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 포화율에 대해서
다공질 암석, 특히 기름이나 가스의 저류 암석 중의 공극내를 차지하는 물의 비율.
이것을 구하려면 유층암 중 수분을 추출하여 별도로 측정된 공극용적과의 비를 구하거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물의 포화도는 암석과 물의 젖음 성질에 따라 결정되며, 한 암석에서는 모세관 압력과 포화도가 일정한 관계를 나타낸다.
또 암석은 압력차 등의 외력으로 물포화율을 한계포화율 이하로 낮추기 어렵다.
유층이나 가스층의 매장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물 포화율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포화율은 암석중의 공극{공격}용적을 1이라고 할 경우, 그 안에 포함되는 지층수의 양을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공극의 나머지 용적(1-수포화율)은 석유·가스로 충전{중점}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물포화율(Sw)과 지층의 암석 전기적 성질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관계식(아치의 식이라 불린다)이 있어 유, 가스층의 평가에 쓰인다.
Sw=n √ (F·Rw / Rt)
Rt: 지층의 진정한 비저항
Rw: 지층수의 비저항
F: 지층 계수
n: 포화율 계수
수포화율은 코어의 분석이나 전기검층의 해석 등에 의해 요구된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측정원리에 대해서 (0) | 2022.09.25 |
---|---|
우량계에 대해서 (0) | 2022.09.25 |
태양광 발전 계측 시스템에 대해서 (0) | 2022.09.25 |
코로나 방전에 대해서 (0) | 2022.09.25 |
습도의 표시법에 대해서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