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클러법의 원리에 대해서
해수 중 산소 농도의 화학적 측정법은 Winkler(1888)에 의해 처음 제안되어 Strickland and Parsons(1968)에 의해 개량된 방법에 기초하였다.
이 방법의 기초는 해수 시료 중의 산소가 요오드 이온을 정량적으로 요오드에 산화하여 생성한 요오드를 표준 티오황산염 용액으로 적정하는 것이다.
윙클러법이란?
해양학에서는, 해수중의 산소 농도(Dissolved Oxygen: DO)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
윙클러법의 원리
제1단계:용존산소고정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를 고정하여 정확한 양을 정량할 수 있도록 한다.
시료에 알칼리 조건 하에서 황산망간(MnSO4) 용액을 더하면 수산화망간(Ⅱ)이 발생한다.(1)
용존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수산화망간(Ⅱ)(Mn(OH)2)의 백색침전 상태이나, 용존하는 산소가 있는 경우는 수산화망간(Ⅱ)을 산화시키고 옥시수산화망간(Ⅳ)(MnO(OH)2)로 한다.
또는 수산화망간(Ⅱ)(Mn(OH)2)은 산화되어 수산화망간(Ⅲ)(Mn(OH)2)이 된다. (3)
(1) Mn2+2OH-→ Mn(OH)2↓
(2) 2Mn(OH)2 + O2 → 2MnO(OH)2 ↓
(3) 4Mn(OH)2 + O2 +2H2O → 4Mn(OH)3 ↓
제2단계:요오드의 유리
제1단계에서 추가해 두는 요오드화칼륨과 옥시수산화망간(Ⅳ) 및 수산화망간(Ⅲ)은 염산 혹은 황산 첨가에 의한 산성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요오드를 유리한다.
2MnO(OH)2 + 4I- + 8H + → 2Mn2 + 2I2 + 6H2O
4Mn(OH)3 + 4I- + 12H + → 4Mn2 + 2I2 + 12H2O
모든 반응에서 시료 중 용존산소 1몰에 대하여 요오드가 2몰 유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단계:티오황산나트륨 적정
이 유리된 요오드를 티오황산나트륨(Na2S2O3)으로 적정하여 정량한다.
I2 + 2S2O32- → 2I- + S4O62-
1몰의 요오드에 대해 2몰의 티오황산 이온을 필요로 하는 것을 보면, 시료 중의 용존산소 1몰에 대하여 4몰의 티오황산 이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충: 아지화나트륨 첨가
또, 제1단계 시에 아지화나트륨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다.
아지화나트륨을 첨가하는 이유는 아질산이온을 제거하기 위해서.
아질산 이온은 요오드화물 이온과 반응하여 요오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방해 인자로 작용하게 됩니다.
윙클러법을 정리하면
시료수에 황산망간용액과 수산화나트륨용액을 더하면 수산화망간이 생성되고 다시 수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용존산소의 양만큼 산화되어 침전된다.
이 침전은 요오드 이온과 산을 가하여 용해되면 용존 산소량에 비례하여 요오드를 유리하므로 이를 요오드와 반응하는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하여 정량한다.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류의3대 작용에 대해서 (0) | 2022.10.20 |
---|---|
습기의 원인에 대해서 (0) | 2022.10.20 |
TOC(전유기탄소)에 대해서 (0) | 2022.10.20 |
AC어댑터 선택법은 (0) | 2022.10.20 |
열풍 건조와 근적외선 건조기의 차이점에 대해서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