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련용어

마찰계수에 대해서

스마트계측기 2022. 10. 20. 15:02
반응형

마찰계수에 대해서

이 상태에서 물체가 옆으로 움직이려면 요철 모양을 파괴시키는 힘이나 빗면을 따라 약간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응착설은 두 물체의 접촉면을 확대시켜 보면 실제 접촉되어 있는 부분은 전체 면적에 비해 아주 작은 면적만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촉되어 있는 작은 면적에 물체의 중력이나 수직항력이 집중되어 압력이 무척 커지게 된다.

접촉되어 있는 이 부분에서 서로 다른 두 물체의 분자들이 큰 압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물체를 옆으로 움직이려면 이 결합을 파괴시키는 힘이 필요하다.

이 힘이 곧 마찰력이다

마찰계수

마찰계수 = 마찰력/수직하중

정지마찰계수=Tan(각도)

동마찰계수=Tan(각도)/2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대상표면을 선반위에 놓고 기울기를 변화시키며 미끄러지기

직전의 각도로서 정지마찰계수를 측정한다.

마찰력에서 수직하중을 나눈 값이 마찰계수로 정지마찰계수와 동적마찰계수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