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련용어
열원 130도에서 물을 끓이고 있을 때의 수증기 발생량을 계산
스마트계측기
2022. 10. 10. 14:10
반응형
열원 130도에서 물을 끓이고 있을 때의 수증기 발생량을 계산
●Q=ΔT.A.U.
○ Q: 전열량 kcal/h
○ΔT: 온도차 30℃
○ A: 전열면적 1.4m2
○ U : 총괄 전열계수 kcal/(m2.h.℃
총괄 전열 계수는 솥의 두께, 재질, 표면 거칠기, 끓는 물의 흐름, 교반 등의 상태, 점도, 밀도, 증기 측도 동일하여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며 계산으로 구하기가 어려우나 실적 데이터로 500~1500kcal/(m2.h.℃) 정도인 것 같습니다.
이하 500kcal/(m2.h.℃)로 계산하면
●Q = 30*1.4*500 = 21000 kcal/h 가 됨
●증발량은 100℃ 증기잠열 539kcal/kg에서
21000kcal/h÷539kcal/kg≒40kg/h 가 된다.
●U가 1500이면 이의 3배로 120kg/h가 된다.
● 따라서 증발량은 40~120kg/h로 추정합니다.
●단, 증기가 충분히 공급되고 드레인 트랩도 충분한 용량이 있고 응축 드레인도 충분히 배출할 수 있는 조건에 있다고 한다.
●가열원인 증기도 40120kg의 510% 증가정도 필요하며 이것은 잠열차이와 로스등이 있다.
상기 계산이 SI단위계가 아니라 죄송합니다.
정리 증발량은 40~120kg/h로 추정합니다.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차질이 생길 수 있음을 고려해 검토 바랍니다.
정밀하게 계산은 불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