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굴절율(Refractive Index)란?
굴절률(일반적으로는 n으로 나타낸다)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스넬의 법칙을 떠올릴 것입니다.
확실히 알기 쉬운 식이에요.그러나 이 식은 빛이 대각선 방향에서 입사하는 경우에는 이해하기 쉽지만, 빛이 수직으로 입사해 온 경우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굴절률(n)이란 진공중의 빛의 속도(C)와 매질중의 빛의 속도(V)와의 비와 기억해 두면 편리합니다.
*복굴절?
복굴절(△n)은 시료에 편광을 비추어 투광하는 빛의 강도의 각도 의존성으로 구하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n = (λ/2πt) x δ
이 때,
λ : 입사광의 파장
t : 시료의 두께
δ : 투과강도의 각도 의존성으로 계산하여 얻어진 수치 입니다.
반응형
'수질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동계 용어 정리 (1) | 2022.09.23 |
---|---|
빛의 파장 및 분산에 대해서 (0) | 2022.09.23 |
물리도막 두께와 광학막 두께(Physical Thickness & Optical Thickness)란 무엇인가? (0) | 2022.09.23 |
광학 박막 기술 용어 (0) | 2022.09.23 |
PP(Polypropylene,폴리프로필렌) 재질 특징 (0)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