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산, 알칼리산, 알칼리에 대하여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산, 알칼리산, 알칼리에 대하여

pH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먼저 산과 알칼리에 대한 지식을 확인합시다.

산에 대해서

물에 녹아 전리되며, H+가 되는 수소 원자를 가진 화합물을 산이라고 한다.넓은 의미에서는 다른 물질에 수소 이온 H+를 주는 물질입니다.

산류를 물에 용해시키면 모두 히드로늄 이온이 생성됩니다.

(예)

염산→HCl+H2O   → H3O++ Cl-

(염산) (수) (비트로늄) (염소이온)

황산→H2SO4+H2O   → H3O+ HSO4 -

       (황산) (황산수소이온)

HSO4- + H2O  → H3O+SO42-

           (황산 이온)

황산은 2개로 전리를 해서 2개의 히드로늄 이온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2개의 히드로늄 이온을 생성하는 산을 이염기산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히드로늄이온H3O+대신 수소이온H+로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의 예에서는,

염산→HCl ⇔ H+ + Cl-

황산→H2SO4 ⇔ 2H+ + SO42

입니다.

알칼리(염기)에 대해서

염기란 물에 녹아 전리되며, OH-가 되는 수산기를 가진 화합물을 말하며, 염기 중에서 물에 녹아 있는 것을 특히 알칼리라고 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H+를 받아들이는 물질을 알칼리라고 한다.

(예)

수산화 나트륨  → NaOH ⇔ Na+ + OH-

(나트리움 이온) (수산 이온)

수산화칼슘→Ca(OH)2 ⇔ Ca2+ + 2OH-

(칼듐) (수산 이온)

수산화칼슘과 같이 2개의 수산 이온을 생성하는 알카리를 이산화염기라고 합니다.

강산과 약산에 대하여

산의 강약은 1분자 중 수소 원자의 수에 관계없이 전리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리도란 물에 녹인 전해질의 양에 대한 전리(이온이 되는 것)한 양의 비율을 말한다.

즉, 전리도가 큰 산, 알칼리를 각각 강산, 강알칼리라고 하고, 또 전리도가 작은 산, 알칼리를 각각 약산, 약알칼리라고 합니다.

(참고)

100개의 HCl 분자를 물에 녹였을 때 91개가 전리되었다고 하면 그 농도에서 HCl의 전리도는 0.91입니다.

그리고 이 전리도가 큰 것을 강 전해질이라고 하며, 전리도가 작은 것을 약 전해질이라고 합니다.

강 전해질이란 물속에서는 모두 이온 해리되는 물질을 말하며, 약 전해질은 물속에서 전부가 이온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은 분자 형태로 물에 녹아 있다.

현재 알려진 산의 대부분은 약산이며, 강산은 극히 조금밖에 되지 않습니다.

(예)

강산→HCl、 H2SO4、 HNO3

   (염산) (황산) (질산)

약산 →  CH3COOH、H2CO3、H2S  등

(아세트산) (탄산) (황화수소)

강염기와 약염기에 대하여

염기의 경우도 강약은 염기의 농도에 관계없이 전리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알칼리금속(Li, Na, K 등), 알칼리 토류금속(Ca, Sr 등)의 수산화물은 강염기가 됩니다.

(예)

강염기→전리도가 큰 것→

NaOH、     KOH、     Ca(OH)2

(수산화칼륨) (수산화칼륨)

약염기 → 전리도가 작은 것 → 물에 잘 녹지 않는 염기

 NH4OH、  Al(OH)3、 Fe(OH)3

(수산화칼륨) (수산화칼륨)

 

스마트계측기 (smartinst.co.kr)

 

스마트계측기

계측장비 / 광학기기 제조 / 도매 / 무역, 수질분석 / 컨설팅 / 분석기설치, 도막두께 / 측정기 제조 등 정밀 과학기기 도매업체

www.smartinst.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