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련용어

중화적정에 대해서

스마트계측기 2022. 10. 12. 05:29
반응형

중화적정에 대해서

중화 적정의 대표적인 산이라고 알려져 있는 물질로는 염산, 질산, 황산 등이 있습니다.

이 산들은 파란색 리트머스를 빨간색으로 바꾸는 것 외에 마그네슘 등 금속과 반응해 수소를 발생하는 공통적인 성

질이 있습니다.

산은 다음과 같이 전리하여 수소이온(H+)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염산은

HCl → H+ + Cl-

와 같이 전리를 합니다.

​또 알칼리는 빨간색 리트머스를 파란색으로 바꾸는 것 외에 산과 반응해 산이 가진 성질을 잃게 하는 작용도 하고 있

는 물질입니다.

알칼리라고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이 있습니다.

알칼리는 다음과 같이 전리하여 수산화물이온(OH-)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은

NaOH → Na+ + OH-

와 같이 전리를 합니다.

염산(HCl)에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조금씩 더해가면 산이 나타내는 성질은 점차 약해지고 마침내 산이 나타

내는 성질도 알칼리가 나타내는 성질도 함께 상실된 상태가 됩니다.

이런 상태에 이르렀을 때 중화점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염산] [수산화나트륨]

HCl ⇔ H+ + Cl-   NaOH ⇔ Na+ + OH-

H+ + OH- → H2O

중화점에 이르렀을 때의 수소 이온 농도와 수산화물이온의 수에 대해 보면, 산이 낸 수소 이온의 양과 알칼리가 낸

수산화물이온의 양은 동일합니다.

산과 알칼리의 반응을 중화반응이라고 하며, 이 반응을 이용하여 농도를 알 수 없는 산 또는 알칼리의 양을 구하는

방법을 중화적정이라고 합니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