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련용어
순수 및 초순수의 특징
스마트계측기
2022. 9. 24. 08:21
반응형
구 분 | 특 징 |
증류수 | 물을 증발 시켜 응축하여 얻는 물로 다른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에 가까운 물이며, 여러번 증류 하면 순수한 물에 가까운 증류수를 얻을 수 있다. |
순수 및 초순수 |
- 역삼투막, 이온교환수지, 살균 등의 장치류로 원수를 정화하여 탁질·유기물은 물론 각종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은 물로서 비저항(比抵抗)을 측정하여 순도(純度)를 판정한다. 순수; DI Water ( Deionized water) - 비저항 5~18MΩ.cm 미만의 물 (일반적인 구분임) 초순수; UPW(Ultrapure water) - 비저항 18 MΩ.cm이상의 물(절대적 구분은 아님) - 용존산소량(DO)이 0.46ppb(10억분의1), 유기탄소량(TOC) 2.18ppb 이하 (?) - 일반 물의 경우 DO 8ppm(100만분의1), TOC 3~5 ppm정도 |
순수, 초순수 표시단위
- 비저항(Specific Resistivity) : MΩ.cm(Ω의 10의 6승), ppb, ppt 단위 사용
- 전기 전도율(Conductivity) : mho/cm = siemens/cm = S/cm
- 일반적으로 물의 전도율은 siemens의 10의 마이너스 6승인 μs/cm 단위를 사용
- 비저항/ 전기전도율은 물속의 이온의 수와 전하량과의 관계이며 물속의 이온의 수가 증가되면 전도율 값은 증가하고 비저항 값은 낮아진다.
초순수는 저장하면 어떻게 될까?
- 저장하는 순간 공기 중의 CO2가 녹아들어가 CO32-, HCO3-로 바뀌면서 비저항이 감소된다. 즉 수질을 유지하면서 저장하는 것이 매우 어려움으로 생산 즉시 사용하거나 소규모의 경우는 질소가 채워진 특수한 Tank에 저장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순수, 초순수의 용도?
- 기초과학 분야 : 유전공학 연구용
- IT 분야 : 반도체 및 LCD 산업 등에서 세척용수, 초음파 세척용수 등
- 기타분야 : 의료 제약분야, 화학분야 및 High Technology 산업, 발전용 보일러 용수 등 범위 더욱 증가 예상
반응형