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은 복소수라고 합니다.
굴절률은 복소수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를 가르쳐 주세요.
또한 유리에의 입사광 각도에서 굴절률을 요구하는 식이 있는지?
A.
빛이란 전자파이며, 그것이 통과하는 점에서는 전장과 자기장이 시간 변동하는 물질에 빛이 닿으면, 시간 변동하는 전장에서 물질중의 전하가 흔들린다.
전하가 흔들리면 새로운 전자파가 생긴다.
새롭게 생긴 전자파 가운데, 원래의 전자파와 같은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 물질로부터 나오는 것이 투과파이며,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 물질로부터 나오는 것이 반사파이다.
반사율이란 입사파와 반사파의 강도비이다.
빛(전자파)은 에너지를 갖는다.
만약 물질중에서 빛의 흡수가 없으면, 에너지 보존칙으로부터 반사파와 투과파의 에너지의 합은, 입사파의 에너지에 일치한다.
만약 물질안에서 빛의 흡수가 생긴다면, 흡수만큼 반사파와 투과파의 에너지의 합은 감소한다.
따라서 반사율에는 흡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유리에의 입사광의 각도는 빛을 비추는 사람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양입니다.
따라서 이 양만큼 굴절률을 요구할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스 가공이란? (1) | 2022.10.01 |
---|---|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화학적 기계 연마에 대해서 (0) | 2022.10.01 |
탁도 센서 측정 단위 및 탁도단위 (0) | 2022.10.01 |
발광 다이오드의 원리에 대해서 (0) | 2022.10.01 |
일사량의 정의와 측정방법에 대해서 (0) | 202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