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련용어

취기지수(농도)측정에 대해서

스마트계측기 2022. 9. 30. 02:52
반응형

취기지수(농도)측정에 대해서

냄새의"질"뿐만 아니라"강도"를 측정합니다.

악취지수란?

인간의 후각에 따라 냄새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으로, 특정 악취물질(22개 물질) 이외의 악취를 발하는 모든 물질이 대상이 되어 악취의 질이 아닌 악취의 강도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좋은 냄새"라고 느껴지는 것이라도, 그 냄새의 강도가 높을수록 악취 지수(농도)는 높아집니다.

정기적인 측정의 의무는 없습니다만,

지정한 규제 지역내의 모든 공장·사업소가 규제 대상이 되어 있어 주변 환경을 배려한 대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악취 지수(농도)란

악취 지수라고 하는 것은 인간의 후각에 따라 냄새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냄새가 묻은 공기나 물을 냄새가 느껴지지 않을 때까지 무취 공기(무취수)로 희석했을 때의 희석 배수(취기 농도)를 구해 그 상용 대수를 10배 한 수치로 나타냅니다.

   취기지수=10×Log(취기농도)

악취를 100배로 희석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이 냄새를 느끼지 못하게 된 경우, 악취 농도는 100, 그 악취 지수는 20이 됩니다.

또한 악취를 30배로 희석했을 때의 악취 지수는 15, 악취를 10배로 희석했을 때의 악취 지수는 10이 됩니다.

악취지수(농도)의 측정

취기지수(농도)의 측정은 부지 경계선이나 기체 배출구의 경우, 3점 비교식 취낭법이라는 사람의 후각에 의한 측정 방법으로 실시합니다(배출수의 경우는 3점 비교식 플라스크법).

공장이나 사업소 등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시료를 분석실로 가져갑니다.

3개의 무취 공기를 담은 냄새 주머니를 준비하고 그 중 하나에 시료를 넣어 냄새 나지 않는다

판정을 하는 방법으로 6명 이상의 정상적인 후각인이 판정을 받습니다

시료를 희석하면서 판정을 반복하고 냄새가 느껴지지 않을 때까지의 희석 배율에 따라 악취 지수를 산출합니다.

https://www.smartinst.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