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
인위적인 수질오염의 대표적인 항목으로 수도용수로서의 이용 편리성,생물의 서식과 관련된 안전성에 관한 평가 항목이다.
서식하는 생물에 영향을 주어는 기본적인 수질항목 중에서도 암모니아는 간이측정이 가능한 인위적 오염지표의 대표이다.
지표의 구분(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로서) 0.1mg/L 이하(5), 0.3mg/L이하(4), 1.0mg/L 이하(3), 2.0mg/L 이하(2), 2.0mg/L 이상(1)으로 한다.
암모니아는 물에 잘 녹으며 물속에서는 암모늄 염으로 존재한다.
책 지표에서는 이 암모늄 염으로 존재하는 암모니아성 질소(NH4-N)를 대상으로 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성 질소는 유기물이 부패·분해되는 초기단계에서 발생하며, 동시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와 결합하여 탄산암모늄[(NH4) 2CO3]로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 물질은 더욱 암모늄 이온(NH4+), 수산화암모늄(NH4OH), 암모니아(NH3) 등의 형태로 표류수 중에 존재하고 있다.
소변 속의 요소도 암모니아로 변화한다.암모니아성 질소의 존재는 발생 원인으로 볼 때 비교적 가까운 시점에서의 분뇨 오염 발생을 시사하고 있다.
주된오염원은 생활 배수,논밭에서 온 비료·축산등농업배수, 음식물품·화학 등 공장 배수등이다.
일반적으로 표류수에서는 암모니어성 질소의 농도는 0.1mg/L 이하로있지만, 계절적인 요인 또는 강우에 따라농도 변동이 크다.
얕은 우물과 복류 수중에는 부식토나 비료·분뇨 등에 의한 암모니아성 질소가 검출되는 일도있다.
하지만, 상당수는 지하 미생물에 의해서 산화되어 질산염으로 변화하고 있다.
깊은 우물이나 저수지 저층 부근의 물에서는 질산성 질소의 환원에 의한 암모니아성질소가 고농도로 검출되기도 한다.
용도
암모니아는 냉각제, 금속처리제로서, 또한 비료, 사료, 섬유, 플라스틱, 화약, 종이, 고무제조업 등의 합성원료로 사용된다.
암모니음염은 세정제 식품첨가물로 쓰인다.
건강영향
급성 독성 실험 동물에 대하여 LD50(경구) 350~750mg NH4+/kg,200~500mg NH4+/kg에서는 폐렴, 신경기능 장애 등이 발병한다.
만성 독성
랫트에서는 비지질골 중량, 칼슘 함량, 체중 감소 예가 있다.
번식, 발생학상에 이상은 없으며 돌연변이, 발암성은 없다.
수도에 관한 사항
암모니아성 질소는 현재와 같이 염소에 의한 소독이 상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는 위생적인 면에서 중요한 오염지표가 되었지만, 염소소독이 일반화되면서는 오히려 정수처리장의 관리항목으로 중시되어 또한 원수의 오염 진행, 처리수량의 증대 등에 의해 급속여과방식이 일반적이되었기 때문에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를 위해 염소에 의한 산화가 이루어지게 됐다.
수도 수질기준 설정 경과
1866년 공식 설정된 이래 상수 수질기준으로 그러나 1978년에 건강 영향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질산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이다.
암모니아성 질소 자체는 문제없다는 것 등으로 기준에서 삭제되었다.
또한, 원수에 대해서는 수질관리 지표로서 유효하기 때문에 시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O 식수 수질 가이드라인
편의성 항목 불만 수준 1.5mg/L
상수시험법의 변천
예로부터 네슬러법이 사용되었다.
1978년 인도 페노루법이 1985년에는 α-나프톨법이 채택되었다.
1992년 시약에 수은 함유네슬러법이 삭제되고 2001년에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이 채택되었다.
농업용수
물의 경우 너무 많으면 도복, 결실불량, 수량감소 등이 일어난다.
수산용수 기준
pH 8.0에서의 허용 농도는 전체 암모니아태질소(N)로서 0.1mg/L 이하.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비효과에 대해서 (0) | 2022.10.23 |
---|---|
색온도에 대해서 (0) | 2022.10.23 |
도전율(Conductivity) 이란? (0) | 2022.10.23 |
운동 에너지에 대해서 (0) | 2022.10.23 |
농도 단위에 대해서 (1) | 2022.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