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습기의 원인에 대해서
공기들이 최대한 가질수있는 수증기의량이 다릅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포함할수있는 수증기의량이 증가하여 같은양의수증기를 공기가 포함하고있더라도 온도가 높으면 습도가 낮아 건조하고 온도가 낮으면 습도가 높아집니다.
습도=현재수승기량/ 현재온도의 포화주증기량*100
새벽에 이슬이 생기는것도 이것때문인데 현재수증기량은 변화가없으나 기온이 낮아지면 포화수증기람이 줄어들게되고, 기온이계속낮아지면 현재수증기량이 포화수증기량을 넘어버리면 주변물체에 물방울이 맺히게됩니다.이를 노점 또는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찰계수에 대해서 (0) | 2022.10.20 |
---|---|
전류의3대 작용에 대해서 (0) | 2022.10.20 |
윙클러법의 원리에 대해서 (0) | 2022.10.20 |
TOC(전유기탄소)에 대해서 (0) | 2022.10.20 |
AC어댑터 선택법은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