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37 Page)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산화환원 전위 

가역적(可逆的)으로 전자(電子)를 접수(接受)할 수 있는 두 개의 전위. 예를들면 를 포함하는 용액중에, 백금처럼 침식되지 않는 전극을 넣으면, 극과 용액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Fe3+와 Fe2+하며, 이를 산화전위라 함.

Fe3++e↔Fe2+에 있어서 산화제 Fe3+의 농도를 C1, 환원제 Fe2+의 농도를 C2로 하면, E=E0+RT/nF(lnC2/C1)n=3-2=1,C1=C2의 경우는, E=E0 가 되고, 이 E를 표준 산화 환원 전위라고 함. 크롬배수를 처리하는 경우, 중아황산소다등을 가하여, 6가 크롬을 먼저 3가 크론으로 환원해야 하는 바, 환원의 종점(終點)의 설정은 산화 환원 전위로 결정함. 

또한 시안 배수 처리에도 1차반응 및 2차반응의 종점 설정을 산화 환원 전위로 하는 등. 배수 처리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전위로서, 산화 환원 전위계로 측정함. 머릿 글지를 따 ORP라고 부름. 이 전위가 -100∼400mV와 같이 낮으면 강한 환원성물질의 존재를 나타내고, +200∼800mV와 같이 높으면 산화 반응 생성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임.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산성비 란?

산성을 강하게 나타내는 비. 엄격하게는,수소 이온 지수값이 5.6 이하의 비를 가리키며,보통의 비에 비하여 산성이 10배이상이나 강하다. 

산성비는 공장이나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등이 대기중의 습기와 작용하여 황산, 질산, 탄산 등으로 변한 후 이 산화물질이 공중에 떠 있다가 비가 내릴때 빗물속에 용해되어 내리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산성비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아황산 등의 양이 대기속에 얼마나 많이 들어 있느냐에 따라 농도가 결정된다. 산성도는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여 0~14까지의 수치로 나타내게 되는데 7은 중성이고 7미만은 산성, 7~14는 알칼리성으로 나타난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름오염 이란?  (0) 2022.09.12
색도(色度,chromatility) 란?  (0) 2022.09.12
Conductivity 란?  (0) 2022.09.12
Dissolved Oxygen(용존산소) 란?  (0) 2022.09.12
pH 란? What is pH?  (0) 2022.09.12
반응형

탁도 (turbidity)란

물의 흐린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 상수도·산업용수에서 원수(原水)의 선정, 정수 프로세스의 조합, 응집침전·여과의 설계조작, 수질의 자동측정·감시 등의 중요한 지표로 쓰인다. 

물이 흐려지는 원인으로서는 지표의 점토성 물질, 토양입자, 입자상의 유기성 물질, 플랑크톤이나 그 밖의 미생물, 도시하수·산업폐수의 부유물질, 저수역에서 떠오르는 물질 등이 있다.

 이들 탁도 성분은 극히 미세한 콜로이드 물질에서부터 비교적 큰 입자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정량법으로는 투시비탁법과 광학적 측정법을 이용한다. 

탁도의 측정에는 표준탁도물질로서 고령토나 포르마진(formazine) 고분자가 사용되는데, 증류수 1에 고령토 1㎎이 함유된 경우를 탁도 1°로 정의한다. 

고령토를 표준물질로 하는 탁도는 일반적으로 흐린 정도가 높은 물을 측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포르마진을 표준물질로 하는 탁도는 탁도가 낮은 물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적합하다. 

포르마진은 황산히드라지늄과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혼합하여 만드는데, 반사광 측정의 광전광도계로 측정하며 단위로는 NTU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Conductivity 란?

수용액의 전도도를 나타낸다. (단위 μS/cm, mS/cm)

전도계수(Conductance)는 전기전류를 운반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러한 능력은 이온이라 불리는 전하는 띤 입자(운반체)에 의해 전류가 전도되므로 전도도(Conductivity)는 운반체의 수와 이동도(mobility), 원자가(valence) 그리고 측정온도에 의존한다.

측정원리는 용액에 담겨있는 두 전극에 일정한 전압(voltage)을 가해주면 가한 전압이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때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용액의 전도도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해질의 전도도 측정은 보통 ohm의 법칙에 의해 두 평형 전극사이에서 용액의 저항을 측정한다.

전도계수, G는 저항 R의 역수이다. 용액의 전도계수, G는 직접적으로 전극의 표면적에 비례하고 전극사이의 거리에는 반비례한다. 비례상수,k를 전도도라부른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도(色度,chromatility) 란?  (0) 2022.09.12
산성비 란?  (0) 2022.09.12
Dissolved Oxygen(용존산소) 란?  (0) 2022.09.12
pH 란? What is pH?  (0) 2022.09.12
TDS(Total Dissolved Solid) 란? 전도도와 TDS의 관계  (0) 2022.09.12
반응형

Dissolved Oxygen(용존산소)란?

Dissolved Oxygen(용존산소)은 물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척도이다. 깨끗한 물에는 거의 포화에 가까운 산소가 녹아 있으나 가정하수, 공장폐수에 의해 오염된 물에서는 그 양이 점점 적어진다. 따라서 용존산소는 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오염정도를 알 수 있다. 용존산소는 오염된 물을 처리, 수생식물과 어패류의 생육 그리고 하천의 자정작용 등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물이 공기와 접촉되어 있을 때 표면에서의 산소의 양과 공기에서의 양이 같아질 때까지 공기로부터 물이 산소를 흡수한다. 이 때, 물은 산소로 포화되었으며, 용존산소의 압력은 물위의 공기에서의 산소의 압력과 같다. 그 양은 온도, 염분도, 압력(고도)에 의해 좌우된다.

Temperature : 수온이 낮은 물에 산소가 좀 더 녹아 있다.

Salinity : 염이 녹아 있는 물보다 깨끗한 물에 산소가 좀 더 녹아 있다.

Atmospheric Pressure(altitude) : Atmospheric pressure가 높으면 높을수록 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은 많아진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성비 란?  (0) 2022.09.12
Conductivity 란?  (0) 2022.09.12
pH 란? What is pH?  (0) 2022.09.12
TDS(Total Dissolved Solid) 란? 전도도와 TDS의 관계  (0) 2022.09.12
BO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란?  (0) 2022.09.12
반응형

pH 란?

What is pH?

pH는 용액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H+)의 농도를 말한다.

H+는 반응성이 매우 커서 홀로 존재할 수가 없으므로 H+는 물과 결합하여 더 안정한 hydronium ion, H3O+를 만든다. 따라서 보통 H+(aq)는 H3O+를 의미한다. pH는 프랑스어의 ‘puissance d'hydrogène(power of hydrogen)에서 유래하였으며, H3O+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10의 지수를 말한다. 용액의 pH는 수소 이온농도의 음의 상용대수(log)로써 정의한다.

pH = -logaH3O+ 혹은 aH3O+ = 10-pH

매우 묽은 용액을 제외하고는 모든 용액에서 이온간의 상호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몰농도 대신 이온의 “활동도”를 사용하지만 매우 묽은 용액에서(이온세기<0.1)에서 몰농도와 활동도는 거의 같다.

물은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으로 해리되고 다음식으로 관련된다.

H2O ⇌ H+ + OH-

[H+][OH-] = 1.0×10-14

pH + pOH = pKw = 14.00

여기서, pH = -log10 aH+이고 pOH = -log10 aOH-이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TDS(Total Dissolved Solid) 란?

Total Solids는 시료를 증발시키고 주어진 온도에서 오븐을 건조시킨 후 용기에 남아있는 잔재물을 말한다. Total Solid는 filter를 하였을 때 조금 남는 "total suspended solids"와 filter를 통해서 모두 빠져나가는 "total dissolved solids"를 포함한다.

TDS는 45 μfilter를 통과하는 입자의 수량으로 정해진다.

전도도와 TDS의 관계

이온에 의해 전류가 전도되므로 전도도는 이온의 전체 농도(이온의 함량)에 비례한다. 결국 전도도는 이온의 전체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전도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료내의 전체 용해된 고체(TDS)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TDS는 전도도에 일정계수를 곱하여 정한다. 비중으로 정해진 계수는 0.55∼0.9이 이고 보통 0.7을 사용한다. 이 factor는 측정용액의 조성과 측정온도에 의존한다. 상대적으로 값이 큰 factor는 염분이 있는 용액과 끓는 물에 필요한 반면, 값이 작은 factor는 산이나 연기성을 가질 때 적용한다.

TDS 단위는 mg/L(ppm)이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ssolved Oxygen(용존산소) 란?  (0) 2022.09.12
pH 란? What is pH?  (0) 2022.09.12
BO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란?  (0) 2022.09.12
화학적 산소 요구량 , COD(Chemical Oxygen Demand) 란 ?  (0) 2022.09.12
오니 란?  (0) 2022.09.12
반응형

BO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란?

 

BOD(Biochemical Oxygen Demand)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으로 어떠한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하여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하여 안정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을 말하며 보통 ppm단위로 표시하고 BOD가 높으면 유기물의 오염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물속에서 부착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이 호기성 분해가 되면 물 속에 있는 DO가 소모된다. 만일 산소를 소모하는 속도가 물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속도보다 빠르면 물은 혐기성 상태가 된다. 혐기성 상태에서는 물고기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부패하여 휘발성 물질이 생성된다. 유기물질의 분해속도와 산소의 소모속도는 BOD를 측정함으로 타나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수내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종류는 대단히 많고 각 유기물의 농도를 일일이 구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워 폐수내의 유기물질의 종류를 분석하지 않고 호기성 미생물로 합성 또는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량을 측정하므로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유기물질이 유입되면 물 속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DO를 소모하므로 유입된 유기물의 양이나 종류를 측정하는 것보다 DO를 소비하는 양을 측정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BOD는 20℃에서 5일간 배양했을 때 배양기간 동안 소모된 산소의 양을 측정하며 그 값을 통상 BOD 또는 BOD5라고 한다. BOD측정 결과를 보면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 섭취되므로 산소소비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 7~10일 후에는 탄소화합물에 의한 NOD이외에 질소화합물의 산화 즉, 질산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질소 BOD 또는 NOD(Nitrogenous Oxygen Demand)라고 부르며, BOD5 시험에서 BOD병 내에 질산화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존재하면 탄소화합물에 의한 BOD보다 높게 나타나고 도시하수의 경우에는 질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나 처리된 폐수에서는 질산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화학적 산소 요구량 , COD(Chemical Oxygen Demand) 란 ?

C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Chemical Oxygen Demand)는 화학적 산소요구량으로 물속의 피산화성 물질을 산화제인 중크롬산칼륨(K2Cr2O7), 또는 과망간산칼륨(KMnO4)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보통 ppm단위로 표시한다.

COD는 BOD와 더불어 폐수의 유기물 함유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COD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얼마만큼의 산소가 화학적으로 소모되는가를 측정한다. 공정시험법에 의하면 산화제를 일정 과잉량을 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방치하여 두었다가 소비된 산화제의 양을 산소로 환산하여 COD를 측정한다. COD는 유기물질의 추정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나 측정치에는 아질산염, 제일 철염, 유화물 등의 무기물과 환원성 물질이 포함되는 반면 안정된 유기물은 측정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유기물 및 무기물의 전부를 완전 산화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BOD측정은 5일이나 걸리지만 COD는 2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여 BOD를 모르는 폐수를 위하여 COD측정이 흔히 채택된다. COD는 화학적으로 산화 가능한 유기물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소요구량이지만 BOD는 미생물에 의해서 산화되는 산소요구량이므로 측정치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폐수의 COD가 BOD보다 클 경우에는 폐수내에 생화학적으로 분해가 안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거나 미생물에 독성을 끼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만일 BOD가 COD보다 클 경우에는 BOD측정 중에 질산화가 발생하였거나 또는 COD측정에 방해되는 물질이 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산화제 중 중크롬산칼륨(K2Cr2O7)은 유기물의 약 80%정도를 분해하고 과망간산칼륨(KMnO4)은 약 60%를 분해하여 COD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도시하천은 BOD값이 사용되며, 공장폐수나 해수 등의 오염지표로는 COD값이 많이 사용된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S(Total Dissolved Solid) 란? 전도도와 TDS의 관계  (0) 2022.09.12
BO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란?  (0) 2022.09.12
오니 란?  (0) 2022.09.12
부유물질(suspended solid) 이란?  (0) 2022.09.12
이온 이란?  (0) 2022.09.12
반응형

오니 란?

물속의 부유물이 가라앉아 진흙처럼 변한 것을 일컫는 일본식 조어. 아름답고 알기쉽게 바꾼 환경용어(2005년 7월)에서 찌꺼기로 사용할 것을 권장함.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부유물질(suspended solid) 이란?

부유물질 (suspended solid) 입자 지름이 2mm 이하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오염된 물의 수질을 표시하는 지표로서, 현탁고형물이라고도 한다. 도시 폐수·공장 폐수 중에는 유기질 및 무기질의 고형물이 현탁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하천·호소·해역 등 자연수역에 방류되면 물의 탁도를 높이고 외관을 더럽히며, 그 중 생물분해 가능한 유기물질이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는 등 자연수질을 오염시킨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반응형

이온 이란?

하전된 원자 또는 원자단.영국의 패러데이가 전기분해를 했을 때, 용액 속에 전기장 안에서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있음을 발견하고, 그리스어의 `간다`는 뜻의 ionai을 따서 명명하였다.

이 중에서 음극으로 향하는 것을 양이온(cation), 양극으로 향하는 것을 음이온(anion)이라고 하였다. 이들은 각각 양 및 음의 전하를 가지는 원자 또는 원자단이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니 란?  (0) 2022.09.12
부유물질(suspended solid) 이란?  (0) 2022.09.12
잔류염소 (residual chlorine ),결합잔류염소 (combined residual chlorine)란?  (0) 2022.09.12
질산성 질소 란?  (0) 2022.09.12
비소 란?  (0) 2022.09.12
반응형

잔류염소 (residual chlorine )

 

물을 염소로 소독했을 때 특정한 형태로 존재하는 염소.유 리잔류염소라고도 한다. 

물을 염소로 소독했을 때, 하이포아염소산과 하이포아염소산 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는 염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장계전염병균(수인성 전염병균:이질,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등)은 잔류염소 0.02ppm에서 30분 후 완전 소멸된다.

 

결합잔류염소 (combined residual chlorine)

 

멸균 소독용으로 암모니아성 질소를 포함한 물에 염소를 주입하면 서로 화합하여 클로라민 이란 염소화합물이 생긴다. 

이와 같은 화합물을 결합염소라 하며 살균작용이 있으나 염소 자체보다는 약하다. 

또 잔류염소란 물에 염소를 주입하면 수중의 유기물이나 산화 가능물질을 산화하는데 염소가 소비된 다음에 물에 남는 염소를 말하며 클로라민과 같은 결합염소가 남는 것을 말한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유물질(suspended solid) 이란?  (0) 2022.09.12
이온 이란?  (0) 2022.09.12
질산성 질소 란?  (0) 2022.09.12
비소 란?  (0) 2022.09.12
불소 란?  (0) 2022.09.12
반응형

질산성 질소 란?

 

질산성질소는 암모니아성 질소 및 아질산성질소등의 산화에 의한 최종생성물이다. 

따라서 유기체 질소의 자연정화 진행상황을 알 수 있으며 질산성질소만을 검출하는 물은 산화가 충분히 행해지고 오염물에 의한 위험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질산성질소 11ppm이상을 포함하는 물을 사용하면 주로 만1세 미만의 유아에게 메타헤모그로빈등을 일으키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온 이란?  (0) 2022.09.12
잔류염소 (residual chlorine ),결합잔류염소 (combined residual chlorine)란?  (0) 2022.09.12
비소 란?  (0) 2022.09.12
불소 란?  (0) 2022.09.12
카드뮴(Cd) 이란?  (0) 2022.09.12
반응형

비소 란?

비소는 거의 모든 지층에 포함되어 있으며 자연수중에는 극히 미량이지만 농약, 살충제, 안료, 염료, 의약품, 피혁 등의 방부제로 이용되므로 광산, 제련소, 농약공장, 의약품 공장의 폐수등에서 배출되어오염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치사량 0.1 ~ 0.3g 이며 비소 0.2ppm이상을 포함한 물을 연속 사용하면 만성중독증을 일으킨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류염소 (residual chlorine ),결합잔류염소 (combined residual chlorine)란?  (0) 2022.09.12
질산성 질소 란?  (0) 2022.09.12
불소 란?  (0) 2022.09.12
카드뮴(Cd) 이란?  (0) 2022.09.12
크롬(Cr) 이란?  (0) 2022.09.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