도 도 |
순수 |
0.055 ㎲/㎝ |
증류수 |
0.5 ㎲/㎝ |
보일러용수 |
1.0 ㎲/㎝ |
깊은산의약수 |
1.0 ㎲/㎝ |
깨끗한 수돗물 |
50 ㎲/㎝ |
일반식수(최대치) |
1055 ㎲/㎝ |
0.01N KCI 용액 |
1409 ㎲/㎝(전도도 표준) |
바닷물 |
53 ㎳/㎝ |
10% NaCH |
355 ㎳/㎝ |
10% H2SO4 |
432 ㎳/㎝ |
31% HNO3 |
865 ㎳/㎝ |
바닷물 |
53 ㎳/㎝ |
먹는물 기준 (0) | 2022.09.13 |
---|---|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세계 최대의 강은? (0) | 2022.09.13 |
세계 최대의 호수는? (0) | 2022.09.13 |
맛있는 물, 건강에 좋은 물! (0) | 2022.09.13 |
세계 최대의 강은?
여러분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강이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나일강이나 미시시피강이라고요?아니에요. 세계 최대의 강은 아마존강입니다.
본줄기의 길이만도 5만㎞나 되며 브라질·베네수엘라·콜롬비아·페루·볼리비아·에콰도르 등 남미의 6개 국가를 거쳐 흐릅니다.
유역 면적은 705만㎢로 남아메리카 대륙의 3분의 1이나 되며, 남북한 면적의 약 32배로 지구상의 강 중 최대죠. 자, 그럼 오늘은 아마존강을 탐험해 보기로 해요.
◆ 아마존강 이름의 유래 아마존강이란 이름은 1542년 스페인의 군인 오렐랴나가 이 강에 대한 본격적인 탐험에 나서면서 도중에 만난 인디언 여전사들을 부른 데서 비롯됩니다. 그는 이 지역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용감한 여자 전사들의 나라’로 여기고 이 지방을 ‘아마조니아’라고 불렀답니다.
◆ 강 중의 왕 아마존강 거의 모든 면에서 아마존강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강에는 아마존강을 제외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큰 강 7개를 합한 것보다 더 많은 물이 흐르고 있답니다. 길기로 이름난 미시시피강의 10배 이상이지요. 아마존강은 길이가 비슷한 나일강의 수량보다 50배나 더 많아요. 또한 1000마일(1609㎞) 이상이 되는 지류(강의 본류에 유입되는 줄기 하천)를 7개나 거느리고 있어요. 여러분, 우리 나라 남북한을 더한 길이가 1100㎞ 정도니 아마존강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되지요? 아마존강의 유역 면적은 지구상에서 가장 커 그 넓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크기랍니다. 또 아마존강은 지구상의 모든 강이 바다로 흘려보내는 담수(민물)량의 20%를 차지합니다. 워낙 엄청난 민물이 흘러들어가므로 근처 대서양의 염분도(바닷물이 짠 정도)가 낮아지는데, 그 영향을 받는 지역이 지중해만한 넓이라고 해요.
◆ 3개의 빛깔을 가진 아마존강 아마존강에는 청색, 흰색, 검은색 3종류의 강이 있습니다. 강물 빛이 이처럼 구별되는 것은 강 주변의 환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랍니다. 아마존강의 남쪽을 흐르는 강은 청색을 띠는데 모래가 많고 물이 맑아 푸른 하늘빛을 반사합니다.
아마존 북부에서 열대림 속으로 흘러드는 강은 검은색이고, 아마존강 본류는 서쪽 멀리 안데스에서 비롯된 침전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흰 빛깔입니다.
◆ 아마존강에 사는 생물 아마존강의 중간중간에 있는 섬에는 파파야·코코아·망고 등 이름만 들어도 군침이 도는 열대 과일이 풍성하답니다.
그런데 아주 주의할 점이 있어요. 아마존강에서 수영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일이에요. 왜냐하면 ‘피라니아’라는 상어 못지않게 무시무시한 식인 물고기가 득실거리기 때문이죠. 먹잇감이 강물에 들어오면 순식간에 뜯어먹어 치운답니다. 세계에서 제일 크다는 ‘아나콘다’라는 뱀과 5m가 넘는 악어가 있을 뿐 아니라, 세계 민물고기 중에서 가장 큰 종류인 ‘피라루크’와 같이 신기한 동물들이 아마존강에 살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조류의 20%가 아마존 유역에 살고 있고, 아마존의 야생 열대림에는 지구상 동식물 종의 10%가 발견됩니다.
◆ 아마존강의 문화와 생활 아마존강과 주변 밀림에는 아직도 여러 원주민 부족들이 고유의 전통을 이어가며 생활하고 있어요. 수많은 강줄기가 밀림 속을 가로지르고 있어 배가 버스와 트럭을 대신할 정도여서 강은 ‘물 위의 고속도로’가 됩니다. 이 울창한 열대 지역을 돌아보기 위해서는 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1년 내내 여름인 아마존강의 상류 안데스산맥 고지대에는 유명한 잉카 문명의 유적인 마추픽추와 1년 내내 겨울만 있는 시비나코차 같은 호수도 있어요. 아마존강의 중류 울창한 열대림 지역에는 마나우스라는 아름다운 도시가 있는데, 아마존강을 탐험하기 좋은 중간 지점이랍니다. 또한 아마존강 하류에는 고무 생산으로 유명해진 벨렘이란 항구 도시가 있는데, 여기에는 유럽 분위기의 저택들이 많습니다. 아마존 지역에서는 한때 고무 재배가 번창했는데, 이는 19세기 말 자전거가 등장한 데 이어 20세기 들어 자동차가 만들어지면서 타이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이지요. 미국에서 자동차가 대량 생산되면서 더 많은 고무가 필요해졌고 고무를 공급하기 위해 고무나무 농장이 엄청나게 들어선 것입니다.
방류수 수질기준 (0) | 2022.09.13 |
---|---|
증류수와 일반물의 차이점(전도도값) (0) | 2022.09.13 |
세계 최대의 호수는? (0) | 2022.09.13 |
맛있는 물, 건강에 좋은 물! (0) | 2022.09.13 |
물의 기능과 중요성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