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PH 측정에 대한 질문들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PH 측정에 대해서

1.pH 측정방법

비색법: 리트머스 시험지, BTB, CR, PR 등

전극법: 수소 이온활량에 상당하는 전위를 나타내는 유리 전극과 pH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위를 나타내는 비

교전극

(참조전극)로 구성되며 양 전극간에 발생한 전위차를 전위차계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2.pH 전극의 감도 체크 방법 ?

   pH7과 pH4, 또는 pH9의 표준액에 pH전극을 각각 담가 pH계의 모드를 mV로 하여 아래 수치의

   범위 내에서 정상입니다.

   pH 7:0±25mV

   pH 4:160±25mV·pH 9:-120±25mV

   이 범위 외의 경우에는 전극 내부액 교환, 액락부, 유리막 세척 등을 실시해 주십시오.그래도 전극성

   능이 회복되지 않으면 전극의 수명이며 교환이 필요합니다.

3.pH전극 주위가 하얗게 변한다 ?

   내부액의 염화칼륨 결정이 건조하여 부착되는 것으로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물 또는 미지근한 물에 전극을 넣으면 결정이 녹습니다.

4.pH전극의 수명은 ?

   사용하는 검액의 종류, 사용 상태, 보존 상태 등에 따라 다르므로 규정은 없습니다.

   전극은 소모품입니다.

5. 왜 ORP를 재는가 ?

   유기배수의 경우, 배수처리의 질소 질화 반응, COD 등의 거동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를 구하기 위해서 측정합니다.

6. 비색법과 측정치가 다르다 ?

   수돗물 등에는 탈색작용이 있는 잔류염소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비색법에 의한 pH 측정치는 유리 전극식 pH계

   의한 측정치보다 통상 낮게 측정됩니다.오존이나 잔류 염소 존재 물의 pH 비색 측정 불가.

7. 기름, 유기용제, 알코올 등의 pH 측정은 가능한가?

   수소이온이 녹아있는 상태가 수용액과는 다르므로 이들 비수용액의 pH측정은 불가.

8.구입한 PH 측정기의 교정으로 pH6.86, pH4.01, pH9.18이 부속되어 있었는데 몇 가지 질문입니다.

(1)교정하는 이유는 기계의 수치가 자주 어긋나기 때문일까요?

(2) YouTube에서 동영상을 보았는데, pH6.86과 pH4.01의 2가지만 교정하고 있어, pH9.18 "이쪽은 더욱 정밀도를 높이고 싶다면"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묻고 싶은 것은 사용하는 것은 1종류만으로는 정밀도 조정에 부족한 것입니까?

또 2종류만 있으면 되는건가요?

반드시 사용하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잘 가르쳐 주세요.

(1) 사용으로 인해 전극이 더러워지거나 소모되는 것으로 수치가 어긋납니다.

자주 어긋나는지는 검체의 종류나 빈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관리하는 폭이 좁거나 실험실이라면 사용마다, 폭이 넓은 경우는 1회/주로 충분합니다.

검체에 대한 정밀도의 변화와 요구 정밀도를 실측으로 구해 결정합시다.

(2) 교정이란? 1차 함수의 직선 그래프를 만드는 것입니다.

어느 1점을 지나는 직선의 그래프를 당기는 경우는 입력되어 있는 비례계수로 기울기가 결정됩니다만, 그것보다 측정 영역에 가까운 2점 사이의 기울기가 사용 조건에 대해 정밀도가 높아집니다.

검체가 산~알칼리로 영역이 넓은 경우 고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다면 3점 교정에서 하나의 pH계로 좋습니다.

고정밀로 측정하고 싶은 경우는 산, 알칼리로 pH계를 나눕니다.

산에는 6.86과 4.01, 알칼리에는 6.86과 9.18로 교정한 것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사용하는 것은 6.86입니다.

산 또는 알칼리 어느 한쪽의 영역 밖에 측정하지 않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2점 교정으로 좋습니다.

3점 교정이 반드시 고정밀도가 된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 주십시오.

*pH 측정기를 어떤 분야에서 쓰이느냐에 따라 교정빈도가 달라집니다.

공인 성적서 같은 것을 발행하기 위해 측정하는 것이라면 매번 교정이 필요합니다.

표준액을 사용하는 구성방법이나 사용액에 대해서는 산에는 6.86과 4.01, 알칼리에는 6.86과 9.18로 교정한 것을 사용합니다.6.86은 항상 기준점이된다라고 생각하세요.

조심해야 할 것은 표준액도 열화됩니다.

또한 pH계 본체의 오염 등에 의해서도 표준액의 차이가 생기므로 가능하면 새로운 표준액을 사용하세요.

교정액이 새것인데 pH6.86의 계측치가 크게 어긋나는것 같으면,측정 전극의 열화를 의심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조사나 구입처에 문의해 주십시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시도에 대하여  (0) 2022.09.26
DO(용존산소량)에 대해서  (1) 2022.09.26
전질소, 전인이란?  (0) 2022.09.26
오존에 대해서  (1) 2022.09.26
원적외선에 대해서  (0) 2022.09.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