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끝-->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개선코드 끝 --> 피토(Pitot) 관에 대해서 :: 스마트계측기[blog] <--구글태그 --> <--구글태그 끝-->
반응형

피토 관에 대하여

피토관은 바람의 흐름에 대해 정면과 직각 방향으로 작은 구멍을 가지고, 각각의 구멍에서 따로 압력을 꺼내는 가느다란 관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 압력차(전자를 전압, 후자를 정압)를 마이크로마노미터로 측정함으로써 풍속을 계측할 수 있습니다.

피토관은 보통 고속역(5m/s 이상)에서의 풍속교정용으로 사용됩니다.

 동압=전압-정압

 전압: 바람의 흐름에 평행한 성분(축방향), 정압: 바람의 흐름과 수직인 성분

피토관에 의한 풍속 측정 원리

유체의 흐름 속에 물체가 놓이면 물체의 앞면에서 흐름이 막혀 물체의 표면에 흐름속도가 0이 되는 점이 생깁니다.이것을 정체점이라고해요.

(a)점에서 정체점까지의 공기 흐름에 베르누이 식을 적용하면

  U=√2(P0-P)/ρ

되어 P0, P가 측정되면 풍속이 요구됩니다.

여기서 식중의 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U: 풍속값

     ρ : 유체의 밀도

  P0: 정체점의 압력

  P: (a)점의 압력

피토관에서 얻은 차압을 다음 식으로 입력하여 풍속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U=395.673×√(△h×(1+0.00366×T)/P)

  h: 마노미터 읽기 (Pa)

   T: 풍온 (°C)

   P: 측정 시의 대기압 (Pa)

     (엄밀하게는 마노미터의 보정·고도(표고)등의 보정이 필요합니다.)

간단한 기준으로는

  U=1.2773×√△h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h=1,500(Pa)의 경우 U=약 49.47(m/s)이 됩니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풍속 측정이란  (0) 2022.09.25
풍속계의 원리에 대해서  (0) 2022.09.25
소리와 소음에 대해서  (0) 2022.09.25
주파수 분석과 주파수 분석기에 대해서  (0) 2022.09.25
방사 온도계에 대해서  (0) 2022.09.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